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VE Logo

로그인

22.3 : 폐활량

허파(lung; 폐)의 공기는 용적(즉, 부피)과 용량으로 측정됩니다. 허파 용적(lung volume) 측정은 허파 기능 후에(한 번의 흡입과 같이) 흡수된 공기, 방출된 공기 또는 남아 있는 공기의 양을 반영합니다. 폐활량(lung capacity) 측정치는 두 개 이상의 허파 용적 측정치의 합계입니다.

허파 용적 측정치에는 일회호흡용적(tidal volume; 일회 호흡량), 들숨예비용적(inspiratory reserve volume; 들숨예비량; 흡기예비량), 날숨예비용적(expiratory reserve volume; 날숨예비량; 호기예비량), 잔기용적(residual volume; 잔기량; 잔기용량), 이렇게 네 가지가 정의되어 있습니다.

일회호흡용적은 자연스럽게 호흡으로 들이마시고 내쉬는 공기의 양입니다. 들숨예비용적은 평소처럼 숨을 들이쉰 후 더 흡입할 수 있는 공기량입니다. 날숨예비용적은 평소처럼 숨을 내쉰 후 더 배출할 수 있는 공기량입니다. 잔기용적은 강제로 힘을 줘 숨을 내쉰 후 폐에 남아 있는 공기의 양입니다.

폐활량 측정치에는 들숨용량(inspiratory capacity), 기능적잔기용량(functional residual capacity), 폐활량(vital capacity), 총폐용량(total lung capacity; 전폐용량), 이렇게 네 가지가 정의되어 있습니다.

들숨용량은 평소처럼 숨을 내쉰 후 흡입할 수 있는 공기량입니다. 이 값은 흡입과 관련된 두 가지 용적 측정치인 일회호흡용적과 들숨예비용적의 합입니다. 기능적잔기용량은 정상적인 호흡 후 폐에 남아 있는 공기량으로, 날숨예비용적과 잔기용적의 합입니다. 폐활량은 최대로 숨을 들이쉰 후 최대로 내쉴 수 있는 최대 공기량입니다. 이것은 일회호흡용적, 들숨예비용적, 날숨예비용적을 합한 것입니다.

총폐용량은 허파가 수용할 수 있는 총 공기량입니다. 이 값은 네 가지 허파 용적 측정치의 합입니다. 인간의 총폐용량은 평균 성인 남성의 경우 6리터, 평균 성인 여성의 경우 4.2리터입니다! 그러나 허파는 일반적으로 이 최대 용량에서 작동하지 않습니다.

Tags

Lung CapacityAir VolumesSingle FunctionsTidal VolumeInspiratory Reserve VolumeExpiratory Reserve VolumeResidual Reserve VolumeTotal Lung CapacityRespiratory CycleVital CapacityInspiratory CapacityFunctional Residual CapacityLung DiseasesAsthmaPulmonary Fibrosis

장에서 22:

article

Now Playing

22.3 : 폐활량

순환계 및 폐기관계

48.5K Views

article

22.1 : 호흡기관

순환계 및 폐기관계

78.4K Views

article

22.2 : 호흡

순환계 및 폐기관계

57.3K Views

article

22.4 : 가스 교환 및 수송

순환계 및 폐기관계

64.4K Views

article

22.5 : 순환계의 해부학적 구조

순환계 및 폐기관계

86.3K Views

article

22.6 : 심장의 해부학적 구조

순환계 및 폐기관계

103.9K Views

article

22.7 : 심장주기

순환계 및 폐기관계

81.1K Views

article

22.8 : 혈류

순환계 및 폐기관계

65.2K Views

JoVE Logo

개인 정보 보호

이용 약관

정책

연구

교육

JoVE 소개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