콩팥(kidney; 신장)은 윗배(upper abdomen; 상복부)에 있는 두 개의 큰 콩 모양의 기관입니다. 하루에 여러 번 혈액을 걸러 독소를 제거하고 콩팥정맥(renal vein; 신장정맥)을 통해 순환계(circulatory system)의 물과 전해질을 재조정합니다. 콩팥은 콩팥동맥(renal artery; 신장동맥)을 통해 심장에서 직접 혈액을 받습니다. 이 동맥은 콩의 오목한 표면인 콩팥문(hilum; 신장문)으로 들어가 작은 혈관과 모세혈관(capillary)으로 갈라집니다.
콩팥 겉질(renal cortex; 신장 피질)은 콩팥의 두꺼운 외피층입니다. 겉질은 모세혈관이 세뇨관(renal tubule) 끝과 밀접하게 접촉하는 콩팥소체(renal corpuscle; 신장 소체; 신소체)를 수용하고 있습니다. 관의 끝, 즉 보먼주머니(Bowman’s capsule)는 공처럼 생긴 모세혈관의 그물, 즉 사구체(glomerulus; 토리)를 둘러싸고 있습니다. 모세혈관의 특이한 배열은 세뇨관 끝과 모세혈관이 상호작용하는 표면적을 증가시킵니다. 이런 복잡한 관은 보먼주머니에서 콩팥 겉질 아래의 조직인 콩팥 속질(renal medulla; 신장 수질) 안에 헨레고리(loop of Henle)까지 연장됩니다.
위와 같이 겉질을 관통해 들어간 구조들은 속질을 여러 개의 콩팥 피라미드(renal pyramid)로 구성합니다. 각 피라미드의 꼭짓점은 콩팥문 영역을 가리키며, 따라서 집합관(collecting duct)은 콩팥깔대기(renal pelvis; 신우)에 있는 콩팥잔(calyx; 신배)으로 비워집니다. 콩팥깔대기가 채워지면 소변이 요관(ureter)으로 비워집니다. 요관은 콩팥을 방광(bladder)과 연결해 소변이 배출되기 전까지 방광에 보관합니다.
콩팥소체, 근위곡세뇨관(proximal convoluted tubule; 토리쪽곱슬세관), 원위곡세관(distal convoluted tubule; 먼쪽곱슬세관), 헨레고리, 그리고 집합관은 콩팥의 기능 단위인 네프론(nephron)을 형성합니다. 네프론은 혈액을 걸러 물과 전해질을 재흡수하고 독소를 배출합니다. 인간의 신장에는 약 백만 개의 네프론이 있습니다.
사람이 콩팥을 기증하여 네프론의 수가 반으로 줄어들면, 남은 콩팥은 크기와 부피가 증가하면서 없는 콩팥을 보상합니다. 기증자들은 사망 위험이 증가하지 않고 기증 후에 건강한 삶을 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 기증자들은 하나의 콩팥이 둘 몫을 해야 하므로 고혈압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콩팥 결석은 용질(solute)이 과포화(supersaturation)되어 생기는 현상이며, 가장 일반적으로 칼슘이 결정화하고 응집합니다. 칼슘의 과포화는 칼슘이 흡수되는 헨레고리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여과된 액체의 부피가 충분하지 않으면 칼슘이 집합관을 통과해 콩팥깔대기로 이동하면서 결정화하고 응집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돌은 증상 없이 지나갑니다. 그러나 만약 돌이 요관을 막을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면 상당한 고통을 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