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슐린 작용은 IGF-1 수용체와 유사한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를 통해 매개됩니다. 세포당 수용체의 수는 적혈구에서 40개에서 지방세포와 간세포에서 300,000개까지 상당히 다양합니다. 인슐린 수용체는 연결된 α/β 소단위 다이머로 구성되어 세포 외 α 소단위 2개와 막을 가로지르는 β 소단위 2개가 있는 이종사량체 당단백질을 형성합니다. α 소단위는 β 소단위의 고유한 티로신 키나제 활동을 억제하지만, 이 억제는 인슐린 결합 시 방출되어 β 소단위의 자가인산화와 트랜스인산화로 이어집니다. 이는 IRS 및 Shc 단백질과 같은 세포 내 단백질을 인산화하여 신호 전달을 시작하며, 이는 효과기와 상호 작용하여 신호 전달 계단을 확장합니다.
포도당 수송에 대한 인슐린의 작용은 PI3K 활성화에 따라 달라지는데, PI3K는 IRS 단백질과 상호 작용하여 PIP3를 생성하고 하류 키나제의 국소화와 활동을 조절합니다. Akt2 동형은 골격근과 지방 조직에서 포도당 흡수를 위한 필수적인 하류 단계를 제어하고 간에서 포도당 생산을 조절합니다.
인슐린 수용체 활성화 후, 주로 인슐린 반응성 조직에서 발현되는 GLUT4는 세포막으로 빠르게 이동하여 내향 포도당 수송을 용이하게 합니다. 인슐린 신호 전달은 또한 GLUT4 내포작용을 감소시켜 세포막 체류 시간을 증가시킵니다. 포도당은 세포 내부로 들어가면 헥소키나제에 의해 G6P로 인산화되고 글리코겐으로 저장되거나 해당분해 또는 펜토스 인산 경로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장에서 25:
Now Playing
Insulin and Hypoglycemic Drugs
1.1K Views
Insulin and Hypoglycemic Drugs
1.3K Views
Insulin and Hypoglycemic Drugs
1.0K Views
Insulin and Hypoglycemic Drugs
837 Views
Insulin and Hypoglycemic Drugs
494 Views
Insulin and Hypoglycemic Drugs
216 Views
Insulin and Hypoglycemic Drugs
329 Views
Insulin and Hypoglycemic Drugs
147 Views
Insulin and Hypoglycemic Drugs
134 Views
Insulin and Hypoglycemic Drugs
172 Views
Insulin and Hypoglycemic Drugs
148 Views
Insulin and Hypoglycemic Drugs
120 Views
Insulin and Hypoglycemic Drugs
139 Views
Insulin and Hypoglycemic Drugs
280 Views
Insulin and Hypoglycemic Drugs
148 Views
See More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