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JoVE 비디오를 활용하시려면 도서관을 통한 기관 구독이 필요합니다. 전체 비디오를 보시려면 로그인하거나 무료 트라이얼을 시작하세요.

기사 소개

  • 요약
  • 초록
  • 서문
  • 프로토콜
  • 결과
  • 토론
  • 공개
  • 감사의 말
  • 자료
  • 참고문헌
  • 재인쇄 및 허가

요약

이 프로토콜은 경혈 굴 생성 절차를 자세히 설명하고 알레르기 비염 치료에 대한 효과를 입증합니다.

초록

침술 포인트 임베딩 테라피(Acupuncture Point Embedding Therapy)는 현대 생체 재료와 침술 기술을 결합한 종합적인 치료 방법입니다. 경혈 창자 임베딩(ACE)은 서양 의학과 관련된 부작용을 피할 뿐만 아니라 전통 침술의 이점을 통합하여 치료 효과의 지속 기간을 연장합니다. 알레르기 비염(AR)은 치료가 까다롭고 지속되는 경향으로 알려진 질환입니다. 이 무작위 대조 시험에는 AR 관리에 대한 ACE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128명의 AR 환자가 포함되었습니다. 데이터는 기준선, 치료 4주 후, 치료 후 8주에서 수집되었습니다. 기준선 분석을 수행하고 VAS(Visual Analog Scale)를 이 방법의 임상 관찰 지표로 사용했습니다. 비결막염 삶의 질 설문지(RQLQ)는 삶의 질 지표 역할을 했습니다. 특이 IgE(sIgE), IL-4, IL-10 및 IL-12를 실험실 관찰 지표로 사용했습니다. 실험 결과는 AR 치료에 대한 ACE의 임상적 효과를 입증합니다. 이 기술은 효율적이고 클리닉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침습적 특성으로 인해 병원 감염의 위험이 있습니다. 이 실험을 기반으로 이 프로토콜은 기존 기술을 개선하여 환자 준비, 수술 기술 및 수술 후 관리에 대한 자세한 지침을 제공하여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 투여를 보장합니다. ACE는 이 치료법을 표준화함으로써 AR 환자의 증상을 완화하는 데 중요한 비약물 치료 옵션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통해 삶의 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서문

알레르기 비염(AR)은 특정 면역글로불린 E(sIgE)에 의해 매개되는 알레르기 질환으로, 여러 면역 세포를 침범합니다 1,2. 최근 몇 년 동안 알레르기 비염의 평균 유병률은계속 증가하고 있으며3 AR을 치료하지 않으면 천식, 부비동염, 중이염, 코골이와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부작용은 일과 공부를 포함한 일상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4,5,6. 서양 의학적 치료법으로는 주로 비강 글루코코르티코이드와 경구용 항히스타민제가 있다7. 그러나 비강 글루코코르티코이드는 비강 출혈, 비중격 천공, 어린이의 잠재적인 발달 영향과 같은 부작용 및 녹내장 위험과 관련이 있습니다 8,9,10. 연구에 따르면 항히스타민제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소아의 진정 및 심혈관 질환과 같은 부작용을 완전히 없앨 수는 없다고 한다 11,12,13.

중국 전통 의학에서 잘 알려진 외부 치료법인 전통 침술의 효능은 수년 동안 국제 연구에 의해 뒷받침되어 왔다14,15. 그러나 전통적인 침술 치료에는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두 가지 한계가 있습니다. 첫째, 침술은 경혈의 단기적이고 국소적인 자극을 통해 치료 효과를 내기 위해 침술에 의존합니다. 둘째, 간헐적 자극 접근법이 포함되며, 일반적으로 매일 또는 격일로 치료 세션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요인은 주사 바늘 혐오 또는 일정 문제로 인해 정기적인 치료를 받을 수 없는 일부 환자의 접근성을 제한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치료의 전반적인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경혈 고양이장 임베딩(ACE)은 전통적인 침술에서 개발된 고급 침술 기법입니다. 침술은 장기적인 침술 치료와 질병 예방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16,17 만성 질환 관리에 장기적으로 상당한 효과를 보였다18,19. ACE는 경혈에서 지속적이고 온화하며 치료적 자극을 생성하는 재료를 내장함으로써 기존 침술 접근법을 개선합니다. 조직에 박혀 있는 실의 분해와 흡수는 2-4주 동안 지속되는 자극과 함께 장기적인 침술 효과를 만들어낸다20,21. 이 방법은 짧은 자극 지속 시간, 비지속적인 치료 효과, 그리고 전통적인 침술에서 치료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의 한계를 해결합니다. 또한, 환자는 매일 클리닉을 방문할 필요가 없어 순응도가 크게 향상됩니다22.

생체 의학 침 재료의 발전과 침 침의 개선으로 전통적인 침술에 새로운 돌파구가 생겼습니다. ACE는 재료 삽입의 구성, 분해 속도 및 최소 침습 기술을 제어함으로써 자극 강도를 높이고 지속 시간을 연장하며 잦은 침술 세션과 관련된 불편함과 불편함을 줄임으로써 침술 치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AR 치료에 있어 세 가지 주요 고려 사항이 필수적입니다: 침술의 고유한 이점, 이러한 이점을 강화하고 유지하는 데 있어 경혈 창자 삽입 요법의 강점, 약물과 관련된 불가피한 부작용. 우리는 ACE가 AR 치료, 특히 잠재적인 약물 부작용에 대한 신중한 관리가 필요한 환자에게 효과적인 대안을 제공한다고 믿습니다. 이러한 환자들에게 경혈 캣장 임베딩 요법은 이상적인 치료 옵션입니다.

이에 대응하여 우리 연구팀은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무작위 대조 임상 실험을 설계했습니다. 임상시험 설계, 기준선 특성 분석, VAS 및 RQLQ 척도, 실험실 검사 결과를 사용하여 AR 치료를 위한 경혈 캣장 임베딩 요법의 임상적 효능을 입증합니다. 이 기사는 경혈 창선 임베딩 요법의 임상 적용을 위한 표준화된 운영 참조를 제공하기 위해 환자 적격성 평가, 의료 기기 사용, 경혈 치료, 치료 후 관리 및 응급 대응 프로토콜을 포함하여 ACE에 대한 특정 임상 절차를 자세히 설명합니다.

연구 설계

연구방법
이 연구는 무작위, 이중 맹검, 통제 설계를 사용했습니다. 사례는 진단, 포함 및 제외 기준에 따라 엄격하게 선별되었습니다. 두 그룹에 대한 임의의 데이터는 Excel의 RAND 함수를 사용하여 생성되었습니다. 그룹 A는 경혈 내장을 받은 환자를 포함했고, 그룹 B는 가짜 고양이장 내장을 받은 환자로 구성되었습니다. 환자 등록을 확인하면 등록 순서에 따라 난수가 할당되었습니다.

무작위 지정 방법
컴퓨터 기반 무작위 배정 기법을 Excel의 RAND 함수와 함께 사용하여 피험자에 대한 무작위 치료 할당을 생성했습니다. 무작위 할당 체계와 코딩 테이블은 불투명한 봉투에 봉인되어 피험자의 등록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열렸습니다. 무작위 할당 코딩을 담당한 연구자는 피험자 등록에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블라인드 절차는 블라인드 요구 사항 및 프로토콜에 따라 유지되었으며, 불투명한 봉투의 손상은 합리적인 설명과 함께 문서화되었습니다.

눈부심 및 제어의 구현
대조군은 치료 그룹과 동일한 경혈, 바늘 및 기술을 사용하여 가짜 삽입을 받았습니다. 경혈 매립을 위한 준비는 피험자가 치료를 받기 전에 신중하게 준비되었으며, 경혈 매립 시술자와 환자 간의 임베딩 절차의 세부 사항에 대한 의사 소통은 최소한으로 이루어졌습니다. 피험자들은 실명을 방해할 수 있는 환자 간 의사소통을 방지하기 위해 격리 치료를 받았습니다. 임상시험이 진행되는 동안 조사관, 운영자 및 통계학자는 별도의 역할을 할당받았고, 하위 그룹 할당을 눈감은 제3자 평가자가 연구 효과와 부작용을 평가했습니다.

프로토콜

이 무작위 대조 시험에는 청두 중국 전통 의학 대학 부속 병원의 이비인후과 환자가 참여했습니다. 이 연구 프로토콜은 Chengdu Universit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부속 병원 윤리 위원회의 승인을 받았습니다(등록 번호: ChiCTR-TRC-12002191). 환자들은 연구의 목적과 절차에 대해 설명받았고, 실험 중 이미지와 비디오 사용에 대한 동의를 얻었습니다.

시술 전에 환자 평가를 실시했습니다. 응고 기능 장애 가능성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응고 기능을 검사했습니다. 포함 기준은 AR 가이드라인1에 따라 설정되었으며, 여기에는 최소 한 번의 피부 알레르기 항원 단자 검사에서 양성 반응을 보인 18-70세 환자가 포함되었습니다. 제외 기준에는 임신, 수유, 월경, 면역 요법 중, 이종 단백질(예: 난자) 또는 폴리다이옥사논에 대한 알레르기가 포함되었습니다. 중단 또는 제외 기준에는 연구 중 심각한 합병증의 발생, 자발적 중단, 불완전한 검사 또는 치료 기록, 연구 이외의 다른 약물 또는 치료 사용, 다양한 이유로 인한 치료 중단이 포함되었습니다.

실험적 순서도는 그림 1을 참조하십시오. 이 연구에 사용된 시약, 장비 및 소프트웨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재료 표에 나와 있습니다.

1. 수술 전 준비

참고: 본 임상시험의 모든 피험자는 전통 한의학(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CM) 의사의 자격 증명서를 취득했거나 3년 이상 주치의 자격을 갖춘 의사에 의해 경혈 굴을 사용하여 수술을 받았습니다. 경혈 굴 작업자는 시험 전에 균일한 교육을 받았으며 아래에 설명된 표준 운영 절차를 따랐습니다. 작동 프로세스는 그림 2에 나와 있습니다.

  1. 치료에 필요한 모든 의료 장비 및 재료를 확인하십시오. 일회용 멸균 드레싱 교체 키트(장갑, 봉합사 제거 가위, 핀셋, 마른 면봉, 0.5% 포비돈-요오드 면봉, 거즈, 일회용 플라스틱 트레이, 파란색 패딩 시트 포함), 피하 주사 바늘 7G, PDO 실 4G, 알코올 및 멸균 드레싱(반창고)이 있는지 확인합니다(그림 3).
    참고: 7 G23, 8 G24 및 9 G25에서 내장된 실 바늘을 선택하고 해당 실 사양과 일치시킵니다. 치료 중인 상태에 따라 다른 라인을 선택하십시오. 본 실험에서, PDO 스레드는26을 선택하였다.
  2. 의료 보조원에게 손 소독 후 멸균 장갑을 착용하고 드레싱 패키지를 개봉하도록 합니다. 수술을 집도하는 의사는 먼저 손을 소독한 다음 내부 포장을 열어야 합니다.
    1. 소독에 필요한 수술 용품을 파란색 매트에 펴십시오. 수술 전 준비를 마친 후 외과의는 손과 팔을 다시 씻고 일회용 멸균 장갑을 착용해야 합니다.
  3. PDO 실을 트레이에 놓고 그 위에 알코올을 10분 동안 붓습니다. 이 단계는 실을 소독하여 완전히 멸균 상태인지 확인합니다(알코올이 바늘과 실을 덮어야 함).
  4. 환자를 누운 자세로 눕힙니다. 환자에게 손이 교차하지 않도록 복부에 손을 평평하게 대도록 지시합니다.
    1. 환자의 정보(이름, 병상 번호, 신분증)를 정확하게 확인하고 확인합니다. 경혈 캣내장 삽입의 치료 과정과 메커니즘을 자세히 설명하여 환자가 경혈의 안전성을 이해하고 긴장이나 두려움을 완화하며 바늘이 찔릴 가능성을 줄일 수 있도록 합니다.

2. 수술 절차

  1. 특정 위치는 표 1그림 4 를 참조하십시오. 0.5% 요오드퍼 솜뭉치를 핀셋으로 잡고 왼쪽 Yingxiang(LI20)과 그 주변을 소독합니다. 임베딩 바늘의 바늘 끝에 와이어를 삽입합니다. 묻고 소독할 지점을 선택할 때 무균 작동을 확인하십시오.
    알림: 멸균 면봉을 사용하여 경혈을 찾을 때 경혈을 감지하십시오. 민감한 점은 특정 경혈입니다.
  2. 오른손으로 바늘을 잡고 엄지, 검지, 중지로 바늘 손잡이를 잡습니다. 약지는 바늘 본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바늘 본체를 안정시켜야 합니다.
    1. 왼손으로는 검지와 엄지로 뺨과 코 사이에 틈을 만들어 바늘을 쉽게 꽂을 수 있도록 하고, 약지와 새끼손가락으로 마른 면봉을 집어줍니다. 바늘을 오른손으로 잡고 바늘 끝으로 피부를 빠르게 뚫습니다.
  3. 바늘이 피부를 관통할 때 환자의 반응을 관찰하십시오. 환자가 근육통, 무감각 또는 전기 충격과 유사한 감각을 경험하면 기(deqi)23,24,25,26,27,28)를 얻는 느낌을 나타냅니다. 엄지손가락으로 바늘 본체 끝을 천천히 밀어 실을 경혈에 끼운 다음 바늘을 천천히 빼냅니다.
    참고: 환자가 적절한 바늘 깊이에 도달한 후에도 반응하지 않으면 바늘 조작 기술(들어 올리기, 찌르기, 빙빙 돌리기)을 수행하여 환자가 deqi의 느낌을 얻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4. 바늘을 제거한 후 마른 면봉으로 바늘 구멍을 눌러 출혈을 방지합니다. 같은 방법으로 오른쪽 Yingxiang(LI20)을 묻습니다.
  5. 알코올 면봉으로 바늘 전체를 소독하고, 경혈 매립 바늘에 실을 넣고(2.1단계와 같이), 왼쪽 헤구(LI14)를 찾아 원을 그리며 경혈과 주변 부위를 소독합니다.
    1. 2.2에 설명된 것과 동일한 단계를 수행하여 바늘을 삽입하고, 2.3단계에 따라 기를 얻고, 2.4단계에 따라 바늘을 제거합니다. Quchi(LI11)와 Zusanli(ST36)를 모두 묻기 위해 단계를 반복합니다.

3. 시술 후 관리

  1. 바늘을 제거한 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환자에게 최소 15분 동안 누운 자세로 휴식을 취하도록 지시합니다.
  2. 삽입 후 3일 동안은 경혈을 건조한 상태로 유지하십시오. 화장품, 페이셜 클렌저, 샤워 젤 또는 이와 유사한 제품의 사용을 피하십시오.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침술 부위가 건조하고 깨끗하게 유지되도록 합니다. 필요한 경우 상담을 위해 주치의의 연락처를 제공하고 필요한 경우 환자를 외래 진료로 안내합니다.
  3. 환자에게 치료 과정에 대해 알리고 치료 일정을 따르도록 지시합니다.
    1. 급성 환자의 경우 3-5일마다 실을 묻습니다. 아 급성 환자의 경우 7-10 일마다; 만성 환자의 경우 15-30일마다.
      참고: 이 치료 프로토콜에 따라 AR은 만성 재발 질환으로 임상 실습에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상태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만성 질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임베딩 빈도에 따라 치료 사이의 일수를 선택합니다. PDO 스레드는 일반적으로 14-21일 안에 흡수됩니다. 이 연구에서 각 피험자는 두 번의 경혈 캣내장 삽입을 받았으며 각 삽입 기간은 2주였습니다.

4. 부작용 예방 및 대책

  1. 예방 조치
    1.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환자 및 그 가족과 자세히 의사 소통하십시오. 환자가 치료의 목적, 구체적인 절차 및 필요한 예방 조치를 이해하고 환자의 적극적인 협조를 얻도록 합니다.
    2. 수술 중 감염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해 무균 원칙에 따라 엄격하게 수술을 수행하십시오.
    3. 치료 중 모든 부작용(출혈, 알레르기, 감염, 심한 통증 등 포함)을 자세히 기록합니다.
  2. 대응 조치
    1. 통증 및 불편함: 이는 시술 중 및 시술 후에 경혈 삽입으로 인한 지속적인 자극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4시간 후 환자에게 온찜질을 하도록 지시합니다.
    2. 출혈 및 혈종: 몇 방울의 혈액은 정상입니다. 압박하고 출혈을 멈추기 위해 접착 붕대를 감습니다. 혈종이 발생하면 증상이 있는 온찜질 또는 냉찜질을 사용하십시오.
      참고: 출혈을 예방하고 줄이는 열쇠는 수술을 부드럽게 처리하고 정상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혈관을 피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자연스럽게 출혈과 혈종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3. 발열: 환자의 체온을 모니터링합니다.
      참고: 일부 환자는 실 매립 후 일반적으로 38°C 미만으로 상기도 감염이나 바이러스성 감기 증상 없이 경미한 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보통 약 3일 동안 지속되며 체온이 정상으로 돌아올 때까지 점차 감소합니다. 이것은 신체가 실에서 열을 흡수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정상적인 반응이며, 이를 "열 흡수"라고 합니다.
    4. 감염: 경혈 매립으로 인한 감염 가능성은 매우 낮지만, 감염이 발생하면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합니다. 감염 치료 경험이 부족한 경우 감염 전문가와 상담하십시오.

5. 데이터 분석

  1. SPSS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을 수행합니다. 범주형 데이터에는 카이-제곱 검정을 사용하고, 계량형 데이터에는 독립 표본 검정, Kruskal-Wallis H 검정 또는 Wilcoxon 2표본 순위합 검정을 적용합니다.
  2. p < 0.05인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고려합니다.

결과

기준선 분석
본 연구에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령, 키, 체중), 활력징후(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호흡, 심박수), 질병 중증도(혈액 농도, 간 및 신장 기능, 응고 분석, 병력 비교) 측면에서 두 그룹 간에 통계적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치료 의도(ITT) 분석을 수행했습니다.

인구통계학적 특성
두 그룹 간의 ?...

토론

알레르기 비염(AR)은 가장 흔한 알레르기 질환 중 하나이며, 약물 효과의 지속 기간이 짧고, 중단 후 재발이 발생하며, 면역 요법의 높은 비용, 수술로 인한 심각한 부작용의 위험 등 현재 치료에는 많은 과제가 있습니다. 이 질환을 완전히 치료할 수 없다는 것은 환자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친다 34,35. 침술 치료에서 경혈에 묻힌 실...

공개

저자는 공개할 내용이 없습니다.

감사의 말

이 연구는 중국 국가자연과학재단(No. 82174198), 쓰촨성 과학 대중화 작품 창작 프로젝트(24KPZP0154), 쓰촨성 과학 기술 혁신 파종 프로젝트(MZGC20230051) 및 청두 전통 대학의약-임상 의과대학 대학원 연구 혁신 실습 프로젝트(No.2023KCY21)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자료

NameCompanyCatalog NumberComments
7 G buried needle setTaizhou Luoan Medical Co.20240103none
Embedded Thread Body No. 4-0Hangzhou Aipu Medical Equipment Co.20231227none
EthanolSichuan Yinjieshi yil Technology Co.231206none
HYA-15 disposable dressing change kitZhende Medical Supplies Co.202308021BIncludes: gloves, suture removal scissors, tweezers, dry cotton balls, povidone-iodine cotton balls, gauze, plastic tray, pad sheet
IBM SPSS StatisticsIBMR26.0.0.0For analysing data.
Image EditorMac OS XC02GM7ZGQ6L7Used in pictures for black and white masking.
MEITU appChina Xiamen Meitu Network Technology Co., Ltd.10.16.0This is a beautiful drawing tool software with powerful algorithms. In this study, I used this software to stitch small graphs, such as Figure 3 and Figure 4. This software can freely stitch pictures without damaging the image quality.
XingTu appShenzhen FaceMeng Technology Co.version number:9.7.2This is a very professional retouching software developed in China.Used in pictures for writing and outlining text and lines.

참고문헌

  1. Subspecialty Group of Rhinology, Editorial Board of Chinese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Chinese guideline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allergic rhinitis (2022 revision). Zhonghua Er Bi Yan Hou Tou Jing Wai Ke Za Zhi. 57 (2), 106-129 (2022).
  2. Yuan, Z., Luo, Z. Prevalence of allergic rhinitis in China. Allergy Asthma Immunol Res. 6 (2), 105-113 (2014).
  3. Frank, C. S., Maribel, M. J. Allergic rhiniti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mmunol Allergy Clin North Am. 41 (4), 613-625 (2021).
  4. Rodrigues, J., et al. Allergic rhinitis seasonality, severity, and disease control influence anxiety and depression. Laryngoscope. 133 (6), 1321-1327 (2023).
  5. Amritwar, A. U., et al. Mental health in allergic rhinitis: Depression and suicidal behavior. Curr Treat Options Allergy. 4 (1), 1-27 (2017).
  6. Skoner, D. P. Allergic rhinitis: Definition, epidemiology, pathophysiology, detection, and diagnosis. J Allergy Clin Immunol. 108 (1), S2-S8 (2001).
  7. Pipkorn, U., et al. Inhibition of mediator release in allergic rhinitis by pre-treatment with topical glucocorticosteroids. N Engl J Med. 316 (24), 1506-1510 (1987).
  8. Irmak, S. A., Bahadır, A. Side effects of glucocorticoids. IntechOpen. , (2018).
  9. Butcher, J., et al. Bilateral cataracts and glaucoma induced by long-term use of steroid eye drops. BMJ. 309, 43 (1994).
  10. Emin, O., Fatih, M., Emre, D., Nedim, S. Lack of bone metabolism side effects after 3 years of nasal topical steroids in children with allergic rhinitis. J Bone Miner Metab. 29 (5), 582-587 (2011).
  11. Ng, K. H., et al. Central nervous system side effects of first- and second-generation antihistamines in school children with perennial allergic rhinitis: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omparative study. Pediatrics. 113 (2), e116 (2004).
  12. Li, J., Xu, T., Wu, P., Yao, T. ADRs in cardiovascular system induced by second-generation antihistamine drugs: A retrospective analysis. Eval Anal Drug - Use Hosp China. 09, 707-708 (2008).
  13. Cenzer, I., et al. A multiyear cross-sectional study of US national prescribing patterns of first-generation sedating antihistamines in older adults with skin disease. Br J Dermatol. 182 (3), 763-769 (2020).
  14. Hong, S. H., et al. Current status of standardization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in China. QJM. 107 (3), 173-178 (2013).
  15. Zhu, J., Li, J., Yang, L., Liu, S. Acupuncture, from the ancient to the current. Anat Rec (Hoboken). 304 (11), 2365-2371 (2021).
  16. Li, X., Zhang, Q., Wang, X., Liu, Y., Chen, C., Zhong, Z. Effects of catgut implantation at acupoint of face on regulating nasal mucosa neurogenic inflammation of rats with allergic rhinitis. Chin J Tradit Chin Med Pharm. 29 (8), 2587-2590 (2014).
  17. Tang, M., Wang, J., Zhang, Q. Clinical efficacy of acupoint catgut embedding in the treatment of allergic rhinit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m J Otolaryngol. 45 (2), 1-9 (2024).
  18. Xu, P., Zhang, Y., Guan, C. Acupoint catgut embedding on the treatment of chronic disease. J Pract Tradit Chin Intern Med. 8 (8), 72-74 (2018).
  19. Guan, C., Xu, P., Zhang, Y. Clinical observation on 20 cases of obesity treated by acupoint catgut embedding plus syndrome differentiation and comprehensive intervention. J Pract Tradit Chin Intern Med. 2018 (4), 61-64 (2018).
  20. Sheng, J., Jin, X., Zhu, J., Chen, Y., Liu, X. The effectiveness of acupoint catgut embedding therapy for abdominal obes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9 (8), 1-12 (2019).
  21. Feng, Y., Fang, Y., Wang, Y., Hao, Y. Acupoint therapy on diabetes mellitus and its common chronic complications: A review of its mechanisms. Biomed Res Int. 2018, 1-9 (2018).
  22. Caide, Y., Ma, C., Department, I. T. Series primary lecture about acupoint embedding thread therapy (68) new progress of catgut embedding therapy in the treatment of allergic rhinitis. Chin Med Mod Dist Educ. 2018 (3), 117-120 (2018).
  23. Pang, J., Yin, H., Xia, K., Sun, Z. Clinical synergy study of LI20 catgut embedding in treating moderate to severe AR. J Clin Acupunct Moxibust. 38 (1), 43-47 (2022).
  24. Wang, Y., Han, J., Zhang, Q., Yang, Z., Zhao, S. Thread embedding therapy and oral administration of Chinese medicine in treating acne of accumulated lung-stomach heat for 38 cases. Chin Med Mod Dist Educ China. 14 (8), 117-119 (2016).
  25. Li, X. .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evaluation of acupoint embedding in the treatment of allergic rhinitis and animal experimental study of related mechanisms. , (2015).
  26. Chao, K., et al. Application development of acupoint embedding line body and needle. China J Tradit Chin Med Pharm. 35 (11), 5644-5647 (2020).
  27. Tang, X., et al. Evolution of the lifting-thrusting reinforcement-reduction method in acupuncture: A literature study. Glob Tradit Chin Med. 13 (3), 400-404 (2020).
  28. Hou, X. F., Wang, X. J., Zhang, J. B., Gu, Y. Y., Song, S. Y. Summary and core technique on the origin and evolution of reinforcing-reducing manipulation achieved by lifting and thrusting the needle. Chin Acupunct Moxibust. 39 (7), 729-733 (2019).
  29. Bousquet, P. J., et al. Visual analog scales can assess the severity of rhinitis graded according to ARIA guidelines. Allergy. 62 (4), 367-372 (2007).
  30. Blaiss, M. S. Quality of life in allergic rhinitis. Ann Allergy Asthma Immunol. 83 (5), 62-66 (2006).
  31. Bousquet, J., Van Cauwenberge, P., Khaltaev, N. Allergic rhinitis and its impact on asthma. J Allergy Clin Immunol. 108 (5), S147-S334 (2001).
  32. Gliwiński, M., Iwaszkiewicz-Grześ, D., Trzonkowski, P. Cell-based therapies with T regulatory cells. BioDrugs. 31 (4), 335-347 (2017).
  33. Bui, D. V., et al. CD69 signaling in eosinophils induces IL-10 production and apoptosis via the ERK1/2 and JNK pathways, respectively. Biomolecules. 14 (3), 1-12 (2024).
  34. Sly, R. M. Epidemiology of allergic rhinitis. Clin Rev Allergy Immunol. 22 (1), 67-103 (2002).
  35. William, F., et al. Economic impact and quality-of-life burden of allergic rhinitis. Curr Med Res Opin. 20 (3), 305-317 (2004).
  36. Caide, Y., et al. Series primary lecture about acupoint embedding thread therapy (II) treatment principle of acupoint embedding thread. Chin Med Mod Dist Educ China. 13 (3), 64-66 (2015).
  37. Caide, Y., et al. The method of acupoint embedding thread in butterfly palate ganglion in the treatment of allergic rhinitis. Chin Med Mod Dist Educ China. 13 (13), 62-64 (2015).
  38. World Health Organization. A standard international acupuncture nomenclature: Memorandum from a WHO meeting. Bull World Health Organ. 68 (2), 165-169 (1990).
  39. Zhang, C., Li, W., Zhao, M., Du, H., Ma, J. Research progress on the material correlation of the "interior-exterior relationship between lung and large intestine.". World Chin Med. 19 (1), 128-132 (2024).
  40. Luo, W., et al. Therapeutic efficacy of nasal three-needle acupuncture combined with sparrow pecking moxibustion at the great vertebrae point in the treatment of Qi deficiency-type allergic rhinitis observed. Glob Med China Taiwan. 14 (7), 1340-1343 (2021).
  41. Chen, R. The doctrine of Yin and Yang is at the core of inner canon of Huangdi's foundational theories. Zhong Yao Yan Jiu Wen Xian Zhai Yao. 23 (8), 4 (2005).
  42. Pawankar, R., et al. Novel roles of mast cells in modulating IgE-mediated allergic inflammation. Int Arch Allergy Immunol. 124 (1-3), 166-168 (2012).
  43. Guyer, B. The effect of a novel inhibitor of mast cell activation on mediators, symptoms and nasal patency in allergic rhinitis. J Allergy Clin Immunol Glob. 113 (2), S28-S29 (2004).
  44. Liu, X. R., et al. Mechanism of regulation and activation of mast cells by neuroimmune regulation of catgut implantation at Yingxiang (IL20) in rats with allergic rhinitis. Chin J Tradit Chin Med Pharm. 37 (6), 3457-3461 (2022).
  45. Wu, M. L., et al. Local cutaneous nerve terminal and mast cell responses to manual acupuncture in acupoint LI4 area of the rats. J Chem Neuroanat. 68, 14-21 (2015).
  46. Qing, H., et al. Effect of acupuncture on acupoint "Yingxiang-Hegu" on Th1, Th2 cytokines and T-bet/GATA-3 of allergic rhinitis rats. J Hainan Med Univ. 29 (15), 1135-1143 (2023).
  47. Li, B. X., et al.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on degranulation of skin mast cells in urticaria rats based on PI3K/PDK1/AKT signal pathway. Chin J Tradit Chin Med Pharm. 37 (5), 2866-2870 (2023).
  48. Kuang, J., Zhang, S., Guo, Y., He, W. Study of the roles of acupoint substance P and mastocytes in starting the acupuncture effect. Shanghai J Acu-Mox. 33 (11), 1054-1058 (2014).

재인쇄 및 허가

JoVE'article의 텍스트 или 그림을 다시 사용하시려면 허가 살펴보기

허가 살펴보기

더 많은 기사 탐색

214IgEIL 4IL 10IL 12

This article has been published

Video Coming Soon

JoVE Logo

개인 정보 보호

이용 약관

정책

연구

교육

JoVE 소개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