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VE Logo

로그인

23.6 : 평면 응력 하에서 연성 재료의 항복 기준

연성 재료를 사용하여 구조 요소와 기계 부품을 설계할 때 이러한 부품이 항복 없이 적용된 응력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항복은 초기에 단축 응력에 대한 재료의 반응을 평가하는 인장 시험을 통해 결정됩니다. 그러나 부품이 이축 또는 평면 응력 조건에 직면할 때 인장 응력은 불충분합니다. 이 조건에는 파손을 예측하기 위한 고급 기준이 필요합니다.

트레스카 기준이라고도 알려진 최대 전단 응력 기준은 일축 인장 시험에서 재료 내 최대 전단 응력과 항복점에서의 최대 전단 응력을 비교하여 다양한 응력 상태에서 부품 안전성을 평가합니다. 연성 재료의 항복에 중요한 전단 응력은 응력 공간에서 트레스카의 육각형을 통해 시각화됩니다. 이 그래픽 표현은 경계 조건을 형성합니다. 육각형 내부의 응력은 안전을 나타내고 외부의 응력은 잠재적인 항복을 나타냅니다.

또는 본 미세스 기준으로 알려진 최대 왜곡 에너지 기준은 왜곡 에너지 이론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 기준은 왜곡으로 인해 저장된 에너지에서 항복이 발생한다고 명시합니다. 적용된 응력으로 인한 단위 부피당 변형 에너지가 항복점에서의 변형 에너지보다 작으면 부품은 안전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주요 응력에서 파생된 본 미세스 응력은 이 에너지를 정량화하여 복잡한 응력 상태에서 재료 거동을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Tags

Yield CriteriaDuctile MaterialsPlane StressTensile TestShearing StressMaximum Shearing Stress CriterionTresca CriterionSafety AssessmentMaximum Distortion Energy CriterionVon Mises CriterionDistortion Energy TheoryPrincipal StressesMaterial Behavior

장에서 23:

article

Now Playing

23.6 : 평면 응력 하에서 연성 재료의 항복 기준

Transformations of Stress and Strain

134 Views

article

23.1 : 평면 응력의 변환

Transformations of Stress and Strain

177 Views

article

23.2 : 주요 스트레스

Transformations of Stress and Strain

156 Views

article

23.3 : 주요 스트레스: 문제 해결

Transformations of Stress and Strain

152 Views

article

23.4 : 평면 응력에 대한 모어의 원

Transformations of Stress and Strain

177 Views

article

23.5 : 일반적인 스트레스 상태

Transformations of Stress and Strain

160 Views

article

23.7 : 평면 변형의 변환

Transformations of Stress and Strain

148 Views

article

23.8 : 평면 변형에 대한 모어의 원

Transformations of Stress and Strain

400 Views

article

23.9 : 변형률의 3차원 분석

Transformations of Stress and Strain

188 Views

article

23.10 : 변형률 측정

Transformations of Stress and Strain

243 Views

JoVE Logo

개인 정보 보호

이용 약관

정책

연구

교육

JoVE 소개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