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VE 비디오를 활용하시려면 도서관을 통한 기관 구독이 필요합니다. 전체 비디오를 보시려면 로그인하거나 무료 트라이얼을 시작하세요.
Method Article
* 이 저자들은 동등하게 기여했습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후 상지 운동 기능 장애에 대한 운동 영상 뇌-컴퓨터 인터페이스(MI-BCI)의 표준 임상 작동에 대한 중요한 참고 자료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뇌졸중 후 중등도 또는 중증의 상지 운동 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의 재활 효과는 좋지 않으며, 이는 직면하는 어려움으로 인해 연구의 초점이 되어 왔습니다.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는 뇌 신경 과학 연구에서 가장 주목받는 첨단 기술입니다. 사용자 또는 대상의 감각 지각, 이미지, 인지 및 사고를 말초 신경이나 근육에 의존하지 않고 행동으로 직접 변환하여 뇌와 외부 장치 간의 직접적인 의사 소통 및 제어 채널을 설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운동 영상 뇌-컴퓨터 인터페이스(MI-BCI)는 비침습적 재활 수단으로서의 재활의 가장 일반적인 임상 응용 분야입니다. 이전 임상 연구에서 MI-BCI가 뇌졸중 후 환자의 운동 기능 장애를 긍정적으로 개선한다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그러나 임상 운영 실증이 부족합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뇌졸중 후 중등도 및 중증의 상지 기능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MI-BCI의 치료를 상세히 설명하고, 임상기능 평가 및 뇌 기능 평가 결과를 통해 MI-BCI의 중재 효과를 보여줌으로써 임상재활 응용 및 기전 연구를 위한 아이디어와 참고 자료를 제공한다.
뇌졸중 환자의 약 85%가운동기능장애를 가지고 있으며1, 특히 중등도 및 중증의 상지 운동기능 장애 환자의 재활 효과가 제한적으로 나타나 환자의 독립적인 일상생활 능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연구의 초점이자 어려움이 되고 있다. 비침습적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는 뇌졸중 후 운동 기능 장애의 재활을 위한 새로운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2. BCI는 사용자 또는 대상의 감각 지각, 이미지, 인지 및 사고를 말초 신경이나 근육에 의존하지 않고 행동으로 직접 변환하여 뇌와 외부 장치 간의 직접적인 통신 및 제어 채널을 설정하는 것입니다3. 현재 임상재활을 위한 BCI의 패러다임에는 운동영상(MI), 정상상태시각유발전위(SSVEP), 청각유발전위(AEP) 등이있으며, 그 중 가장 일반적이고 편리한 것은 운동영상뇌-컴퓨터 인터페이스(MI-BCI)이다. MI는 시각/운동 감각 운동 이미지를 사용하여 운동 작업(예: 손, 팔 또는 발 움직임)의 실행을 시각화하는 중재입니다. 한편으로, 이전의 연구들은 MI 동안 관련 운동 피질의 활성화가 실제 운동 실행과 유사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5. 반면에 다른 패러다임과 달리 MI는 운동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외부 자극 없이 운동 기억을 통해 특정 활동 영역을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뇌졸중 환자, 특히 청각 기능 장애와 결합될 때 도움이 된다6.
또한, MI-BCI는 뇌졸중 환자의 운동 기능 장애를 개선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heng et al.은 단순 소프트 로봇 장갑 중재술과 비교했을 때, MI-BCI 기반의 소프트 로봇 장갑과 일상 생활 활동 중심의 작업을 결합하면 중재 6주 후 만성 뇌졸중 환자에서 더 뚜렷한 기능 개선과 더 지속적인 운동 감각 경험을 보여주었다고 보고했습니다. 또한, 운동 움직임에 대한 인식을 유도할 수 있었다7. 또한, Ang et al.은 무작위 중재를 위해 중등도에서 중증의 상지 기능 장애가 있는 21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를 포함했습니다. 임상 기능은 Fugl-Meyer 상지 평가(FMA-UE)에 의한 중재 전후에 평가되었습니다. 그 결과, 단순 햅틱 노브(HK) 로봇 중재(HK 그룹) 및 표준 팔 치료 중재(SAT 그룹)와 비교했을 때, MI-BCI 중재(BCI-HK 그룹)에 기반한 HK의 모션 이득 효과가 다른 두 그룹보다 유의하게 우수했다8. 그러나 MI-BCI의 구체적인 작동은 여전히 규범적 기준을 필요로 하며, 신경 리모델링의 메커니즘을 완전히 이해해야 하기 때문에 MI-BCI의 임상적 적용 및 홍보가 제한됩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지 운동기능 장애가 있는 36세 남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MI-BCI의 중재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중재 전후의 기능적 결과 변화와 뇌 기능 리모델링을 요약하여 MI-BCI의 완전한 작동 과정을 입증하고, 임상 재활 응용 및 기전 연구를 위한 아이디어와 참고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이 프로젝트는 광저우 의과대학 제5부속병원 의료윤리협회의 승인을 받았습니다(승인 번호. KY01-2021-05-01) 2021년 8월 19일. 이 임상시험은 2021년 8월 19일 중국 임상시험 등록부(등록 번호: NO. ChiCTR2100050162)에 등록되었습니다. 모든 환자는 정보에 입각한 동의서에 서명했습니다.
1. 채용
2. MI-BCI 교육
참고: 이 연구에서는 운동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지 손 기능을 위한 재활 로봇을 선택합니다. 이 장치는 뇌파(EEG) 캡(그림 1A), 컴퓨터 터미널(즉, 제어 인터페이스; 그림 1B), 외부 조작기(그림 1E) 및 23인치 컴퓨터 디스플레이 화면(그림 1C)이 있습니다.
3. 임상평가
4. fNIRS 뇌 기능 평가
이 연구를 위해 양측 배외측 전전두엽 피질(DLPFC), 배외측 프로모터 피질(PMC), 배외측 일차 운동 피질(M1) 및 배외측 일차 감각 피질(S1; 그림 2).
5. 후처리
6. 데이터 처리 및 분석
이 연구는 36세 남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MI-BCI 중재 전후의 뇌 기능의 임상적 기능과 리모델링을 제시합니다. 뇌출혈 후 4개월 이상 경과한 후 영상 검사 결과 우측 전두엽과 우측 기저핵 영역-방사선 크라운 영역에서 만성 출혈 집중이 관찰되었습니다. 환자는 뇌출혈로 인한 회복기 중 왼쪽 사지 운동 기능 장애 진단을 받았습니다. MI-BCI의 간단한 외래 환자 치료는 병원에서 10일(30분/세션/일) ...
뇌졸중 후 중등도 및 중증의 상지 운동기능 장애는 재활 기간이 길고 회복이 어려워 항상 임상 재활 연구의 초점이 되어 왔다18. 전통적인 상지 재활 훈련은 대부분 단순 말초 중재 또는 중추 중재19. 한편, 중등도 및 중증 사지 기능 장애 환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부족하여 수동적 치료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재활 효과는 미흡하다20. 따라서 새?...
저자는 밝힐 것이 없습니다.
이 연구는 광둥성 국립과학재단(No.2023A1515010586), 광저우 임상특성기술 구축사업(2023C-TS19), 광동성 교육과학계획사업(No.2022GXJK299), 광저우시 보건 및 가족계획 일반지도 프로그램(20221A011109, 20231A011111), 2022년 광저우 고등교육 교육 품질 및 교육 개혁 프로젝트 고등 교육 개혁 일반 프로젝트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No.2022JXGG088/02-408-2306040XM), 2022년 광저우 의과대학 학생 혁신 능력 향상 계획 프로젝트(No.PX-66221494/02-408-2304-19062XM), 2021년 학교 수준 교육 과학 계획 프로젝트(2021: NO.45), 2023년 고급 대학 일류 학부 전공 구축 기금(2022JXA009, 2022JXD001, 2022JXD003)/(02-408-2304-06XM)), 광저우 교육국 대학 연구 프로젝트(202235384호), 2022년 광저우 의과대학 학부 교육 품질 및 교육 개혁 프로젝트(2022년 33호), 광둥성 국가과학재단(2021A1515012197), 광저우 및 대학 재단(202102010100호).
Name | Company | Catalog Number | Comments |
MI-BCI | Rui Han, China | RuiHan Bangde | NA |
E-Prime | version 3.0 | behavioral research software. | |
fNIRS | Hui Chuang, China | NirSmart-500 | NA |
NirSpark | preprocess near-infrared data |
An erratum was issued for: Motor Imagery Brain-Computer Interface in Rehabilitation of Upper Limb Motor Dysfunction After Stroke. The Authors section was updated from:
Yongchun Jiang1,2,3
Junxiao Yin4
Biyi Zhao1,3,5
Yajie Zhang1,3
Tingting Peng1,3
Wanqi Zhuang1,3
Siqing Wang1,3
Siqi Huang1,3
Meilian Zhong1,2,3
Yanni Zhang1,3
Guibing Tang1,3
Bingchi Shen6
Haining Ou1,3
Yuxin Zheng2,3
Qiang Lin2,3
1Guangzhou Medical University
2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The Seventh Affiliated Hospital of Sun Yat-sen University
3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The Fifth Affiliated Hospital of Guangzhou Medical University
4Clinical Medical College of Acupuncture and Rehabilitation, Guangzhou Universit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5Schoo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Jinan University
6Department of Stomatology, Second Clinical Medical College, Dongguan Campus of Guangdong Medical University
to:
Yongchun Jiang1,2,3
Junxiao Yin4
Biyi Zhao1,3,5
Yajie Zhang1,3
Tingting Peng1,3
Wanqi Zhuang1,3
Siqing Wang1,3
Siqi Huang1,3
Meilian Zhong1,3
Yanni Zhang1,3
Guibing Tang1,3
Bingchi Shen6
Haining Ou1,3
Yuxin Zheng2,3
Qiang Lin2,3
1Guangzhou Medical University
2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The Seventh Affiliated Hospital of Sun Yat-sen University
3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The Fifth Affiliated Hospital of Guangzhou Medical University
4Clinical Medical College of Acupuncture and Rehabilitation, Guangzhou Universit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5Schoo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Jinan University
6Department of Stomatology, Second Clinical Medical College, Dongguan Campus of Guangdong Medical University
JoVE'article의 텍스트 или 그림을 다시 사용하시려면 허가 살펴보기
허가 살펴보기This article has been published
Video Coming Soon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