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핵생물(eukaryote)은 원핵생물(prokaryote)보다 유전체(genome)가 큽니다. 이 유전체를 세포에 맞추기 위해서는 DNA를 핵 안에 단단히 싸야 합니다. DNA는 이를 위해 히스톤(histone)이라 불리는 단백질에 감겨 DNA 포장의 주요 단위인 뉴클레오솜(nucleosome)을 형성합니다. 그런 다음 뉴클레오솜은 염색질(chromatin)로 알려진 응축된 섬유로 감깁니다.
인체 대부분의 세포는 23쌍의 염색체(chromosome)로 포장된 약 30억 쌍의 염기쌍(base pair)을 가진 DNA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숫자들이 정확히 얼마나 많은 DNA를 나타내는지 상상하기 어렵습니다. 그렇다면 유전체를 세포에 넣으려면 얼마나 많은 포장이 필요할까요?
우리는 유전체를 길이로 표현해 어림짐작할 수 있습니다. 만약 우리가 인간 세포 한 개에서 나온 DNA를 일직선으로 배열한다면, 그것은 길이가 2미터, 즉 6.5피트가 넘을 것입니다. 인체는 약 50조 개의 세포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은 한 사람당 총 100조 미터 정도의 DNA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인간은 지구에서 태양까지 300번 왕복할 만큼 충분한 DNA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인간에게는 특별히 큰 유전체가 없습니다. 여러 물고기, 양서류, 그리고 식물의 유전체는 훨씬 더 큽니다. 예를 들어 Paris japonica의 유전체는 인간 이배체(diploid) 유전체보다 25배 더 큽니다. 이런 수치는 진핵생물이 DNA를 세포 안에 포장하기 위해 큰 과제를 달성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각각의 뉴클레오솜은 8개의 히스톤 단백질 중심(core)을 감싸고 있는 DNA로 구성됩니다. 각 중심은 4가지 유형의 히스톤(H2A, H2B, H3 및 H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형당 2개씩 있습니다. 또 다른 형태의 히스톤 H1은 뉴클레오솜과 연결DNA(linker DNA)에 결합해 구조를 안정시킵니다.
DNA는 뉴클레오솜과 연결DNA가 염색질 섬유로 돌돌 말리면서 더 응축됩니다. 응축되지 않은 염색질 섬유, 즉 진정염색질(euchromatin)은 지름이 약 10nm입니다. 이 부분에 있는 뉴클레오솜은 끈에 감긴 구슬과 닮았습니다. DNA가 계속해서 응축되면서, 10nm 섬유는 돌돌 말려 약 30nm 두께의 가닥으로 응축되고, 더 나가 300nm 두께의 고리를 형성합니다. 염색질이 완전히 응축되면 이를 이질염색질(heterochromatin)이라 부릅니다.
진정염색질의 느슨하게 포장된 구조는 RNA 중합효소(RNA polymerase; RNA 폴리머레이스) 같은 효소가 DNA에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듭니다. 따라서 전사(transcription)는 유전자(gene)가 풍부한 유전체의 진정염색질 영역에서 주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대로, 이질염색질의 촘촘한 구조는 DNA 접근을 차단하여 전사를 막습니다. 이질염색질은 염색체의 동원체(centromere)와 텔로미어(telomere; 말단소체)에 주로 있으며, 여기엔 매우 반복적인 DNA 서열(DNA sequence)이 유전자보다 훨씬 더 흔합니다. 또한, 유기체는 세포와 외부 환경에 반응하여 DNA 포장 수준을 조정할 수 있고, 유전자 발현을 켜야 할 때 DNA 응축을 풀고, 발현을 끄기 위해 DNA를 다시 응축시킬 수 있습니다.
장에서 5:
Now Playing
DNA와 염색체 구조
101.0K Views
DNA와 염색체 구조
21.2K Views
DNA와 염색체 구조
11.8K Views
DNA와 염색체 구조
22.1K Views
DNA와 염색체 구조
8.5K Views
DNA와 염색체 구조
15.6K Views
DNA와 염색체 구조
11.6K Views
DNA와 염색체 구조
8.7K Views
DNA와 염색체 구조
14.8K Views
DNA와 염색체 구조
10.0K Views
DNA와 염색체 구조
6.2K Views
DNA와 염색체 구조
12.6K Views
DNA와 염색체 구조
8.0K Views
DNA와 염색체 구조
7.8K Views
DNA와 염색체 구조
9.8K Views
See More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