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세포가 유사분열로 진행됨에 따라 핵막이 파괴되고 응축된 염색체는 유사분열 방추체의 양극성 미세소관 배열에 노출됩니다. 큰 디스크 모양의 단백질 복합체인 키네토코어(kinetochore)는 자매 염색체의 중심체 영역에 존재하며 미세소관의 결합 부위 역할을 합니다.일반적으로 단일 미세소관의 플러스 엔드(plus-end)는 키네토코어(kinetochore) 내에 내장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키네토코어는 먼저 미세소관의 측벽과 측면 접촉을 형성합니다. 이러한 측면으로 부착된 키네토코어는 운동 단백질의 도움으로 미세소관 벽을 따라 이동하고 결국 미세소관의 플러스 말단과 안정적인 정면 부착을 형성합니다.초기에 염색체는 단일체(monotelic attachment)를 가질 수 있으며, 하나의 자매 키네토코어(kinetochore)만 단일 스핀들 폴에 부착되고 다른 자매 키네토코어는 미세소관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습니다. 그 후, 부착되지 않은 자매 kinetochore는 반대쪽 방추체의 미세소관과 연결되어 양쪽 부착을 초래합니다. 자매 염색체의 양서류 부착은 염색체의 정확한 분리를 위한 전제 조건입니다.

동포코어-미세소관 상호 작용은 또한 잘못된 부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syntelic attachment는 자매 염색체의 두 kinetochores가 동일한 방추 극의 미세소관에 부착되는 경우입니다. 메로텔릭 부착은 반대쪽 극의 미세소관이 동일한 동체에 결합할 때 형성됩니다. Syntelic 및 merotelic 부착은 염색체 분리 오류를 초래하며 Aurora-B kinase 의존 메커니즘에 의해 교정될 수 있습니다.

단일 미세소관이 키네토코어와 올바른 정면 연결을 설정하면, 동일한 방추체의 추가 미세소관이 키네토코어에 결합하여 키네토코어 섬유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키네토코어 섬유는 동물 세포에 10-40개의 미세소관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올바른 미세소관-운동체 결합은 반대 힘으로 인해 동체세포 내에서 장력을 생성하며, 여기서 자매-염색체 응집력은 미세소관을 따라 극으로 당기는 힘에 저항합니다. 동원자 장력은 미세소관 결합 친화도의 증가를 유발하여 안정적인 부착을 제자리에 고정하고 자매 염색분체의 이중 방향을 보장합니다.

Tags
Sister ChromatidsAttachmentChromosomeMitosisMeiosisCell DivisionGenetic MaterialSpindle Fibers

장에서 35:

article

Now Playing

35.8 : Attachment of Sister Chromatids

Cell Division

3.0K Views

JoVE Logo

개인 정보 보호

이용 약관

정책

연구

교육

JoVE 소개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