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염색체는 감수분열(meiosis) 중 때때로 부적절하게 분리됩니다. 이것은 제1감수분열(meiosis I) 중 상동 염색체(homologous chromosome; 상동체)의 분리 실패 또는 제2감수분열(meiosis II) 중 자매염색분체(sister chromatid)의 분리 실패로 인해 발생합니다. 일부 종, 특히 식물에서는 비분리(nondisjunction)가 온전한 염색체 집합을 추가로 가진 유기체를 만들 수 있는데, 이를 다배수성(polyploidy)이라고 합니다. 인간에서 일어나는 비분리는 남성 또는 여성 배우자형성(gametogenesis) 중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생성된 배우자(gamete)들은 염색체가 하나가 더 많거나 하나가 더 적습니다.

비정상적인 배우자가 정상적인 배우자와 융합해서 생성된 접합자(zygote)는 비정상적인 수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고, 이를 이수체(aneuploid)라고 부릅니다. 염색체 수가 하나 적으면 (즉, 45; 2n-1) 이를 일염색체성(monosomy)이라 부르고, 염색체 수가 하나 많으면 (즉, 47; 2n+1) 삼염색체성(trisomy)이라 부릅니다. 다운증후군은 잘 연구된 삼염색체성 중 하나로, 다운증후군을 가진 사람은 21번 염색체 3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수체 접합자는 임신 기간 중 자연 유산의 약 70%를 차지합니다.

비분리는 상염색체(autosomal chromosome; autosome)보다 성염색체(sex chromosome)에서 더 흔합니다. 하나 이상의 추가 성염색체(예: XXY, XXX, XYY) 또는 단일 성염색체(X0)를 포함한 다양한 성염색체 조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성염색체 조합을 가진 사람들은 대체로 일반적인 수명을 가지는 경향이있고, 때론 중요한 생리적, 그리고 생식적 영향도 받습니다. 비분리는 상동 염색체가 재결합(recombination)하지 못할 때 더 흔한 것으로 보입니다. 보통 X 염색체와 Y 염색체는 상염색체보다 재결합이 덜 되는데, 아마도 이 현상이 성염색체의 비분리 빈도를 설명할 수 있을 것입니다. 상동 염색체를 부착하는 접합복합체(synaptonemal complex) 단백질의 돌연변이는 교차(crossover; crossing over)를 감소시키지만 비분리는 증가시킨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는 적절한 염색체 재조합이 정상적인 감수분열에서 중요한 단계라는 것을 암시합니다.

정자형성(spermatogenesis) 시보다 난자형성(oogenesis) 시 비분리가 더 자주 발생합니다. 접합후 비분리(postzygotic nondisjunction; 초기 접합자에서 유사분열 염색분체(mitotic chromatid)의 분리 실패)는 감수분열 비분리와 비슷한 결과를 초래하며, 다운증후군 사례의 약 2%를 차지합니다. 또한 유사분열 비분리는 여러 암의 특징이기도 합니다.

Tags

NondisjunctionMeiosisAneuploidyHomologous ChromosomesSynaptonemal ComplexSpindle ApparatusAnaphase IAnaphase IISister ChromatidsCohesion DefectsCentromereHaploid CellsPolyploidy

PLAYLIST

Loading...
JoVE Logo

개인 정보 보호

이용 약관

정책

연구

교육

JoVE 소개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