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대부분의 경우, 과도한 호르몬 생산은 음성 되먹임(negative feedback)에 의해 방지됩니다. 이런 되먹임 고리(feedback loop)는 호르몬과 같은 특정 물질의 방출을 유도하는 자극에서 시작해 호르몬의 추가 방출을 감소시키는 신호를 발화하기 전까지 물질의 방출을 일정 수준 유지합니다.

혈당 수치

예를 들어, 혈당 수치의 상승은 췌장(pancreas; 이자)의 베타 세포(beta cell)에서 인슐린(insulin) 호르몬을 혈류로 방출하여 인슐린을 몸 전체의 세포로 전달하게 만듭니다. 인슐린은 세포가 포도당을 섭취하도록 자극하여 에너지 생산에 사용합니다. 인슐린은 또한 과도한 포도당을 간에서 글리코겐(glycogen)으로 변환하고 저장합니다. 이러한 작용은 혈당 수치를 낮추고, 차례로 췌장에 인슐린 생성을 멈추라는 신호를 보냅니다.

예를 들어 운동 중에 혈당 수치가 정상 이하로 떨어지면, 췌장의 알파 세포(alpha cell)는 글루카곤(glucagon) 호르몬을 방출합니다. 글루카곤은 간에 저장된 글리코겐을 포도당으로 변환하여 체내의 다른 세포가 에너지 생산을 위해 사용할 수 있게 만듭니다. 글루카곤은 또한 간에 자극을 주어 간이 혈액에서 아미노산을 흡수해 포도당으로 변환하게 만듭니다. 이에 따라 혈당 수치가 증가하면 췌장에 음성 되먹임 조절을 통해 글루카곤 방출을 중단하라는 신호를 보냅니다.

Tags
Feedback LoopsHormone ProductionRegulation Of Hormone ProductionNegative FeedbackStimulusHormone ReleaseBlood Glucose LevelsInsulinPancreasCellsGlucose UptakeEnergy ProductionGlycogen Storage

장에서 21:

article

Now Playing

21.4 : 되먹임 고리

내분비계

51.7K Views

article

21.1 : 내분비계란 무엇인가?

내분비계

412.3K Views

article

21.2 : 세포 내 호르몬 수용체

내분비계

53.5K Views

article

21.3 : 세포 표면 신호전달

내분비계

50.4K Views

article

21.5 : 시상하부-뇌하수체 축

내분비계

57.2K Views

article

21.6 : 호르몬의 종류

내분비계

76.9K Views

JoVE Logo

개인 정보 보호

이용 약관

정책

연구

교육

JoVE 소개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