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VE Logo

로그인

JoVE 비디오를 활용하시려면 도서관을 통한 기관 구독이 필요합니다. 전체 비디오를 보시려면 로그인하거나 무료 트라이얼을 시작하세요.

기사 소개

  • 요약
  • 초록
  • 서문
  • 프로토콜
  • 결과
  • 토론
  • 공개
  • 감사의 말
  • 자료
  • 참고문헌
  • 재인쇄 및 허가

요약

중력의 지각은 일반적으로 머리 똑바로 서 있는 주관적인 시각적 수직에 의해 결정됩니다. 롤 플레인에서 ± 15 ° 및 ± 30 °의 헤드 틸트에서추가 평가는 손상된 중력 지각의 검출을위한 증가 된 정보 콘텐츠를 보장합니다.

초록

전정 장애는 의학에서 가장 흔한 증후군 중 하나입니다. 최근 몇 년 동안, 새로운 전정 진단 시스템은 임상 설정에서 모든 반원형 운하의 검사를 허용 하는 도입 되었습니다. 선형 가속과 중력 지각의 지각을 담당하는 이석 시스템의 평가 방법은 임상 사용에서 훨씬 적습니다. 중력의 지각을 측정하기위한 몇 가지 실험 적 접근 방식이 있습니다. 가장 자주 사용되는 방법은 주관적인 시각적 수직의 결정입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수직 위치에 있는 머리로 측정됩니다. 롤 플레인에서 otolith 함수를 테스트하기 위한 평가 방법을 제시합니다. 주관적인 시각적 수직은 롤 평면에서 ± 15 ° 및 ± 30 °의 머리 경사뿐만 아니라 머리 직립 위치에서 측정됩니다. 이 확장된 기능 적 패러다임은 이보다 쉽게 수행 할 수있는 임상 시험이며, 손상된 중력 지각의 검출을위한 증가 된 정보 콘텐츠를 보장합니다.

서문

이오스 기능의 손상은 말초뿐만 아니라 중앙 전정 조건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1. 말초 전정 원인은 메니에르병, 미로 경색뿐만 아니라 우수하거나 열등한 전정 신경염을 포함합니다. 중앙 이질성 기능 장애는 시상2를 통해 뇌줄기에서 전정 피질3에중앙 이석식 통로의 병변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점감 된 이물반사는 소뇌 장애4에서도 있습니다. 열량 테스트 또는 비디오 헤드 임펄스 테스트와 같은 여러 표준화 된 방법이 반원형 운하 기능의 평가에 사용할 수 있지만 중력 추정 및 수직도 인식에 대한 표준화 된 임상 측정 방법은 존재하지않습니다 5.

이오스는 선형 가속도의 지각을 담당하기 때문에, 이토리스 함수는 원칙적으로 소위 번역 현관 안구 반사 (t-VOR)를 기록하여 선형 가속으로 측정 될 수있다. 그러나, 이것은 병렬 스윙 또는 선형 썰매4,,6과같은 특수하고 복잡한 장비의 사용을 필요로한다. 일방적 인 낭막 및 자궁 기능평가를 위해 특정 중심 원심분리 시험이 개발되었으며, 이는 특정 회전 의자 시스템과 균형 실험실에서 임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7. 회전 축에서 3.5-4 cm로 머리를 대체 할 때, 편심 위치 utricle는 결과 원심력에 의해 일방적으로 자극된다. 이러한 패러다임에서 오토리스 함수는 생성된 눈 비틀림 또는 주관적인 시각적 수직(SVV)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절차는 정교한 장비가 필요하며 이 방법은 여전히 SVV 및 안구 비틀림 평가7모두에 대한 제한된 감도를 보여줍니다. Otolith 기능은 눈 운동 기록을 통해 더 정량화 될 수있다. 평가는 수평 또는 선형 가속으로 수행할 수 있지만 3D 비디오 큘그래피의 적용으로 롤 평면에서 헤드 또는 바디 틸트 중에도 수행 할 수 있습니다. 후자는 안구 비틀림의 결정을 허용합니다. 이 방법의 임상 적용은 또한 낮은 감도8로인해 제한됩니다. 신체 수직성에 대한 인식 (즉, 내 몸이 진정한 수직과 정렬되어 있다고 느끼는 감각)은 소위 주관적인 자세 수직으로 평가 될 수 있습니다. 이 실험 작업에서, 환자는 전동 짐벌의 의자에 앉아 그들이 입력하고 직립 위치를 종료 할 때 표시하도록 요청, 피치 또는 롤 평면에서 15 ° 기울어동안. 이 기술의 단점은 정교한 실험 적 접근 방식일뿐만 아니라 이과 체및 신체 프로피오셉티브 신호9를모두 측정한다는 것입니다. 전정이 근생전위(VEMP)를 불러일으킨 것인지(VEMP)는 다양한 임상 질환에서 이질기능을 위한 유용한 임상스크리닝 도구인지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있는 10,,11이다.

시각 작업은 현재 중력 기능을 측정하기 위한 가장 자주 사용되는 임상 방법이며, 이는 주관적인 시각 수직(SVV)12의측정을 통해 평가될 수 있다. 정확한 생리학적 관점에서 볼 때, SVV는 SVV가 여러 정보 소스(중력, 프로피오셉티브 및 시각적 인 것)의 가중치의 결과이기 때문에 이오스 기능만으로는 직접 테스트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신속한 임상 사용을 위해, 이 SVV 태스크의 쉬운 적용, 소위 버킷 테스트는, 특히 중력 지각의 급성 소요의 즉각적인 검출을 가능하게 하는 비상 설정을 위해13개발되었습니다. 보다 정밀하고 표준화된 절차는 관찰자가 라이트 바 또는 로드를 예상 수직으로 정렬하도록 하는 것으로 구성됩니다. 직립 위치에서 건강한 개인의 어둠 속에서 테스트, 편차는 지구 수직14에서± 2 °로 제한됩니다. SVV 태스크를 이용하여, 중력 기능은 지금까지 뇌졸중15,,16 또는 파킨슨병17과같은 다양한 신경학적 조건에서 평가되었다. 더욱이, 손상된 SVV-지각은 또한 양성 발작성 위치 성 난진21환자뿐만아니라 일방적인18,,19 또는 양측 전정병변(20)에서도보고되었다.

여기에서는 SVV 추정치를 헤드 업라이트 위치뿐만 아니라 롤 평면에서 ± 15° 및 ± 30° 헤드 기울기에서 측정하는 수정된 SVV 평가 방법을 제시합니다. 이 패러다임은 중력 적자를 감지하고 SVV의 체계적인 기울기를 위한 정보 콘텐츠를 증가시킵니다.

프로토콜

이 연구는 비엔나 의과 대학의 윤리위원회에 의해 승인되었으며 헬싱키 선언에서 발견 된 윤리 적 기준에 따라 수행되었습니다. 연구 결과 의 앞에 모든 환자 및 통제에 의해 통보된 동의는 서명되었습니다.

1. 의자에 환자의 설치

  1. 쌍안경으로 측정을 수행합니다. 등받이와 머리 고정 장치가있는 안정적인 의자에 환자를 설치하십시오. 후자는 환자의 머리를 안정적이고 정의 된 위치로 유지하고 접착 스트랩을 사용하여 서로 고정 할 수있는 탄성 헤드 밴드와 U 자형 헤드 레스트로 구성됩니다. 어둠 속에서 SVV를 평가할 수 있도록 의자를 클로저 캐빈에 놓습니다.
  2. 의자의 등받이에 부착된 고니오미터의 스케일을 따라 머리받침대를 원하는 경사각(0°, ±15° 또는 ±30°)으로 배치합니다. 실험의 시작 부분에서 치수 높이에서 0 ° 경사로 머리 받침을 조정합니다.
  3. 환자의 머리에 탄성 헤드 밴드를 놓고 뒤쪽의 나사로 고정하십시오. 환자의 이마에 너무 낮게 위치하지 않은 헤드밴드가 눈의 운동성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십시오.
  4. 헤드밴드와 헤드레스트에 있는 접착제 스트랩을 서로 연결합니다. 이것은 의자의 헤드 레스트에 머리를 최적의 고정을 보장합니다.

2. SVV 장치 설치

  1. SVV 유닛을 환자의 앞의 의자에 고정 장치를 장착한다(도1a). SVV 장치는 스틱에 부착된 LED 라이트 바로 구성되어 있어 환자 앞에 배치할 수 있습니다. 라이트 바의 위치는 연결된 전위파계를 통해 롤 플레인에서 조정할 수 있습니다.
  2. SVV 장치가 단단히 고정되어 있고 라이트 바가 환자의 머리와 정확히 반대되고 환자의 눈과 동일한 수준으로 위치하는지 확인하십시오.
  3. SVV 장치를 의자 아래의 전기 연결에 연결합니다.
  4. 환자의 왼손에 전위계를 놓고 SVV 설정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지시하십시오. 환자 앞에 서있는 동안 필요한 경우 다시 라이트 바의 위치를 조정하여 관상 동맥 평면을 따라 위치를 확인하십시오.
  5. SVV 장치 뒷면의 고니오미터의 실제 수직에서 SVV 편차를 읽습니다. 고니오미터는 2° 간격으로 ±20°의 각도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앞에 3cm를 배치한 적외선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어 완전한 어둠 속에서도 지속적인 데이터 수집이가능합니다(그림 1b, 1c).
  6. 다음 단계를 계속하기 전에 화면의 가시성을 확인하십시오. 각도 디스플레이의 적외선 이미지는 기내 외부의 스크린으로 전송되므로 테스트 사이에 기내 문을 열지 않고도 환자의 SVV 추정치를 지속적으로 수집할 수 있으므로 시각적 재방향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3. 시각 제어 하에 교정

  1. 라이트 바를 절대 수직(각 SVV 작업 전에 시작 위치 역할을 하는)을 기준으로 30°로 기울이고 환자에게 시각적 제어 하에 있는 수직 위치로 조정하도록 요청합니다. 이것은 환자를 자기 보정하고 환자의 visuomotor 능력을 확인하는 역할을한다.
  2. 환자가 표시된 SVV 위치를 확인하면 실제 수직과 비교합니다.
  3. 환자의 설정이 실제 수직에서 크게 벗어난 경우 SVV 장치의 직교 위치를 다시 확인하십시오. ±1°의 편차는 그대로의 visuomotor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견딜 수 있습니다.

4. 중립 헤드 위치에서 SVV 설정

  1. SVV 추정의 동시 입력을 위한 검사 프로토콜을 엽니다. 이 프로토콜은 실험 중에 측정에 대한 문서화를 허용하고 SVV 작업이 +30° 또는 -30° 시작 위치에서 수행되는지 여부를 임의로 결정합니다.
  2. 환자가 실험 내내 완전한 어둠 속에 있도록 기내 문을 닫습니다. 환자가 지침을 잘 이해할 수 있는지 인터콤으로 확인하십시오. 환자에게 지금 시작 위치에서 라이트 바를 기울여달라고 요청합니다: 30°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프로토콜에 따른 무작위화, 그림 1d).
  3. 15 초의 대기 기간 후, 주관적인 수직에 도달 할 때까지 시작 위치에서 라이트 바를 조정하도록 환자에게 지시하십시오. 환자는 시간 압력을 받고 있지 않으며 언제든지 설정된 위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환자는 인터콤 시스템을 통해 구두로 설정을 확인합니다.
  4. 프로토콜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기울기 각도를 각도로 입력합니다. 정의에 따라 시계 방향 각도 편차를 플러스로 표시하고 시계 반대 방향으로 편차를 빼기로표시합니다. 총, 환자가 ±30°의 시작 위치가 무작위로 이루어지도록 6번의 패스로 SVV를 조정하게 하십시오.
  5. 중립 헤드 위치에서 시험을 완료한 후 롤 플레인에서 헤드 틸팅으로 테스트를 수행합니다. 기울기 방향 시퀀스 (-30 °, -15 °, +15 ° 및 +30 °)는 또한 각 환자에 대해 무작위로.

5. 헤드 틸트가 있는 SVV 설정

  1. 접착 스트랩을 분리하여 초기 헤드 고정을 취소합니다.
  2. 헤드레스트를 풀고 프로토콜에 따라 기울기 위치를 조정합니다: 15° 또는 30°에서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의자의 등받이에 부착된 고니오미터의 각 각도를 따라 헤드레스트가 정확하게 정렬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이 위치에서 헤드 레스트를 단단히 고정하십시오.
  3. 머리 받침대의 탄성 헤드밴드로 환자의 머리를 고정합니다. 이 헤드 틸트는 환자에게 견딜 수 있는지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헤드 레스트의 높이를 조정하십시오. 시험 기간 동안 환자에게 이 머리 위치를 유지하도록 지시하십시오.
  4. 기내 도어를 닫고 중립 헤드 위치에서와 같이 시험을 수행합니다.
  5. 시험이 완료되면, 헤드 레스를 취소하고 프로토콜에 의해 주어진 무작위 헤드 틸트 위치에 따라 헤드 레스를 조정합니다.
  6. 기내 도어를 다시 닫고 모든 헤드 틸트에 있는 모든 SVV 설정이 기록될 때까지 동일한 절차를 수행합니다.

결과

SVV 평가는 틸트가능한 헤드레스트 및 조절 가능한 LED 라이트 바를 포함하는 회전 의자시스템(도 1a)을사용하여 수행하였다. SVV 조정은 라이트바 뒷면의 고니오미터 디스플레이에서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기록되었습니다(그림 1b). 사용되는 장치와 테스트 프로토콜은 여기에 제시된 테스트 방법과 정확히 일치합니다.

SVV 측정은 평균...

토론

SVV는 수직성을 보장하는 방법이다. 그것은 여러 정보의 통합에서 발생합니다. 전정 시스템은 이러한 인식에서 가장 중요한 존재, 그것은 전정 정보 경로의 임의의 수준에서 병변SVV 오류로 이어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머리 직립 위치에서 SVV의 측정은 이제 이보다 더 많은 기능을 기록하는 임상 표준 방법으로 간주됩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건강한 개인에 있는 어둠 속에서 S...

공개

저자는 공개 할 것이 없다.

감사의 말

저자는 아무런 인정이 없습니다.

자료

NameCompanyCatalog NumberComments
Adjustable plastic goniometer board 7,87" x 7,87", (marked tilt angles of 0°, 15° and 30° )self-produced6for fixation at the backrest and for adjustment of neckrest along the given tilt angles (0°,15°,30°)
Elastic head band with adjustable screw on the backMicromedical Technologies Inc4modified with attached adhesive strap
HD LCD display, 1366 x 768p resolution, 19"Philips5for monitoring SVV-adjustments outside the cabin (infrared camera recording)
Subjective Visual Vertical Set including infrared video camera (black/white, resolution 0,25°)Micromedical Technologies Inc2
Sytem 2000 (Rotational Vestibular Chair System with Centrifuge)Micromedical Technologies Inc., 10 Kemp Dr., Chatham, IL 62629-9769 United States1
Tiltable headrest Micromedical Technologies Inc3modified with attached adhesive strap

참고문헌

  1. Dieterich, M., Brandt, T. Perception of Verticality and Vestibular Disorders of Balance and Falls. Frontiers in Neurology. 10, 172 (2019).
  2. Elwischger, K., Rommer, P., Prayer, D., Mueller, C., Auff, E., Wiest, G. Thalamic astasia from isolated centromedian thalamic infarction. Neurology. 78 (2), 146-147 (2012).
  3. Wiest, G., Zimprich, F., Prayer, D., Czech, T., Serles, W., Baumgartner, C. Vestibular processing in human paramedian precuneus as shown by electrical cortical stimulation. Neurology. 62 (3), 473-475 (2004).
  4. Wiest, G., Tian, J. R., Baloh, R. W., Crane, B. T., Demer, J. L. Otolith function in cerebellar ataxia due to mutations in the calcium channel gene CACNA1A. Brain. 124, 2407-2416 (2001).
  5. Dakin, C. J., Rosenberg, A. Gravity estimation and verticality perception. Handbook of Clinical Neurology. 159, 43-59 (2018).
  6. Demer, J. L., Crane, B. T., Tian, J. R., Wiest, G. New tests of vestibular function. Annals of the New Yorc Academy of Science. 942, 428-445 (2001).
  7. Clarke, A. H., Schonfeld, U., Helling, K. Unilateral examination of utricle and saccule function. Journal of Vestibular Research. 13 (4-6), 215-225 (2003).
  8. Kingma, H. Clinical testing of the statolith-ocular reflex. ORL Journal for Otorhinolaryngology and its Related Specialties. 59 (4), 198-208 (1997).
  9. Bisdorff, A. R., Wolsley, C. J., Anastasopoulus, D., Bronstein, A. M., Gresty, M. A. The perception of body verticality (subjective postural vertical) in peripheral and central vestibulardisorders. Brain. 199 (5), 1523-1534 (1996).
  10. Welgampola, M. S., Colebatch, J. G.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applications of vestibular-evoked myogenic potentials. Neurology. 64 (10), 1682-1688 (2005).
  11. Kingma, H. Function tests of the otolith or statolith system. Current Opinion in Neurology. 19 (1), 21-25 (2006).
  12. Kheradmand, A., Winnick, A. Perception of Upright: Multisensory Convergence and the Role of Temporo-Parietal Cortex. Frontiers in Neurology. 8, 552 (2017).
  13. Zwergal, A., Rettinger, N., Frenzel, C., Dieterich, M., Brandt, T., Strupp, M. A bucket of static vestibular function. Neurology. 72 (19), 1689-1692 (2009).
  14. Bronstein, A. M. The Interaction of Otolith and Proprioceptive Information in the Perception of Verticality: The Effects of Labyrinthine and CNS Disease.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 871, 324-333 (1999).
  15. Saeys, W., Herssens, N., Verwulgen, S., Truijen, S. Sensory information and the perception of verticality in post-stroke patients. Another point of view in sensory reweighting strategies. PLOS ONE. 13 (6), 0199098 (2018).
  16. Baier, B., Thömke, F., Wilting, J., Heinze, C., Geber, C., Dieterich, M. A pathway in the brainstem for roll-tilt of the subjective visual vertical: evidence from a lesion-behavior mapping study. Journal of Neuroscience. 32 (43), 14854-14858 (2012).
  17. Huh, Y. E., Kim, K., Chung, W., Youn, J., Kim, S., Cho, J. W. Pisa Syndrome in Parkinson's Disease: Pathogenic Roles of Verticality Perception Deficits. Science Reports. 8 (1), 1804 (2018).
  18. Ogawa, Y., Otsuka, K., Shimizu, S., Inagaki, T., Kondo, T., Suzuki, M. Subjective visual vertical perception in patients with vestibular neuritis and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Journal of Vestibular Research. 22 (4), 205-211 (2012).
  19. Toupet, M., Van Nechel, C., Bozorg, A., Grayeli, Influence of body laterality on recovery from subjective visual vertical tilt after vestibular neuritis. Audiology and Neurootology. 19 (4), 248-255 (2014).
  20. Lopez, C., Lacour, M., Ahmadi, A. E., Magnan, J., Borel, L. Changes of visual vertical perception: a long-term sign of unilateral and bilateral vestibular loss. Neuropsychologia. 45 (9), 2025-2037 (2007).
  21. Kitahara, T., et al. Idiopathic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with persistent vertigo/dizziness sensation is associated with latent canal paresis, endolymphatic hydrops, and osteoporosis. Auris Nasus Larynx. 46 (1), 27-33 (2019).
  22. Platho-Elwischger, K., et al. Plasticity of static gravicep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cervical dystonia. Journal of the Neurological Sciences. 373, 230-235 (2017).
  23. Aranda-Moreno, C., Jáuregui-Renaud, K. The subjective visual vertical in vestibular disease. Revista de Investigación Clínica. 57 (1), 22-27 (2005).
  24. Guerraz, M., Luyat, M., Poquin, D., Ohlmann, T. The role of neck afferents in subjective orientation in the visual and tactile sensory modalities. Acta Otolaryngologica. 120 (6), 735-738 (2000).
  25. Luyat, M., Noël, M., Thery, V., Gentaz, E. Gender and line size factors modulate the deviations of the subjective visual vertical induced by head tilt. BMC Neuroscience. 13, 28 (2012).
  26. Fraser, L. E., Makooie, B., Harris, L. R. The Subjective Visual Vertical and the Subjective Haptic Vertical Access Different Gravity Estimates. PLOS ONE. 10 (12), 0145528 (2015).
  27. Otero-Millan, J., Kheradmand, A. Upright Perception and Ocular Torsion Change Independently during Head Tilt. Frontiers in Human Neuroscience. 10, 573 (2016).
  28. Kim, S. H., Kim, J. S. Effects of Head Position on Perception of Gravity in Vestibular Neuritis and Lateral Medullary Infarction. Frontiers in Neurology. 9, 60 (2018).
  29. Funk, J., Finke, K., Müller, H. J., Utz, K. S., Kerkhoff, G. Effects of lateral head inclination on multimodal spatial orientation judgments in neglect: Evidence for impaired spatial orientation constancy. Neuropsychologia. 48 (6), 1616-1627 (2010).
  30. Winnick, A., Sadeghpour, S., Otero-Millan, J., Chang, T. P., Kheradmand, A. Errors of Upright Perception in Patients With Vestibular Migraine. Frontiers in Neurololgy. 9, 892 (2018).
  31. Deriu, F., Ginatempo, F., Manca, A. Enhancing research quality of studies on VEMP in central neurological disorders: a scoping review. Journal of Neurophysiology. 122 (3), 1186-1206 (2019).
  32. Rosengren, S. M., Colebatch, J. G., Young, A. S., Govender, S., Welgampola, M. S. Vestibular evoked myogenic potentials in practice: Methods, pitfalls and clinical applications. Clinical Neurophysiology Practice. 4, 47-68 (2019).

재인쇄 및 허가

JoVE'article의 텍스트 или 그림을 다시 사용하시려면 허가 살펴보기

허가 살펴보기

더 많은 기사 탐색

158OtolithSVV

This article has been published

Video Coming Soon

JoVE Logo

개인 정보 보호

이용 약관

정책

연구

교육

JoVE 소개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