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델(Mendel)은 완두콩 식물을 교배할 때 부모의 형질(trait) 중 하나가 때때로 F1 세대라고 불리는 첫 번째 자손 세대에 사라지고 다음 세대에 다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챘습니다. 그는 한 형질이 다른 형질을 가릴 수 있고, 따라서 F1 세대에서는 한 형질이 숨는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그가 F1 식물을 교배했을 때, F2세대의 75%의 자손이 현성적(dominant)인 표현형(phenotype)을 가지고 있고, 25%는 잠성적(recessive)인 표현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주: 우성적(dominant) 또는 열성적(recessive)이라고 표현할 수 있지만, 우성/열성은 현성/잠성으로 개선해야 할 표현입니다).
이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멘델의 모델은 네 부분으로 되어 있었습니다. 첫째, 대립유전자(allele)라고 불리는 유전자의 대체 버전은 형질의 차이를 설명합니다. 둘째, 유기체는 각 유전자의 두 사본을 (즉, 각 부모에게서 하나씩) 물려받습니다. 셋째, 현성 대립유전자의 존재는 잠성 대립유전자를 가립니다. 넷째, 형질에 대한 두 개의 대립유전자는 배우자(gamete) 형성 중에 분리됩니다. 이 모델의 마지막 부분을 분리의 법칙(Law of Segregation)이라고 부릅니다. 만약 부모가 두 개의 다른 대립유전자를 가지고 있다면 (즉, 이형접합적(heterozygous)인 경우), 이 대립유전자는 배우자 형성 중에 동등하게, 또 무작위로 분리될 것입니다. 현대 과학자들은 감수분열(meiosis) 중 일어나는 염색체의 분리가 부모의 대립유전자 분리를 설명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보라색 꽃 식물(유전자형(genotype) PP)과 흰색 꽃 식물(pp)의 교배에 대해 생각해 보겠습니다. 교배로 생성된 F1 세대에는 보라색 꽃(Pp)만 있습니다. 이 표현형은 멘델 모델의 세 번째 부분으로 설명되는데, 현성 보라색 대립유전자가 잠성 흰색 대립유전자를 가리기 때문입니다. 이다음 F1 식물이 교배되면(Pp x Pp), 자손은 보라색 또는 흰색일 수 있는데 이 비율이 3개의 보라색 대 1개의 흰색으로 나타납니다. 이에 해당하는 유전자형 비율은 1PP : 2Pp : 1pp입니다. 이 같은 결과는 멘델의 분리의 법칙에 의해 설명됩니다. 각 식물이 각 부모로부터 하나의 대립유전자를 물려받았기 때문입니다.
장에서 12:
Now Playing
고전과 현대 유전학
59.9K Views
고전과 현대 유전학
96.4K Views
고전과 현대 유전학
106.4K Views
고전과 현대 유전학
224.4K Views
고전과 현대 유전학
69.7K Views
고전과 현대 유전학
80.1K Views
고전과 현대 유전학
36.2K Views
고전과 현대 유전학
33.6K Views
고전과 현대 유전학
63.8K Views
고전과 현대 유전학
42.0K Views
고전과 현대 유전학
36.2K Views
고전과 현대 유전학
20.2K Views
고전과 현대 유전학
50.2K Views
고전과 현대 유전학
49.6K Views
고전과 현대 유전학
95.8K Views
See More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