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JoVE 비디오를 활용하시려면 도서관을 통한 기관 구독이 필요합니다. 전체 비디오를 보시려면 로그인하거나 무료 트라이얼을 시작하세요.

기사 소개

  • 요약
  • 초록
  • 서문
  • 프로토콜
  • 결과
  • 토론
  • 공개
  • 감사의 말
  • 자료
  • 참고문헌
  • 재인쇄 및 허가

요약

여기에서 우리는 급성 심근 허혈 재관류 연구를 위해 쥐의 전통적인 절차를 기술적으로 수정하여 좌전하행 관상동맥 결찰술의 품질 관리에 초점을 맞춘 프로토콜을 제시합니다.

초록

관상 동맥 심장 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주요 사망 원인입니다. 관상동맥의 혈류가 완전히 중단되면 ST 분절 상승 심근경색증(STEMI)이 발생하여 높은 사망률과 관련된 심인성 쇼크 및 치명적인 부정맥이 발생합니다. 관상동맥 재개통을 위한 1차 관상동맥 중재술(PCI)은 STEMI의 결과를 크게 개선하지만, Door-to-balloon 시간을 단축하는 발전은 병원 내 사망률을 줄이는 데 실패하여 추가적인 치료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쥐의 좌전하행 관상동맥(LAD) 결찰은 PCI를 통한 신속한 관상동맥 재개통이 STEMI에 사용되는 임상 시나리오와 유사한 급성 심근 IR 연구를 위한 동물 모델입니다. 그러나 PCI 유발 STEMI는 높은 사망률과 경색 크기의 큰 변화와 관련된 기술적으로 어렵고 복잡한 수술입니다. 우리는 LAD 결찰을 위한 이상적인 위치를 식별하고, 올가미 루프를 제어하는 장치를 만들고, 수정된 수술 조작을 지원하여 조직 손상을 줄여 쥐를 위한 신뢰할 수 있고 재현 가능한 급성 심근 허혈 재관류(IR) 연구 프로토콜을 수립했습니다. 이것은 비 생존 수술입니다. 우리는 또한 후속 생화학 분석의 정확성을 결정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인 연구 결과의 품질을 검증하는 방법을 제안합니다.

서문

허혈성 심장 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주요 사망 원인입니다 1,2. 관상 동맥 심장 질환의 발병을 예방하기 위한 수정 가능한 위험 인자의 통제 외에도 급성 관상 동맥 증후군 3,4에 대한 치료 전략이 결정적으로 필요합니다. 급성 ST-분절 상승 심근경색증(STEMI)에서 심인성 쇼크 및 치명적인 부정맥은 병원 내 사망률의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5,6,7,8. 1차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CI)은 STEMI 9,10,11에 선호되는 치료법입니다. 그러나, 치료 효과는 door-to-balloon 시간이 <90분일 때 상한선이 있다12,13. 질환의 임상 결과를 추가로 개선하기 위한 추가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14,15,16,17,18,19.

쥐의 좌전하행동맥(LAD) 결찰을 포함하는 급성 심근 허혈-재관류(IR) 실험은 STEMI 환자가 허혈성 손상으로부터 심장을 구출하기 위해 짧은 door-to-balloon 시간이 필요한 임상 시나리오에 필적하는 동물 모델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작은 동물에서 수술로 인한 STEMI는 높은 사망률과 경색 크기20,21,22,23,24의 높은 변화와 관련된 복잡한 수술이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기술적 과제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기술적 수정을 통해 신뢰할 수 있고 재현 가능한 급성 심근 IR 연구 프로토콜을 확립하기 위해 쥐(쥐보다 크기 때문에)에서 포괄적이고 효과적인 동물 모델을 개발했습니다. 제안된 프로토콜은 수술 합병증이 적고 조직 손상이 적으며 수술 중 사망 가능성이 적습니다. 또한 경색 크기와 위험 영역(AAR)을 측정하여 연구 결과의 품질을 검증하는 절차가 사용되었습니다. 제안된 프로토콜은 손상에 대한 새로운 치료 전략을 개발하기 위해 급성 심근 IR 스트레스의 병태생리학적 과정을 조사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프로토콜

모든 동물 실험은 미국 국립 보건원에 의해 발행된 Guide for the Care and Use of Laboratory Animals(NIH 간행물 번호 85-23, 1996년 개정판)에 따라 수행되었다. 연구 프로토콜은 Fu-Jen Catholic University의 기관 동물 관리 및 사용 위원회의 지침에 따라 승인되었습니다.

1. 수술 전 준비

  1. 식염수 습식 면봉의 준비
    1. 수술 용 마스크와 장갑을 착용하십시오.
    2. 멸균 된 면화의 작은 부분을 꼬집고 굴려서 공 모양을 만듭니다. 이 절차를 반복합니다.
    3. 면봉을 멸균 0.9 % 식염수에 담그고 여분의 식염수를 짠다.
    4. 면봉은 75% 에탄올로 멸균된 깨끗한 상자에 보관하십시오.
  2. 홀딩 후크 준비.
    1. 수술 용 마스크와 장갑을 착용하십시오.
    2. 클립과 고무 밴드를 75 % 에탄올로 소독하십시오.
    3. 클립을 가슴 벽과 조직의 고리 모양으로 구부립니다.
    4. 구부러진 클립을 1개, 2개 또는 3개의 고무 밴드로 연결하여 수술 창의 상처로 인한 장력이 LAD 결찰에 충분히 넓은지 확인합니다.
    5. 75 % 에탄올로 멸균 된 깨끗한 상자에 최소 5 개의 수제 후크를 준비하고 보관하십시오.
  3. 결찰 루프의 준비.
    1. 7-0 실크 스티치의 중간을 테이퍼 형 비 스웨이지 수술 바늘의 1/2 원 크기 3 스프링 눈에 놓습니다.
  4. 스네어 루프 제어기 준비
    1. 가위를 사용하여 5mm 폴리에틸렌(PE)-10 튜브를 자릅니다.
    2. 튜브를 화염으로 가열하고 부드럽게 하여 양쪽 가장자리를 매끄럽게 합니다.
  5. 쥐 준비
    1. 최소 무게가 250g인 8주 된 Sprague-Dawley 수컷 쥐를 선택하십시오.
    2. 음식, 표준 마우스 알갱이 및 수돗물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제어된 온도(21°C ± 2°C)에서 12시간의 명암 주기 하에 쥐를 수용하고 유지합니다.
    3. 쥐를 펜토바르비탈(50mg/kg, 복강내 투여)로 마취합니다.
      참고: 추가 마취제(펜토바르비탈, 30mg/kg)는 매시간 투여해야 합니다.
    4. 꼬리와 뒷발을 꼬집어 쥐의 반사 신경을 확인하여 동물이 충분히 마취되었는지 확인하십시오.
    5. 가위를 사용하여 성문 아래의 두 카트리지 링 사이의 조직을 열고 기관내 튜브25 역할을 하도록 3cm PE-10 튜브를 삽입합니다.
    6. 기관내관을 인공호흡기에 수동으로 연결합니다.
    7. 폐가 적절하게 환기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호흡 주기와 동기화된 동물의 흉부 움직임을 검사합니다.
    8. 목 부위를 열고 경정맥을 캐뉼라(26)로 만듭니다.

2. LAD 결찰

  1. 수술 용 마스크와 장갑을 착용하십시오.
  2. 가슴을 만지고 manubrium과 흉골 각도 (manubrium과 흉골 몸체의 교차점)를 찾으십시오.
  3. 흉골 각도(늑골 A)와 연결되는 왼쪽 늑골을 수동으로 터치하여 식별합니다.
  4. 갈비뼈 A 바로 아래의 늑간 공간을 확인하십시오. 미세한 집게를 사용하여 늑간 공간 가까이에서 피부를 부드럽게 들어 올린 다음 칼날이 달린 수술용 메스를 사용하여 흉골체의 왼쪽으로 약 5mm 지점에서 피부 장력선을 따라 1cm 비스듬한 절개를 만듭니다.
  5. 구부러진 집게를 사용하여 절개 부위에서 피부와 근육층을 부드럽게 분리합니다. 왼쪽 전방 흉벽 바깥쪽의 근육층을 구부러진 클립으로 아래쪽으로 걸어 갈비뼈를 아래에 노출시킵니다.
  6. 갈비뼈 A(갈비뼈 B) 아래의 갈비뼈를 식별합니다. 갈비뼈 연골 중앙에서 뭉툭한 가위로 갈비뼈 B를 자릅니다 (흉골 몸체에서 약 2-3mm). 출혈이 발생하면 식염수 젖은 면봉으로 상처를 몇 초 동안 부드럽게 만지고 압축하십시오.
  7. 4 개의 구부러진 클립으로 갈비뼈 B의 절단에서 흉부를 조심스럽게 엽니 다. 구부러진 각 클립은 늑간 근육과 갈비뼈를 연결하여 흉벽을 네 방향(즉, 위, 왼쪽, 오른쪽, 왼쪽, 오른쪽)으로 부드럽게 펼치고 직사각형 수술 창을 만들어야 합니다.
  8. 시술 중 우발적인 조직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구부러진 클립으로 심낭을 덮고 있는 왼쪽 폐 및 기타 인접 조직에 부드럽게 연결합니다.
  9. 집게로 얇은 심낭을 부드럽게 제거하여 심장을 노출시킵니다. 일반적으로 폐동맥과 왼쪽 귓바퀴 사이에 있는 왼쪽 주관동맥(LMCA)의 1번째 가지를 식별합니다. LMCA와 LAD는 왼쪽 귓바퀴의 가장자리에서 정점을 향해 이어지는 표면의 밝은 빨간색 선으로 나타납니다.
  10. 준비된 수술 바늘을 사용하여 실수로 왼쪽 귓바퀴에 구멍이 뚫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LMCA의 1번째 분기 바로 원위 위치에 LAD 아래에 실크 스티치를 삽입하고 LAD의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통과시켜 열린 결찰 루프를 만듭니다. 단일 봉합사로 개방 루프가 생성됩니다. 심장 표면을 덮고 있는 체액이나 혈액으로 인해 LAD가 보이지 않는 경우 심장 표면을 부드럽게 면봉으로 닦아 관상 동맥을 시각화합니다.
  11. 봉합사의 한쪽을 잡고 바늘 홀더를 사용하여 봉합사에서 바늘을 부드럽게 분리합니다.
  12. 개방 루프의 한쪽에 있는 실크 봉합사의 두 끝을 다른 쪽의 원에 삽입하여 스네어 루프를 형성합니다.
  13. 루프를 닫기 전에 스네어 루프의 실크 봉합사의 두 끝을 준비된 스네어 컨트롤러에 삽입하십시오.
  14. 실크 봉합사를 따라 스네어 루프 컨트롤러를 밀면서 실크를 부드럽게 늘려 스네어 루프를 닫습니다. LAD의 관상동맥 흐름을 중단하여 1시간 동안 일시적인 심근 허혈을 유도합니다.
  15. 루프가 단단히 묶이면 실크를 잡고 켈리 집게로 스네어 루프 컨트롤러의 위치를 고정합니다. LAD 결찰 중에 켈리 집게의 다른 쪽 끝을 수술대에 놓습니다.
  16. LAD 결찰 중 식염수 젖은 면봉으로 수술 창을 덮습니다.
  17. 켈리 집게를 엽니다.
  18. 2시간 동안 관상동맥 흐름의 재관류를 위해 스네어 루프 컨트롤러를 해제합니다.
  19. 기저부와 혈관 경계를 따라 심장을 조심스럽게 절제하고 조직을 잡지 마십시오.
    참고: 40% 케이지 부피/분의 유속으로CO2로 쥐를 안락사시킵니다.

결과

심근 허혈 및 재관류가 끝나면 추가 생화학적 또는 분자 분석 전에 LAD 결찰의 품질을 평가해야 합니다.

결찰을 통한 LAD 폐색의 충분성은 중심 정맥 카테터를 통해 2% Evan's blue 염료 1mL를 주입하여 측정했습니다. 이어서, 관상동맥 관류가 있는 심근은 적색으로 남아있는 비관류 영역과 비교하여 청색으로 염색되었다(도 1A). 빨간색 영역은 심근 경색의 AAR입...

토론

제안된 프로토콜은 LAD 결찰을 위한 정확한 위치 식별, 단일 봉합사에서 올가미 루프를 제어하는 장치 생성, 조직 손상을 줄이기 위한 수정된 수술 조작 지원과 같은 몇 가지 독특한 기능을 가지고 있어 연구자들이 LAD를 정확하고 안전하며 일관되게 결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급성 심근 IR 연구를 위해 올가미 루프의 상태를 즉시 제어할 수 있습니다.

LAD 결찰의 위치는 심근 ?...

공개

저자는이 기사의 출판과 관련하여 이해 상충이 없음을 선언합니다.

감사의 말

이 모델은 대만 과학기술부(MOST 109-2320-B-030-006-MY3)의 재정 지원으로 개발되었습니다.

자료

NameCompanyCatalog NumberComments
Evan’s blueSigma AldrichE2129
ForcepsShinva
PentobarbitalSigma Aldrich1507002
Scalpel bladesShinvas2646
Scalpel handlesShinva
Silk suturesSharpointTMDC-2150N
Surgical needleAnchorTM
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TTC) solutionSolarbioT8170-1
VentilatorHarvard Rodent Ventilator

참고문헌

  1. Khan, M. A., et al. Global epidemiology of ischemic heart disease: Results from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Cureus. 12 (7), 9349 (2020).
  2. Nowbar, A. N., Gitto, M., Howard, J. P., Francis, D. P., Al-Lamee, R. Mortality from ischemic heart disease. Circulation: Cardiovascular Quality and Outcomes. 12 (6), 005375 (2019).
  3. Kuo, F. Y., et al. Effect of CYP2C19 status on platelet reactivity in Taiwanese acute coronary syndrome patients switching to prasugrel from clopidogrel: Switch Study. Journal of the Formosan Medical Association. , (2022).
  4. Li, Y. H., et al. Guidelines of the Taiwan Society of Cardiology, Taiw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and Taiwan Society of Cardiovascular Interventions for the management of non ST-segment elevation acute coronary syndrome. Journal of the Formosan Medical Association. 117 (9), 766-790 (2018).
  5. Liu, Y. B., et al. Dyslipidemia is associated with ventricular tachyarrhythmia in patients with acute ST-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Journal of the Formosan Medical Association. 105 (1), 17-24 (2006).
  6. Anghel, L., Sascău, R., Stătescu, C. Myocardial infarction with cardiogenic shock-the experience of a primary PCI center from North-East Romania. Signa Vitae. 17 (5), 64-70 (2021).
  7. Samat, A. H. A., Embong, H., Harunarashid, H., Maskon, O. Predicting ventricular arrhythmias and in-hospital mortality in acute coronary syndrome patients presenting to the emergency department. Signa Vitae. 16 (1), 55-64 (2020).
  8. Wang, Y. C., et al. Outcome of primary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in octogenarian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Journal of the Formosan Medical Association. 105 (6), 451-458 (2006).
  9. Markovic, D., et al. Effects of a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or conservative treatment strategy on treatment outcomes in elderly female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Signa Vitae. 12 (1), 96-100 (2016).
  10. Hannan, E. L., et al. Effect of onset-to-door time and door-to-balloon time on mortality in patients undergoing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s for ST-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106 (2), 143-147 (2010).
  11. McNamara, R. L., et al. Effect of door-to-balloon time on mortality in patients with ST-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47 (11), 2180-2186 (2006).
  12. Pehnec, Z., Sinkovië, A., Kamenic, B., Marinšek, M., Svenšek, F. Baseline characteristics, time-to-hospital admission and in-hospital outcomes of patients hospitalized with ST-segment elevation acute coronary syndromes, 2002 to 2005. Signa Vitae. 4 (1), 14-20 (2009).
  13. Menees, D. S., et al. Door-to-balloon time and mortality among patients undergoing primary PCI.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69 (10), 901-909 (2013).
  14. Ku, H. C., Chen, W. P., Su, M. J. DPP4 deficiency preserves cardiac function via GLP-1 signaling in rats subjected to myocardial ischemia/reperfusion. Naunyn-Schmiedeberg's Archives of Pharmacology. 384 (2), 197-207 (2011).
  15. Lee, S. Y., Ku, H. C., Kuo, Y. H., Chiu, H. L., Su, M. J. Pyrrolidinyl caffeamide against ischemia/reperfusion injury in cardiomyocytes through AMPK/AKT pathways. Journal of Biomedical Science. 22 (1), 18 (2015).
  16. Ku, H. C., et al. TM-1-1DP exerts protective effect against myocardial ischemia reperfusion injury via AKT-eNOS pathway. Naunyn-Schmiedeberg's Archives of Pharmacology. 388 (5), 539-548 (2015).
  17. Ku, H. C., Lee, S. Y., Yang, K. C., Kuo, Y. H., Su, M. J. Modification of caffeic acid with pyrrolidine enhances antioxidant ability by activating AKT/HO-1 pathway in heart. PLoS ONE. 11 (2), 0148545 (2016).
  18. Alonso-Herranz, L., et al. Macrophages promote endothelial-to-mesenchymal transition via MT1-MMP/TGFbeta1 after myocardial infarction. eLife. 9, 57920 (2020).
  19. Liu, J., Zheng, X., Zhang, C., Zhang, C., Bu, P. Lcz696 alleviates myocardial fibrosis after myocardial infarction through the sFRP-1/Wnt/beta-catenin signaling pathway. Frontiers in Pharmacology. 12, 724147 (2021).
  20. Goldman, S., Raya, T. E. Rat infarct model of myocardial infarction and heart failure. Journal of Cardiac Failure. 1 (2), 169-177 (1995).
  21. Ke, J., Zhu, C., Zhang, Y., Zhang, W. Anti-arrhythmic effects of linalool via Cx43 expression in a rat model of myocardial infarction. Frontiers in Pharmacology. 11, 926 (2020).
  22. Houde, M., et al. Mouse mast cell protease 4 deletion protects heart function and survival after permanent myocardial infarction. Frontiers in Pharmacology. 9, 868 (2018).
  23. Chen, J., Ceholski, D. K., Liang, L., Fish, K., Hajjar, R. J. Variability in coronary artery anatomy affects consistency of cardiac damage after myocardial infarction in mice.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Heart and Circulatory Physiology. 313 (2), 275-282 (2017).
  24. Kainuma, S., et al. Influence of coronary architecture on the variability in myocardial infarction induced by coronary ligation in rats. PLoS ONE. 12 (8), 0183323 (2017).
  25. Heil, J., Schlapfer, M. A reproducible intensive care unit-oriented endotoxin model in rats. Journal of Visualized Experiments. (168), e62024 (2021).
  26. Schleimer, K., et al. Training a sophisticated microsurgical technique: Interposition of external jugular vein graft in the common carotid artery in rats. Journal of Visualized Experiments. (69), e4124 (2012).
  27. Lindsey, M. L., et al. Guidelines for experimental models of myocardial ischemia and infarction.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Heart and Circulatory Physiology. 314 (4), 812-838 (2018).
  28. Li, H., et al. A new model of heart failure post-myocardial infarction in the rat. Journal of Visualized Experiments. (172), e62540 (2021).
  29. Opitz, C. F., Mitchell, G. F., Pfeffer, M. A., Pfeffer, J. M. Arrhythmias and death after coronary artery occlusion in the rat. Continuous telemetric ECG monitoring in conscious, untethered rats. Circulation. 92 (2), 253-261 (1995).
  30. Kawashima, T., Sato, F. Clarifying the anatomy of the atrioventricular node artery. 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logy. 269, 158-164 (2018).
  31. Vikse, J., et al. Anatomical variations in the sinoatrial nodal artery: A meta-analysis and clinical considerations. PLoS ONE. 11 (2), 0148331 (2016).
  32. Xu, Z., Alloush, J., Beck, E., Weisleder, N. A murine model of myocardial ischemia-reperfusion injury through ligation of the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Journal of Visualized Experiments. (86), e51329 (2014).
  33. Klocke, R., Tian, W., Kuhlmann, M. T., Nikol, S. Surgical animal models of heart failure related to coronary heart disease. Cardiovascular Research. 74 (1), 29-38 (2007).
  34. De Villiers, C., Riley, P. R. Mouse models of myocardial infarction: Comparing permanent ligation and ischemia-reperfusion. Disease Models & Mechanisms. 13 (11), (2020).
  35. Reichert, K., et al. Murine left anterior descending (LAD) coronary artery ligation: An improved and simplified model for myocardial infarction. Journal of Visualized Experiments. (122), e55353 (2017).
  36. Lugrin, J., Parapanov, R., Krueger, T., Liaudet, L. Murine myocardial infarction model using permanent ligation of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Journal of Visualized Experiments. (150), e59591 (2019).
  37. Wu, Y., Yin, X., Wijaya, C., Huang, M. H., McConnell, B. K.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n rats. Journal of Visualized Experiments. (48), e2464 (2011).
  38. Muthuramu, I., Lox, M., Jacobs, F., De Geest, B. Permanent ligation of the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in mice: a model of post-myocardial infarction remodelling and heart failure. Journal of Visualized Experiments. (94), e52206 (2014).
  39. Langer, K. On the anatomy and physiology of the skin. British Journal of Plastic Surgery. 31 (4), 277-278 (1978).
  40. Carmichael, S. W. The tangled web of Langer's lines. Clinical Anatomy. 27 (2), 162-168 (2014).
  41. Chang, L. R., Marston, G., Martin, A. Anatomy, Cartilage. StatPearls. , (2022).
  42. Kolk, M. V., et al. LAD-ligation: A murine model of myocardial infarction. Journal of Visualized Experiments. (32), e1438 (2009).

재인쇄 및 허가

JoVE'article의 텍스트 или 그림을 다시 사용하시려면 허가 살펴보기

허가 살펴보기

더 많은 기사 탐색

190

This article has been published

Video Coming Soon

JoVE Logo

개인 정보 보호

이용 약관

정책

연구

교육

JoVE 소개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