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VE Logo

로그인

JoVE 비디오를 활용하시려면 도서관을 통한 기관 구독이 필요합니다. 전체 비디오를 보시려면 로그인하거나 무료 트라이얼을 시작하세요.

기사 소개

  • 요약
  • 초록
  • 서문
  • 프로토콜
  • 결과
  • 토론
  • 공개
  • 감사의 말
  • 자료
  • 참고문헌
  • 재인쇄 및 허가

요약

유방암 관련 림프부종은 유방암 생존자에서 빈번하지만 진단 및 정량화에 대한 지침이 널리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여기에서는 유방암 환자의 상지 부피를 정의, 정량화 및 비교하는 신뢰할 수 있고 비용 효율적인 프로토콜을 소개합니다.

초록

유방암 관련 림프부종 (BCRL)은 유방암 환자에서 상부 사지에 유체가 축적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해로운 상태이며, 차축 수술 및 / 또는 방사선을 받습니다. 그것의 병인은 다인성이고 또한 림프관 침략 (LVI) 및 외선 확장 (ENE)와 같은 종양 특정 병리학 특징을 포함합니다. 현재까지 BCRL의 조기 진단을 위한 널리 사용되는 지침은 없습니다. 여기서는 3D 레이저 스캐너(3DLS) 및 태블릿 컴퓨터를 사용하여 디지털 지원 BCRL 평가를 위한 프로토콜을 설명합니다. 그것은 고 위험도 유방암 환자의 발견 코호트에서 특히 최적화되었습니다. 이 연구는 3DLS와 같은 증강 현실 도구가 BCRL의 임상 작업에 통합되어 정확하고 재현 가능하며 신뢰할 수 있으며 저렴한 진단을 가능하게 한다는 원칙증명을 제공합니다.

서문

유방암 관련 림프부종(BCRL)은 림프절 전이를 가진 유방암 환자의 약 20-80%에서 후두절 수술 및/또는 방사선 요법 후 발생하는 상지에서의 유체 보유(N>1)1,2,3. 이 조건은 후속 감소 된 기능, 동반 질환, 좌절, 불안 및 우울증의 위험 증가와 사지의 붓기 결과4,5. BCRL은 현재 수술 후 9 년까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유방암 생존자를위한 오랜 위협으로 간주됩니다6.

BCRL 병인은 유방암 전문가 중 활발한 토론의 주제입니다. 따라서, 몇몇 연구 결과는 차소 내정간섭뿐 아니라 또한 taxanes 기지를 둔 화학요법 및 반대로 HER2 치료7,8와같은 조직 처리에 관련될 수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더욱이, 종양 특이적 병리학적 특성이 병인1,6,7에관여한다는 것을 암시하는 최근의 증거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종양의 주변에 림프관 공간의 침입은 신생물 세포(림프관 침범, LVI)에 의한 종양의 침범 및 림프절 캡슐을 넘어 전이의 연장(extra-nodal extension, ENE)에 의한 BCRL 위험계층화에대한 상보적 분석으로서 제안되었다6,7.

BCRL 생물학의 새로운 통찰력에도 불구하고, 팔 부피 측정은 이 환자의 진단 그리고 후속에 있는 초석 단계 남아있습니다 9. 그러나 이 작업에는 널리 채택된 지침이 없습니다. 팔에 걸쳐 여러 둘레의 측정은 전통적으로 잘린 원추 형(10)을사용하여 총 부피를 추정하는 데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그 신뢰성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원주방법(CM)은 민감도 및 재현성이 부족하며, 특히 팔 형상요철의 경우11. 최근에는 3차원 레이저 스캐너(3DLS)와 같은 증강 현실 방법이 상지부피(12)의측정을 위한 유망한 도구로 대두되고 있다. 이 기술은 저렴하고, 사용자 친화적이며, 재현 가능하며, 또한 기근과 붓기(12,13)의존재에서 매우 정확합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BCRL 진단 및 정량화를 위한 원주 방법에 비해 3DLS의 신뢰성을 평가하는 것이었습니다. 여기서, 프로토콜은 BCRL에 대한 위험이 증가한 유방암 환자에서 3DLS를 통해 상지 부피의 실시간 측정을 위해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프로토콜

이 연구는 저자의 기관에서 기관 검토 위원회에 의해 승인되었다. 이 프로토콜은 LVI 및/또는 ENE를 나타내는14개의 유방암(즉, TNM 스테이징 시스템에 따른 N>1) 노드 양성에 적용된다.

1. 실시간 팔 측정

  1. 태블릿 컴퓨터에 무료 다운로드 가능한 응용 프로그램(예: Captevia)을 설치합니다.
  2. 환자의 피부(예를 들어, 흰색, 검은색)와 비교하여 가장 높은 콘트라스트 색상의 마커를 취합니다.
    1. 손목에서 팔꿈치까지 5cm에서 시작하여 팔꿈치에서 팔의 근위 부분까지 포인트 랜드마크를 사용하여 분석할 상지의 피부를 표시합니다. 각 랜드마크 수준에서 분석할 상지의 피부에 둘레를 그립니다.
  3. 환자를 움직일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있는 방에 똑바로 서 있는 자세로 환자를 배치합니다. 환자의 상완을 앞쪽으로 90°까지 올립니다. 환자에게 모든 스캔 기간 동안 이 위치에 남아 있게 하십시오.
    참고 : 이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환자가 어려움을 하는 경우 손 수준 (예 : 스틱)의 지지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3DLS 장치를 태블릿에 연결하고 연결합니다.
  5. 태블릿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열고 환자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검사할 피험자의 자격 증명을 입력합니다.
    1. 연결을 클릭한 다음 + 새 환자를 입력합니다. 환자의 이름과 성을 전용 공간에서 원하는 대로 다른 사전 설정된 anamnestic 변수(예: 생년월일, 신장, 체중 등)와 함께 입력합니다.
  6. 3D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터치 스크린에서 2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화면에 나타나는 큐브의 거리와 크기를 변조하여 검사할 영역을 선택합니다.
  7. 스캔을 클릭하고 공간의 모든 평면에서 환자의 상지 프레임 프레임을 3차원 스캔을 시작합니다. 획득한 이미지의 품질을 최적화하기 위해 모든 뷰에서 팔다리를 여러 번 회전합니다.
    참고: 좋은 획득은 평균 30초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검사할 사지에서 1미터 이상 벗어나지 마십시오. 태블릿을 너무 빨리 움직이지 마십시오.
  8. 인수가 완료되면 완료를 누릅니다. 필요한 경우 양식을 수정하여 획득 결함 또는 누락된 부품을 평가합니다.
  9. 수집을 선택하고 화면 오른쪽 하단의 아이콘을 눌러 파일을 보냅니다. 파일을 보낼 이메일을 입력하고 보내기를클릭합니다.
  10. PC를 시작하고 전자 메일로 전송된 데이터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그런 다음 소프트웨어 라이센스와 함께 USB 키를 삽입하고 소프트웨어 아이콘을 두 번 클릭하고 선택한 라이센스 유형을 확인하고 데이터 파일을 엽니다.
  11. 검사를 보고 새 환자 만들기를누릅니다. 환자의 파일 이름을 지정하고 파일을 저장할 대상을 선택하고 저장을 누릅니다.
  12. 왼쪽 위 모서리에서 파일을 선택합니다. 이전에 명명된 환자의 파일을 선택합니다.
  13. 검사를 선택하고 추출을 눌러 검사를 추출합니다. 추출된 스캔을 선택하고 청소를누릅니다.
  14. 이미지를 선택합니다. 공간(x, y 및 z 축)에서 방향을 지정하여 셰이프를 청소합니다. 다양한 축(x, y 및 z)의 스캔에 포함된 세그먼트를 잘라냅니다. 또한 스캔에 포함된 스킨 마크를 확인하여 스캔을 보다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습니다. 절단 그림의 유효성을 검사합니다.
  15. 검사에서 가져온 셰이프의 이름을 지정합니다. 누설 새 셰이프 만들기.
  16. 공간의 3평면에서 모양 축의 방향을 지정하고 끝을누릅니다.
  17. 처리된 양식을 선택하고 열기를누릅니다: 소프트웨어가 처리된 양식의 총 볼륨을 제공합니다.
  18. 다른 섹션의 볼륨을 계산, 볼륨을누릅니다. 볼륨을 추출할 섹션의 위쪽 및 아래쪽 여백을 이동하고 선택합니다.

결과

이것은 성인 개인을 관련시키는 파일럿 단 하나 장님, 무작위통제된 연구 결과이었습니다. 포함 기준은 다음과 같은: 1) 젊은 성인 세 >18 & &45 년; 2) 정상 체중 (체질량 지수, BMI, >18 및 <25kg/m2); 3) 상지 수준에서 피부 병변의 어떤 종류의 부재; 4) 외상 및 / 또는 팔 구조 및 볼륨을 수정할 수있는 조건의 부재. 제외 기준: 1) 심혈관 동반질환; 2) 상지와 관련된 혈관 질환;...

토론

BCRL의 조기 진단이 개선된 결과와 관련이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사지 부피 측정을 위한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공구의 사용은 유방암 생존자에서 필수적입니다. 또한, 고위험개인의 식별은 임상 및 수술 데이터뿐만 아니라 종양 특이적 병리학적 특징도 고려해야 합니다. 이 연구는 건강한 피험자와 고위험 기능을 가진 BCRL 여성 모두에서 상지 부피 측정에서 새로운 휴대용 3DLS 장치의 재현성과...

공개

없음.

감사의 말

없음.

자료

NameCompanyCatalog NumberComments
Structure sensor + Captevia V3.1Rodin4D, Rodin SASThree dimensional laser scanner

참고문헌

  1. Michelotti, A., et al. Tackling the diversity of breast cancer related lymphedema: Perspectives on diagnosis, risk assessment, and clinical management. Breast. 44, 15-23 (2018).
  2. Noguchi, M., Yokoi, M., Nakano, Y., Ohno, Y., Kosaka, T., Singh, N. Axillary reverse mapping in breast cancer. Radioisotopes - Applications in Bio-Medical Science. , (2011).
  3. Wilke, L. G., et al. Surgical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sentinel lymph node biopsy: results from a prospective international cooperative group trial. Annals of Surgical Oncology. 13 (4), 491-500 (2006).
  4. Taghian, N. R., Miller, C. L., Jammallo, L. S., O'Toole, J., Skolny, M. N. Lymphedema following breast cancer treatment and impact on quality of life: a review. Critical Reviews in Oncology/Hematology. 92 (3), 227-234 (2014).
  5. Dean, L. T., et al. 34;It still affects our economic situation": long-term economic burden of breast cancer and lymphedema. Supportive Care in Cancer. , (2018).
  6. Invernizzi, M., et al. Lymphovascular invasion and extranodal tumour extension are risk indicators of breast cancer related lymphoedema: an observational retrospective study with long-term follow-up. BMC Cancer. 18 (1), 935 (2018).
  7. Invernizzi, M., et al. Breast Cancer Systemic Treatments and Upper Limb Lymphedema: A Risk-Assessment Platform Encompassing Tumor-Specific Pathological Features Reveals the Potential Role of Trastuzumab. Journal of Clinical Medicine. 8 (2), (2019).
  8. Kilbreath, S. L., et al. Risk factors for lymphoedema in women with breast cancer: A large prospective cohort. Breast. 28, 29-36 (2016).
  9. Sun, F., et al. The need for preoperative baseline arm measurement to accurately quantify breast cancer-related lymphedema. 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157 (2), 229-240 (2016).
  10. Deltombe, T., et al. Reliability and limits of agreement of circumferential, water displacement, and optoelectronic volumetry in the measurement of upper limb lymphedema. Lymphology. 40 (1), 26-34 (2007).
  11. Tewari, N., Gill, P. G., Bochner, M. A., Kollias, J. Comparison of volume displacement versus circumferential arm measurements for lymphoedema: implications for the SNAC trial. ANZ Journal of Surgery. 78 (10), 889-893 (2008).
  12. Cau, N., et al. Comparative study between circumferential method and laser scanner 3D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arm volume in healthy subjects. Journal of Vascular Surgery: Venous and Lymphatic Disorders. 4 (1), 64-72 (2016).
  13. Hameeteman, M., Verhulst, A. C., Vreeken, R. D., Maal, T. J., Ulrich, D. J. 3D stereophotogrammetry in upper-extremity lymphedema: An accurate diagnostic method. Journal of Plastic, Reconstructive & Aesthetic Surgery. 69 (2), 241-247 (2016).
  14. Amin, M. B., et al. . AJCC Cancer Staging Manual. , (2017).
  15. Kamper, S. J., et al. Global Perceived Effect scales provided reliable assessments of health transition in people with musculoskeletal disorders, but ratings are strongly influenced by current statu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63 (7), 760-766 (2010).

재인쇄 및 허가

JoVE'article의 텍스트 или 그림을 다시 사용하시려면 허가 살펴보기

허가 살펴보기

더 많은 기사 탐색

1563D

This article has been published

Video Coming Soon

JoVE Logo

개인 정보 보호

이용 약관

정책

연구

교육

JoVE 소개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