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VE 비디오를 활용하시려면 도서관을 통한 기관 구독이 필요합니다. 전체 비디오를 보시려면 로그인하거나 무료 트라이얼을 시작하세요.
이 프로토콜은 phorbol 12-myristate 13-아세테이트로 바이러스 용해 주기를 유도할 때 인간 P3HR1 세포주에서 Epstein-Barr 바이러스 입자의 분리를 허용합니다. 이어서 바이러스 제제에서 DNA를 추출하고 실시간 PCR을 수행하여 바이러스 입자 농도를 정량화합니다.
공식적으로 인간 헤르페스 바이러스 4 (HHV-4)로 지정된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EBV)는 최초의 분리 된 인간 종양 바이러스입니다. 전 세계 성인 인구의 거의 90-95%가 EBV에 감염되어 있습니다. 최근 분자생물학 및 면역학의 발전으로 시험관 내 및 생체 내 실험 모델의 적용은 EBV 관련 종양 발생뿐만 아니라 많은 질병에서 EBV의 발병 기전에 대한 깊고 의미 있는 통찰력을 제공했습니다. 이 시각화된 실험 논문의 목적은 P3HR1 세포주의 세포에서 EBV 바이러스 입자를 분리한 후 바이러스 제제를 정량화하는 개요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원래 인간 버킷 림프종에서 분리된 P3HR1 세포는 제2형 EBV 균주인 P3HR1 바이러스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EBV 용균 주기는 포볼 12-미리스테이트 13-아세테이트(PMA)로 처리하여 이러한 P3HR1 세포에서 유도되어 EBV 바이러스 입자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EBV 입자의 분리를 위해 이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P3HR1 세포를 35ng/mL PMA를 포함하는 완전한 RPMI-1640 배지에서 37°C 및 5%CO2 에서 5일 동안 배양합니다. 이어서, 배양 배지를 120 x g 의 속도로 8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펠렛화한다. 그런 다음 바이러스 함유 상청액을 수집하고 16,000 x g 의 속도로 90분 동안 회전시켜 EBV 입자를 펠릿화합니다. 그런 다음 바이러스 펠릿을 완전한 RPMI-1640 배지에 재현탁합니다. 그런 다음 DNA 추출 및 정량적 실시간 PCR을 수행하여 제제에서 EBV 입자의 농도를 평가합니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BV)는 분리된 최초의 인간 종양 바이러스입니다1. 공식적으로 인간 헤르페스 바이러스 4 (HHV-4)2라고하는 EBV는 헤르페스 바이러스 계열의 감마 헤르페스 바이러스 아과의 일부이며 림프 암호 바이러스 속의 원형입니다. 전 세계 성인 인구의 거의 90-95%가 바이러스에 감염됩니다3. 대부분의 경우 초기 감염은 생후 3 년 이내에 발생하며 무증상이지만 청소년기에 늦게 감염이 발생하면 전염성 단핵구증4이라고하는 질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EBV는 휴지기 B 세포를 감염시켜 바이러스가 잠복 감염 상태를 확립하고 유지하는 증식성 B 림프구가 되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5. EBV는 언제든지 재활성화될 수 있으므로 재발성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6.
지난 50년 동안, 일부 바이러스와 인간 악성 종양의 발달 사이의 연관성이 점점 더 명백해졌고, 오늘날 모든 인간 암의 15% 내지 20%가 바이러스 감염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7. EBV를 포함한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이러한 유형의 종양 바이러스8에 대해 가장 잘 연구 된 예 중 일부입니다. 실제로 EBV는 버킷 림프종(BL), 호지킨 림프종(HL),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 및 면역저하 숙주 9,10의 림프증식성 질환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인간 악성 종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EBV는 또한 전신성 자가면역 질환의 발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자가면역 질환의 예로는 류마티스 관절염(RA), 다발성 근염-피부근염(PM-DM),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SLE), 혼합 결합 조직 질환(MCTD) 및 쇼그렌 증후군(SS)11이 있습니다. EBV는 또한 염증성 장 질환(IBD)의 발병과 관련이 있습니다12.
이러한 질병의 대부분은 세포 배양, 마우스 또는 EBV에 감염된 기타 유기체를 사용하여 연구하거나 모델링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EBV 입자는 시험관 내 또는 생체 내 모델13,14,15,16에 관계없이 세포 또는 유기체를 감염시키는 데 필요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바이러스 입자를 분리 할 수있는 기술을 개발해야합니다. 여기에 설명된 프로토콜은 상대적으로 접근 가능한 세포주에서 EBV 입자를 안정적으로 분리하고 대부분의 실험실에서 비용 효율적이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real-time PCR을 사용하여 입자를 정량하는 쉬운 방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이는 상이한 세포주17,18,19,20으로부터 EBV를 단리하기 위해 기술된 몇몇 다른 방법과 비교된다.
P3HR-1은 현탁액에서 자라며 EBV 유형 2 균주에 잠복하는 BL 세포주입니다. 이 세포주는 EBV 생산자이며 바이러스 입자를 생성하도록 유도 될 수 있습니다. 이 원고의 목표는 P3HR-1 세포주에서 EBV 입자를 분리한 다음 나중에 시험관 내 및 생체 내 EBV 실험 모델 모두에 사용할 수 있는 바이러스 스톡의 정량화를 허용하는 방법을 선보이는 것입니다.
알림: EBV는 잠재적으로 생물학적 위험 물질로 간주되어야 하므로 생물안전 레벨 2 이상의 격리에서 취급해야 합니다. 실험실 코트와 장갑을 착용해야합니다. 튀김에 노출 될 가능성이있는 경우 눈 보호도 고려해야합니다. 다음 절차는 생물학적 안전 캐비닛에서 수행해야합니다.
1. P3HR1 세포 계수
그림 1: 혈구계 챔버를 사용한 세포 계수. 4 개의 사분면은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여 계산됩니다. 이 사분면은 녹색으로 표시됩니다. 여기에 설명된 프로토콜의 단계 1.3.3에 표시된 공식에서 계수된 총 세포 수는 사분면 1, 2, 3 및 4에 있는 세포 수의 합입니다. 파란색으로 표시된 셀은 계산해야 하지만 빨간색으로 표시된 셀은 사분면의 위쪽, 오른쪽, 아래쪽 또는 왼쪽 테두리에 닿기 때문에 계산해서는 안 됩니다.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2. 문화를위한 접시 준비
3.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입자의 유도 및 분리
4. 바이러스 입자에서 DNA 추출
주의 : 페놀은 독성과 부식성이 있으며 심각한 화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취급 할 때는 각별히주의해야합니다. 페놀은 빛에 민감하며 빛이나 공기와 접촉하면 산화됩니다. 내광성 용기에 보관하거나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불투명 한 물질로 페놀 튜브를 덮으십시오.
5. DNA 농도 및 순도 확인
6.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에 의한 정량화
7. 바이러스 입자의 생물학적 활성/감염성 확인
이 절차의 목표는 알려진 바이러스 역가를 가진 현탁액에서 EBV 입자를 분리하여 나중에 EBV 감염을 모델링하는 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절차에서 가장 높은 EBV 수율을 얻기 위해 다양한 시약의 최적 농도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가장 많은 수의 EBV 입자를 생성하는 PMA 및 DMSO의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최적화 시험이 수행되었습니다(
EBV 입자의 생산은이 바이러스의 생물학 및 관련 질병을 이해하는 데 필요합니다. 여기에서는 P3HR-1 세포주에서 이러한 입자의 생산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이 세포주는 유일한 EBV 생산자 계통이 아닙니다. 실제로 EBV 입자는 B95-8 세포21,22 및 Raji 세포 주18,19에서도 분리되었습니다. EBV 용균 주기는 n-부티레이트?...
저자는 이해 상충이 없음을 선언합니다.
이 작업에 대한 자금은 Asmar Research Fund, 레바논 국립 과학 연구위원회 (L-CNRS) 및 베이루트 아메리칸 대학교의 의료 실무 계획 (MPP)의 응급실 보조금으로 지원되었습니다.
Name | Company | Catalog Number | Comments |
0.2 mL thin-walled PCR tubes | Thermo Scientific | AB0620 | Should be autoclaved before use |
0.2-10 µL Microvolume Filter Tips | Corning | 4807 | Should be autoclaved before use |
0.5-10 µL Pipette | BrandTech | 704770 | |
10 mL Disposable Serological Pipette | Corning | 4488 | |
1000 µL Filtered Pipette Tips | QSP | TF-112-1000-Q | |
100-1000 µL Pipette | Eppendorf | 3123000063 | |
100x20 mm Cuture Plates | Sarstedt | 83.1802 | |
10-100 µL Pipette | BrandTech | 704774 | |
15 mL Conical Tubes | Corning | 430791 | |
200 µL Filtered Pipette Tips | QSP | TF-108-200-Q | |
20-200 µL Pipette | Eppendorf | 3123000055 | |
50 mL Conical Tubes | Corning | 430828 | |
CFX96 Real-Time C-1000 Thermal Cycler | Bio-Rad | 184-1000 | |
DMSO | Amresco | 0231 | |
DNase/RNase Free Water | Zymo Research | W1001-1 | |
EBER Primers | Macrogen | N/A | Custom Made Primers |
EBV DNA Control (Standards) | Vircell | MBC065 | |
Ethanol (Laboratory Reagent Grade) | Fischer Chemical | E/0600DF/17 | |
Fetal Bovine Serum | Sigma | F9665 | |
Fresco 21 MicroCentrifuge | Thermo Scientific | 10651805 | |
Glycogen Solution | Qiagen | 158930 | |
Hemocytometer | BOECO | BOE 01 | |
Inverted Light Microscope | Zeiss | Axiovert 25 | |
iTaq Universal SYBR Green Supermix | Bio-Rad | 172-5121 | |
Microcentrifuge Tube | Costar (Corning) | 3621 | Should be autoclaved before use |
P3HR-1 Cell Line | ATCC | HTB-62 | |
Penicillin-Streptomycin Solution | Biowest | L0022 | |
Phenol | VWR | 20599.297 | |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 | Sigma-Aldrich | P8139 | |
Pipette Filler | Thermo Scientific | 9501 | |
Precision Wipes | Kimtech | 7552 | |
RPMI-1640 Culture Medium | Sigma | R7388 | |
SL 16R Centrifuge | Thermo Scientific | 75004030 | |
Sodium Acetate | Riedel-de Haën (Honeywell) | 25022 | |
Spectrophotomer | DeNovix | DS-11 | |
Tris-HCl | Sigma | T-3253 | |
Trypan Blue Solution | Sigma | T8154 | |
Water Jacketed CO2 Incubator | Thermo Scientific | 4121 |
JoVE'article의 텍스트 или 그림을 다시 사용하시려면 허가 살펴보기
허가 살펴보기더 많은 기사 탐색
This article has been published
Video Coming Soon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