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개요

귀납적 추론은 전제가 결론으로 이어지는 논리의 유형입니다. 귀납적 추론은 불확실하며 결론의 개연성 혹은 신뢰성을 따르게 됩니다. 따라서 귀납논증은 (근거가 있다/없다는 분류 대신) 개연성 정도에 따라 논증의 강도가 약함 혹은 강함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도출된 결론을 검증과 반증이 가능한 가설을 정립하는데 쓸 수 있습니다.

귀납적 추론

귀납적 추론에선 대개 작은 샘플로 수집된 증거를 결론을 도출하는데 사용하는데, 이 때문에 결론이 거짓일 가능성을 허용합니다. 이것은 보편적인 가설로 시작해 특수하고 논리적인 결론에 도달하는 과정을 보는 연역적 추론과는 다릅니다.

예를 들어, 어느 연못에 있는 모든 물고기가 곤충을 향해 공중으로 물을 분출하고 그 분출된 물에 맞아 떨어진 곤충을 먹는 것을 관찰하는 경우, 귀납적 추론은 모든 물고기가 곤충을 사냥하기 위해 물을 분출할 수 있어야 한다고 명시 할 수 있습니다.

이 결론은 개연성이 있기 때문에 이걸 검증과 반증이 가능한 가설을 정립하는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 모든 물고기는 곤충 먹이를 잡으려고 물을 분출한다). 그러나 보편적으로 이 결론은 세상 모든 물고기가 특정 연못에만 살지는 않는다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기에 논증의 강도가 약합니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연구자는 앞서 관찰을 진행했던 특정 연못에서 여러 종류의 물고기를 수집하고 그 연못과 다른 수원에서 곤충을 먹는 물고기들을 수집한 뒤 실험실 환경 안에서 수집된 물고기들이 곤충이 있을 때 어떻게 행동하는지 관찰할 수 있습니다. 실험 결과는 모든 물고기가 먹이를 향해 물을 분출하진 않는다는 결론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궁수 물고기는 물줄기를 곤충을 향해 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복어는 그렇지 않기 때문입니다.

Tags
Inductive ReasoningLogicGeneralizationsSpecific ObservationsConclusionTestable HypothesisFalsifiable HypothesisLogical ThinkingRelated ObservationsUncertainDegrees Of CredibilityWeak ArgumentStrong ArgumentDescriptive ScienceLife ScientistQualitative DataQuantitative DataEvidence

장에서 1:

article

Now Playing

1.4 : 귀납적 추론

과학적 탐구

59.2K Views

article

1.1 : 생명의 특징

과학적 탐구

218.6K Views

article

1.2 : 조직 계층

과학적 탐구

121.3K Views

article

1.3 : 과학적 방법

과학적 탐구

222.1K Views

article

1.5 : 연역적 추론

과학적 탐구

54.6K Views

article

1.6 : 상관관계와 인과관계

과학적 탐구

37.1K Views

article

1.7 : 분류

과학적 탐구

72.4K Views

article

1.8 : 계통발생

과학적 탐구

43.2K Views

JoVE Logo

개인 정보 보호

이용 약관

정책

연구

교육

JoVE 소개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