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JoVE 비디오를 활용하시려면 도서관을 통한 기관 구독이 필요합니다. 전체 비디오를 보시려면 로그인하거나 무료 트라이얼을 시작하세요.

기사 소개

  • 요약
  • 초록
  • 서문
  • 프로토콜
  • 결과
  • 토론
  • 공개
  • 감사의 말
  • 자료
  • 참고문헌
  • 재인쇄 및 허가

요약

여기에서는 비만을 관리하기 위한 전문적인 한의학 치료 프로토콜을 제안합니다. 이 치료법은 흡수성 수술용 봉합사를 특정 경혈에 이식하여 체중 감량을 달성합니다.

초록

비만은 과도한 지방 축적으로 인해 발생하는 만성적이고 복잡한 질병으로, 여러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모든 연령과 배경의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며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공중 보건 위기에 기여합니다. 현대 의학에서 비만에 사용할 수 있는 치료법에는 약물, 행동 수정 및 수술 절차가 포함됩니다. 그러나 효능은 종종 불만족스럽고 다양한 부작용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전통 한의학은 약초 강장제, 침술, 투이나, 경혈 캣구트 임베딩 요법 등을 포함한 다양한 치료 옵션을 제공합니다. 이 중 경혈 캣거트 임베딩 요법은 효과, 편의성, 경제성 및 최소한의 부작용으로 인해 체중 관리를 위한 인기 있는 선택으로 부상했습니다. 그것은 흡수 가능한 봉합사를 경혈에 삽입하여 신체의 자연 치유 과정을 자극하고 신진 대사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포함합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봉합사가 점진적으로 흡수되면 지속적인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치료 세션 없이도 장기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단독으로 사용되든 다른 치료법과 병용하든, 경혈 캣거트 임베딩 요법은 통합 의학의 이점과 개인이 더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향한 여정에서 힘을 실어줄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줍니다. 이 민족 의학 이론을 시각화하고 효과적인 유전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체중 감량을 위한 경혈 캣거트 임베딩 요법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고 경혈 선택, 재료, 절차 및 주의 사항을 다룹니다.

서문

비만은 주로 에너지 섭취와 소비 사이의 불균형을 특징으로 하는 복잡하고 만성적인 대사 질환으로, 과도한 지방 축적과 비정상적인 분포를 초래합니다1.2. 비만은 외모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당뇨병, 고혈압, 심장병 및 특정 유형의 암을 포함한 여러 가지 심각한 건강 문제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3,4,5.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비만 성인의 수는 1990년 이후 두 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2022년 기준 전 세계적으로 비만으로 고통받는 사람의 수는 10억 명을 넘어섰으며, 이는 전 세계 공중 보건의 주요 과제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2,6.

현재 비만 치료는 행동 요법, 약물 요법 및 외과적 개입과 같은 기존 방법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 치료법은 종종 순응도 저하, 심각한 부작용 및 다양한 합병증과 같은 문제에 직면한다7. 따라서 환자의 요구를 더 잘 충족시키고 치료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치료 옵션을 탐색하고 개발하는 것이 시급합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점점 더 많은 임상의들이 비만 치료를 위한 새로운 옵션으로 전통 한의학을 포함한 보완 및 대체 요법을 채택하기 시작하고 있습니다8.

중국 전통 의학의 중요한 구성 요소인 침술은 최근 몇 년 동안 비만 치료에 대한 상당한 임상 경험을 축적했습니다 9,10,11. 침 치료 중에서도 경혈 캣거트 임베딩 요법은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 중 하나로 꼽힌다12. 경혈 캣거트 임베딩 요법은 선택한 경혈에 캣거트 또는 흡수성 수술 봉합사를 이식하여 지속적인 자극을 제공하는 치료 방법입니다. 이 요법은 수행하기 쉽고 부작용이 적으며 오래 지속되는 효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경혈 캣굿 임베딩 요법은 음과 양의 균형을 효과적으로 맞추고, 기와 혈액을 조화시키며, 내부 장기의 기능을 조절하여 효과적인 체중 관리를 촉진하고 전반적인 건강을 개선할 수 있다13. 이를 바탕으로 경혈 catgut-embedding therapy는 비만의 포괄적인 치료를 위한 새로운 옵션을 제공하는 높은 평가를 받는 전문 치료법이 되었습니다14,15.

이 프로토콜은 비만 치료를 위한 경혈 캣거트 임베딩 요법의 운영 방법을 환자 관리, 재료 준비, 경혈 선택, 운영 단계 및 예방 조치에 중점을 두고 설명합니다.

프로토콜

이번 임상시험은 청두중의과대학 병원 윤리위원회(NO.2021KL-078)의 승인을 받았다. 본 연구에서 단순 비만에 대한 진단 기준은 비만을 유발하는 다른 기저 질환이 없는 체질량 지수(BMI)가 28kg/m²≥ 것으로 정의되었으며, 이는 비만 일차 진료 가이드라인(Guideline for Primary Care of Obesity)16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경혈 내장(Qagut-embedding) 수술은 Standardized Manipulations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 Part 10에 따라 이루어졌습니다. 실 끼워넣는 치료 (GB/T21709.10-2008)17. 이 연구에는 청두 전통 중국 의학 대학 병원의 전형적인 비만 사례가 포함되었습니다. 환자들에게 연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동의를 얻었습니다.

1. 전처리 평가

  1. 포함 기준
    1. 20-50세의 남성과 여성 환자를 포함합니다.
    2. 단순 비만(BMI ≥ 28kg/m2)으로 진단된 환자를 포함합니다.
    3. 지난 3개월 동안 체중 감량 약물을 복용하지 않았거나 체중 감량 조치를 채택하지 않은 환자를 포함합니다.
    4. 치료에 대한 정보를 받고 자발적 참여에 동의하는 환자를 포함합니다.
      참고: 비만 1차 진료 가이드라인(2019)6의 진단 기준에 따르면 BMI(체중[kg]/신장[m]2) < 18.5kg/m2 는 저체중, 18.5-24.0kg/m2 는 정상 체중, 24.0-28.0kg/m2 는 과체중, ≥ 28.0kg/m2 는 비만을 나타냅니다.
  2. 제외 기준
    1. 유전적, 대사적 또는 내분비 문제와 관련된 2차 비만 환자를 제외합니다. 특정 약물로 인한 체중 증가가 있는 사람들; 조절되지 않는 대사 장애가 있는 개인.
    2. 비만 수술 이력이 있는 환자는 제외합니다.
    3. 경혈 캣장 매립 또는 바늘 쇼크에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는 제외합니다.
    4. 임산부, 모유 수유 중이거나 월경 중인 여성, 정신 장애가 있는 여성은 제외합니다.
    5. 응고 장애, 감염성 질환, 심뇌혈관 질환 또는 기타 기질적 질환이 있는 환자 및 기타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환자는 제외합니다.
    6. 다른 요인으로 인해 운영자가 시험에 부적합하다고 간주한 환자를 제외합니다.
  3. 환자의 병력, 현재 복용 중인 약물, 잠재적인 응고 또는 감염 문제를 나타낼 수 있는 징후 또는 증상을 고려하여 철저한 초기 환자 평가를 수행합니다. 응고, 혈액학 및 관련 감염 검사를 수행하여 위험 요인 또는 기존 질환이 있는 사람들을 위해 관련 장애를 배제합니다.

2. 작동 전 준비 사항

  1. 흡수성 수술용 봉합사, 반창고, 일회용 캣거 매립 바늘, 일회용 건강 진단 장갑, 의료용 흡수성 면, 의료용 가위, 의료용 핀셋, 포비돈-요오드 소독제 및 수술용 거즈 드레싱(재료 표그림 1).
  2. 패키지 및 만료 날짜를 확인하여 재료를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모든 기구가 멸균되었는지 확인하십시오.
  3. 치료 환경을 깨끗하고 먼지가 없는 상태로 유지하십시오. 환자에게 편안한 온도를 유지하고 작업자에게 적합한 조명을 제공하십시오. 환자의 개인 정보가 보호되도록 합니다.
    참고: 감정과 습관은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온도와 밝기를 조정하여 개인화된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4. 작업자 준비: 깔끔한 작업복을 착용하십시오. 의료진의 손 씻기 방법에 따라 손을 깨끗이 씻고18 일회용 건강 진단 장갑을 착용한다
    참고: 시술자는 면허가 있는 침술사 또는 한의학 종사자로서 독립적으로 경혈 삽입 수술을 수행하고 치료 중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응급 상황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치료 과정 중에는 작업자를 변경하지 마십시오.
  5. 환자 준비
    1. 피부 표면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각 수술 전에 순한 비누와 따뜻한 물로 환자에게 피부 표면을 스스로 청소하도록 지시합니다.
    2. 수술 전에 작업자가 요오드포 면봉으로 경혈을 내부에서 외부로 소독하십시오. 소독을 2-3회 반복하여 소독 영역의 직경이 5cm 이상이 되지 않도록 합니다.

3. 작동 절차

  1. 위치 선택
    1. 경혈의 위치에 따라 신체 위치를 선택합니다.
    2. 누운 자세를 취합니다. 경혈의 위치를 노출시킵니다.
      알림: 피부가 찢어지거나 염증이 생기거나 피가 나는 위치를 선택하지 마십시오.
  2. 침술 포인트 선택
    1.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가 표준인 "경락점의 명명법 및 위치(Nomenclature and Location of Meridian Points)"19에 따라 경혈점 위치를 선택하십시오. Zhongwan(CV12), Shuifen(CV9), Tianshu(ST25), Guanyuan(CV4), Yinlingquan(SP9) 및 Fenglong(ST40)이 적절하게 선택되었습니다.
      참고: 경혈을 측정하는 방법은 환자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거리를 정의하는 비례 손가락-쿤 시스템(F-cun)을 따릅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가운데 손가락의 가운데 관절 주름을 기준으로 한 네 손가락의 너비는 3 F-cun과 같습니다(그림 2).
    2. Zhongwan (CV12): 전방 정중선을 따라 배꼽 중앙에서 4 F-cun 위의 상복부에서 CV12 지점을 찾습니다(그림 3A).
    3. Shuifen(CV9): 전방 정중선을 따라 배꼽 중앙에서 1 F-cun 위 상복부에서 CV9 지점을 찾습니다(그림 3A).
    4. Tianshu (ST25): ST25 지점을 복부에서 찾고, 배꼽 중심과 수평, 전방 정중선에서 2 F-cun 떨어진 곳에 위치시킵니다(그림 3A).
    5. Guanyuan(CV4): 전방 정중선을 따라 배꼽 중앙에서 3 F-cun 아래쪽의 하복부에서 CV4 지점을 찾습니다(그림 3A).
    6. Yinlingquan (SP9): 경골의 내측 과두의 아래쪽 경계와 경골의 내측 경계 사이의 함몰부에서 다리 아래쪽의 내측에서 SP9 지점을 찾습니다(그림 3B).
    7. Fenglong(ST40): 하완의 측면에 있는 ST40 지점, 발목 끝에서 8F-cun, 경골 전근육의 바깥쪽 가장자리, Tiaokou(ST38) 옆으로 손가락 한 너비 너비에 위치합니다(그림 3C).
      참고: 주요 경혈의 선택은 일반적으로 위 경락, 비장 경락 및 ren 경락과 관련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경혈로는 Daheng(SP15), Qihai(CV6), Pishu(BL20), Weishu(BL21), Zusanli(ST36) 및 Sanyinjiao(SP6)가 있습니다.
  3. 경혈 catgut-embedding 방법
    1. 일회용 캣장 임베딩 바늘과 흡수성 수술용 봉합사가 들어 있는 패키지를 엽니다. 한 손에는 멸균 핀셋이 있는 흡수성 수술용 봉합사를, 다른 한 손에는 일회용 매몰 바늘을 들고 있습니다(그림 4A).
      참고: 캣내장 임베딩 바늘 및 봉합사의 고정된 크기는 없습니다. 바늘의 경우 봉합사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봉합사 크기의 경우 봉합사가 바늘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이들의 적합성은 환자의 내성 및 감각 피드백과 관련이 있습니다.
    2. 멸균 핀셋을 사용하여 일회용 캣장 임베딩 바늘의 끝에 흡수성 수술용 봉합사를 놓습니다. 봉합사가 바늘 끝의 안쪽 가장자리와 같은 높이인지 확인합니다(그림 4A).
    3. 덜 많이 사용하는 손으로 경혈을 고정하고 바늘 삽입 부위의 피부를 팽팽하게 만듭니다. 주로 사용하는 손으로 바늘을 잡고 25mm의 삽입 깊이로 경혈에서 피부에 수직으로 삽입합니다(그림 4B).
    4. 원하는 깊이로 바늘에 구멍을 뚫고 바늘 감각이 발생할 때까지(환자가 국소적인 통증과 붓기를 느끼는 한) 니들링 조작 방법을 적용합니다(그림 4C, D).
      1. 나열된 니들링 조작 방법을 따릅니다(3.3.4.2-3.3.4.3 단계).
      2. 들어올리기(ti) 및 찌르기(cha): 바늘을 경혈에 일정 깊이까지 삽입한 후 바늘을 깊은 곳에서 얕은 곳으로 위로 이동하여 들어 올리고(ti), 얕은 곳에서 깊은 곳으로 바늘을 밀어 넣으십시오(cha).
      3. 빙글(nian) 및 회전(zhuan): 바늘을 경혈에 삽입한 후 경혈에서 바늘을 앞뒤로 회전합니다.
    5. 바늘을 당기면서 캣거트 임베딩 바늘의 코어를 밉니다(그림 4E). 봉합사가 환자 내부에 완전히 남아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핀셋으로 봉합사를 제거하고 노출된 경우 재수술을 수행합니다.
    6. 멸균된 마른 면봉을 사용하여 바늘이 꿰맨 피부 부위에 압력을 가하면 바늘을 뺀 후 출혈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감염 예방에 도움이 되는 멸균 반창고를 붙입니다(그림 4F).
    7. 치료 과정: 3주에 한 번씩 치료 세션이 제공되며 각 과정에는 두 번의 치료 세션이 있습니다. 트리트먼트는 2회 연속 코스 후에 완료됩니다.

4. 수술 후 관리

  1. 24시간 동안 작업 영역에서 물과의 접촉을 피하십시오.
  2. 가벼운 식단을 유지하고 담배, 술, 해산물, 맵거나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십시오.

5. 효능 평가

  1.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치료 과정 시작 당일과 치료 과정 완료 당일에 데이터 수집을 수행합니다. 동일한 조사자가 설정된 기준에 따라 평가를 수행하도록 합니다.
    1. 환자의 체중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치료 전후에 체중을 측정합니다. 동일한 조사자가 측정을 수행하고 동일한 표준 장비를 사용하도록 합니다.
    2. BMI (kg/m2) = 체중(kg)/[height(m)]2 공식을 사용하여 BMI를 계산합니다.
    3. 아래쪽 늑골 가장자리와 중간 겨드랑이 라인에 있는 장골능의 위쪽 경계 사이의 중간 지점에서 허리 둘레(WC)를 측정합니다. 측정할 때 연조직을 압박하지 마십시오. 환자의 자연 호흡 호기 종료 시점의 길이를 0.1cm까지 정확하게 기록합니다.
    4. 엉덩이 봉우리의 수평 위치에서 엉덩이 둘레(HC)를 0.1cm까지 정확하게 측정합니다.
    5. 허리 대 엉덩이 비율(WHR)을 계산합니다: WHR = 허리 둘레(cm)/엉덩이 둘레(cm).
    6. 체성분 분석기를 사용하여 체지방률(BFP)을 측정합니다.
      1. 체성분 분석기는 측정을 위해 접촉 전극을 사용합니다. 장치가 측정 상태에 들어간 후 아래 설명된 단계를 따르십시오.
      2. 신발, 양말, 재킷을 벗으십시오. 신체에 있는 금속 물체를 제거하십시오. 그리고 분석기 위에 서십시오.
      3. 환자의 정보를 컴퓨터에 입력합니다. 음성 안내에 따라 가만히 있으면 측정이 완료됩니다.
      4. 분석기의 손잡이를 양손으로 잡고 몸을 똑바로 세운 상태에서 팔을 약 30° 벌립니다. 전체 측정에는 약 2분이 소요되며 그 동안 환자는 움직이지 않아야 합니다.

6. 부작용 관리

  1. 바늘 쇼크 관리
    1. 환자가 현기증, 메스꺼움, 흉부 압박감, 실신 또는 기타 불편함을 경험하는 경우 수술을 중지하고 즉시 바늘을 제거하십시오.
    2. 환자를 평평하게 눕히고, 옷을 풀어 주고, 따뜻하게 해 주십시오.
    3. 증상이 지속적으로 악화되는 경우 환자의 활력 징후를 한 번에 모니터링합니다. 현대적인 응급 처치(예: 호흡 보조, 심폐 소생술, 아드레날린 및 도파민과 같은 약물)를 준비하고 필요할 때 투여합니다.
  2. 통증 관리
    1. 가벼운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온찜질을 하십시오.
    2. 처방전 없이 살 수 있는 진통제(예: 이부프로펜, 아세트아미노펜)를 복용하여 시간이 지나도 통증이 가라앉지 않거나 악화되는 경우 통증을 완화하십시오.
    3. 통증이 계속 악화되고 환자가 이를 견딜 수 없는 경우 치료 전략을 재평가하고 조정(예: 봉합사의 크기 축소, 경혈 변경 또는 다른 요법 시도)합니다.
  3. 염증 반응 관리
    1. 수술 후 며칠 후 봉합사는 발적, 부기, 열감, 통증 및 때때로 경미한 삼출물을 포함한 가벼운 무균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을 모니터링하십시오. 일반적으로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2. 상당한 삼출물이 나타나면 화농성 염증으로 치료하십시오. 농양을 배출하고, 소독하고, 드레싱을 교체하고, 치유될 때까지 부위를 깨끗하게 유지하십시오. 동시에 의사의 지시에 따라 항생제를 사용하십시오.
  4. 혈종 관리
    1. 출혈을 멈추기 위해 즉시 국소 냉찜질을 하십시오.
    2. 혈액 정체를 완화하기 위해 온찜질을 실시합니다.
  5. 발열 관리
    1. 일부 환자는 일반적으로 감염 징후 없이 수술 후 몇 시간 이내에 체온이 약 38°C까지 상승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3일 이내에 정상화되므로 환자의 상태를 계속 모니터링하십시오.
    2. 고온이 지속되는 경우 물리적 냉각 또는 구강 해열제를 투여하십시오.

7. 통계 분석

  1. 치료 전후에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수집합니다.
  2. 쌍체 t-검정을 사용하여 처리 전과 후에 수집된 데이터를 비교합니다.
    참고: 모든 통계 테스트는 양면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차이는 P <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비만 환자를 위한 경혈 캣거트 임베딩 요법의 운용 방법을 소개한다. 이 연구에서는 20명의 적격 환자가 참여하여 임상시험을 완료했습니다. 모든 환자에게 동일한 진단 기준이 적용되었다. 동일한 시술자가 모든 환자에게 동일한 경혈 캣거트 매립 요법을 시행했습니다. 환자의 체중, BMI, WC, HC, WHR 및 BFP를 치료 전후(두 번째 과정 이...

토론

비만은 내분비계, 지방세포 기능 및 염증 반응에 의해 병인이 영향을 받는 복합적인 질병입니다. 시상하부(hypothalamus)의 아치형 핵(arcuate nucleus)에는 다양한 식욕 조절 뉴런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뉴런은 전신 에너지 균형유지 20을 위해 섭식 행동을 조절합니다. 인슐린, 렙틴, 갑상선 호르몬 간의 상호작용은 에너지 소비를 조절한다21...

공개

저자는 공개할 이해 상충이 없습니다.

감사의 말

이 연구는 쓰촨성 전통 한의학 문화 협력 개발 연구 센터 프로젝트(No. 2023XT44)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2023 청두 병원 중국 전통 의학 대학 과학 기술 개발 기금(23TS01).

자료

NameCompanyCatalog NumberComments
Absorbable surgical suturesHangzhou Aipu Medical Instrument Co., Ltd.National Medical Device Registration No. 20173023011
Band-aidNantong City YOJO Medical Products Co., Ltd.240801
Body composition analyzerBeijing Donghuayuan Medical Equipment Co., Ltd.DBA-510
Disposable catgut embedding needlesZhenjiang Gaoguan Medical Instrument Co., Ltd.Jiangsu Medical Device Registration No. 20162201059
Disposable medical examination glovesShanghai Kebang Medical Latex Equipment Co., Ltd.Shanghai Medical Device Registration No. 20192140394
Medical absorbent cottonXuzhou Xinjiekang Hygienic Materials Co., Ltd.Jiangsu Medical Device Registration No. 20172141055
Medical scissorsZhuji Pengtian Medical Devices Co., Ltd.Zhejiang Medical Device Registration No. 20232181918
Medical tweezersYangzhou Yurun Technology Development Co., Ltd.Jiangsu Medical Device Registration Certificate No. 20152021351
Povidone-iodine disinfectantSichuan Yijieshi Medical Technology Co., Ltd.230806
Surgical gauze dressingShandong Angyang Medical Technology Co., Ltd.Shandong Medical Device Registration No. 20152140569

참고문헌

  1. Mechanick, J. I., Hurley, D. L., Garvey, W. T. Adiposity-based chronic disease as a new diagnostic term: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linical Endocrinologists and American College of Endocrinology position statement. Endocr Pract. 23 (3), 372-378 (2017).
  2. González-Muniesa, P., et al. Obesity. Nat Rev Dis Primers. 3, 17034 (2017).
  3. Cefalu, W. T., et al. Advances in the scienc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the disease of obesity: reflections from a Diabetes Care editors' expert forum. Diabetes Care. 38 (8), 1567-1582 (2015).
  4. Freisling, H., et al. Comparison of general obesity and measures of body fat distribution in older adults in relation to cancer risk: meta-analysis of individual participant data of seven prospective cohorts in Europe. Br J Cancer. 116 (11), 1486-1497 (2017).
  5. Caleyachetty, R., et al. Metabolically healthy obese and incident cardiovascular disease events among 3.5 million men and women. J Am Coll Cardiol. 70 (12), 1429-1437 (2017).
  6. . Obesity and overweight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obesity-and-overweight (2024)
  7. Perdomo, C. M., Cohen, R. V., Sumithran, P., Clément, K., Frühbeck, G. Contemporary medical, device, and surgical therapies for obesity in adults. Lancet. 401 (10382), 1116-1130 (2023).
  8. Lua, P. L., et al.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for weight loss: a narrative review. J Evid Based Integr Med. 26, (2021).
  9. Hsu, C. -. H., et al.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in reducing weight and waist circumference in obese women: a randomized crossover trial. Int J Obes. 29 (11), 1379-1384 (2005).
  10. Levine, J. A. Obesity in China: causes and solutions. Chin Med J. 121 (11), 1043-1050 (2008).
  11. Nourshahi, M., Ahmadizad, S., Nikbakht, H., Heidarnia, M. A., Ernst, E. The effects of triple therapy (acupuncture, diet and exercise) on body weight: a randomized, clinical trial. Int J Obes. 33 (5), 583-587 (2009).
  12. Guo, T., et al. Acupoint catgut embedding for obesity: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 Med. 2015 (1), 401914 (2015).
  13. Deng, L., Lun, Z., Ma, X., Zhou, J. Clinical observation on regulating the three energizer by acupoint catgut embedding combined with abdominal acupuncture in treating abdominal obesit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orld J Acupunct Moxibustion. 24 (4), 29-34 (2014).
  14. Tang, J., Xie, H. -. X., Mo, C. -. T., Tang, H. -. Z. Research overview of acupoint catgut embedding and its combined therapy for simple obesity. Acta Chin Med Pharmacol. 49 (4), 117-120 (2021).
  15. Kazemi, A. H., Adel-Mehraban, M. S., Jamali Dastjerdi, M., Alipour, R. A comprehensive practical review of acupoint embedding as a semi-permanent acupuncture: a mini review. Medicine. 103 (23), e38314 (2024).
  16. . Guideline for primary care of obesity (2019). Chin J Gen Pract. 19 (2), 95-101 (2020).
  17. . Standardized manipulations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part 10: thread-embedding therapy. GB/T21709.10-2008. 29 (5), 405-406 (2009).
  18. . Regulation for hand hygiene for healthcare workers in healthcare settings. Chin J Infect Control. 19 (1), 93-98 (2020).
  19. . Nomenclature and location of meridian points Available from: https://openstd.samr.gov.cn/bzgk/gb/newGbInfo?hcno=397548AE7248D3D87DD15E0AB8107185 (2021)
  20. Alcantara, I. C., Tapia, A. P. M., Aponte, Y., Krashes, M. J. Acts of appetite: neural circuits governing the appetitive, consummatory, and terminating phases of feeding. Nat Metab. 4 (7), 836-847 (2022).
  21. Lustig, R. H., et al. Obesity I: overview and molecular and biochemical mechanisms. Biochem Pharmacol. 199, 115012 (2022).
  22. Rosen, E. D., Spiegelman, B. M. What we talk about when we talk about fat. Cell. 156, 20-44 (2014).
  23. Hotamisligil, G. S. Inflammation and metabolic disorders. Nature. 444 (7121), 860-867 (2006).
  24. Wellen, K. E., Hotamisligil, G. S. Inflammation, stress, and diabetes. J Clin Invest. 115 (5), 1111-1119 (2005).
  25. Cox, A. J., West, N. P., Cripps, A. W. Obesity, inflammation, and the gut microbiota. Lancet Diabetes Endocrinol. 3 (3), 207-215 (2015).
  26. Williamson, D. A., Perrin, L. A. Behavioral therapy for obesity. Endocrinol Metab Clin North Am. 25 (4), 943-954 (1996).
  27. Nordmo, M., Danielsen, Y. S., Nordmo, M. The challenge of keeping it off, a descriptive systematic review of high-quality, follow-up studies of obesity treatments. Obes Rev. 21 (1), e12949 (2020).
  28. Zhao, G., et al. Comparison of weight loss and adverse events of obesity drug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xpert Rev Clin Pharmacol. 15 (9), 1119-1125 (2022).
  29. Qin, W., Yang, J., Deng, C., Ruan, Q., Duan, K. Efficacy and safety of semaglutide 2.4 mg for weight loss in overweight or obese adults without diabetes: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cluding the 2-year STEP 5 trial. Diabetes Obes Metab. 26 (3), 911-923 (2024).
  30. Christensen, R., Kristensen, P. K., Bartels, E. M., Bliddal, H., Astrup, A. Efficacy and safety of the weight-loss drug rimonabant: a meta-analysis of randomised trials. Lancet. 370 (9600), 1706-1713 (2007).
  31. Daneschvar, H. L., Aronson, M. D., Smetana, G. W. FDA-approved anti-obesity drugs in the United States. Am J Med. 129 (8), 879.e1-879.e6 (2016).
  32. Lau, D. C. W., et al. Once-weekly cagrilintide for weight management in people with overweight and obesity: a multicentre, randomis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and active-controlled, dose-finding phase 2 trial. Lancet. 398 (10317), 2160-2172 (2021).
  33. Hainer, V., Aldhoon-Hainerová, I. Tolerability and safety of the new anti-obesity medications. Drug Saf. 37 (9), 693-702 (2014).
  34. Kassir, R., et al. Complications of bariatric surgery: presentation and emergency management. Int J Surg. 27, 77-81 (2016).
  35. Kissane, N. A., Pratt, J. S. A. Medical and surgical treatment of obesity. Best Pract Res Clin Anaesthesiol. 25 (1), 11-25 (2011).
  36. Doyle, S. L., Lysaght, J., Reynolds, J. V. Obesity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 patients undergoing non-bariatric surgery. Obes Rev. 11 (12), 875-886 (2010).
  37. Heymsfield, S. B., Wadden, T. A. Mechanisms, pathophysiology, and management of obesity. N Engl J Med. 376 (3), 254-266 (2017).
  38. Yu, S. -. R., Wang, P., Shu, Q., Bai, Y., Cheng, S. -. M. Analysis on the evolution rules of obesity phlegm dampness. Chin J Tradit Chin Med Pharm. 33 (4), 1483-1485 (2018).
  39. Tu, Y. -. J., Wan, H., Wang, P., Guo, P. -. P., Yan, S. -. X. Research progress of commonly use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external treatments for abdominal obesity. Hebei J Tradit Chin Med. 45 (5), 871-875 (2023).
  40. Huang, L. -. C., Pan, W. -. Y. Comparation of effect and cost-benefit analysis between acupoint catgut-embedding and electroacupuncture on simple obesity. Chin Acupunct Moxibustion. 31 (10), 883-886 (2011).
  41. Liao, J. -. Q., Song, X., Chen, Y., Liang, L. -. C., Wang, S. -. X. Clinic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f acupoint catgut-embedding for simple obesity: a meta-analysis. Chin Acupunct Moxibustion. 34 (6), 621-626 (2014).
  42. Zeng, Q. -. F., Li, Y. -. Q., Wu, X. -. L., Chen, Z. -. F., Luo, B. -. H. Research progress of acupoint catgut embedding in treating simple obesity in recent five years. J Clin Acupunct Moxibustion. 37 (10), 96-100 (2021).
  43. Huo, J., Zhao, J. -. Q., Yuan, Y., Wang, J. -. J. Research status of the effect mechanism on catgut-point embedding therapy. Chin Acupunct Moxibustion. 37 (11), 1251-1254 (2017).
  44. Chen, L. -. S., Wang, D. -. W., Zhao, Y. Discussion of mechanism on acupoint embedding for obesity. Chin Acupunct Moxibustion. 38 (3), 319-323 (2018).
  45. Chen, X., et al. Regularity of acupoint selection for simple obesity treated by acupoint catgut embedding based on complex network technology. Acupunct Res. 43 (9), 585-590 (2018).
  46. Ke, C., et al. Acupoints selection rules analysis of acupoint catgut embedding therapy for simple obesity in recent five years based on data mining technology. Guid J Tradit Chin Med Pharm. 24 (18), 51-54 (2018).
  47. Li, Q. -. Q., Wang, X. -. Y., Sun, Y., Ge, B. -. H. Acupoints selection rules study of acupoint catgut embedding therapy for simple obesity. J Clin Acupunct Moxibustion. 30 (6), 64-66 (2014).
  48. Li, L., Liu, L. -. B., Kong, L. -. H. Rules of acupuncture and catgut implantation for simple obesity. J Clin Acupunct Moxibustion. 31 (6), 39-42 (2015).
  49. Li, S. -. T., et al. Correlation between the effect of catgut implantation at acupoint width together with the embedded depth on losing weight. J Basic Chin Med. 23 (3), 390-393 (2017).
  50. Bai, H., An, J. -. M. Progress in the study of clinical operational factors for weight loss by acupoint catgut-embedding therapy. Hunan J Tradit Chin Med. 37 (3), 181-183 (2021).
  51. Yang, S., et al.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simple acupoint catgut embedding therapy on simple obesity. Liaoning J Tradit Chin Med. 43 (2), 376-378 (2016).
  52. Meng, X. -. Z., Zhu, X. -. X. Clinical observation on 56 cases of simple obesity treated by acupoint catgut-embedding therapy. Chin J Tradit Med Sci Technol. 19 (2), 166 (2012).

재인쇄 및 허가

JoVE'article의 텍스트 или 그림을 다시 사용하시려면 허가 살펴보기

허가 살펴보기

더 많은 기사 탐색

218

This article has been published

Video Coming Soon

JoVE Logo

개인 정보 보호

이용 약관

정책

연구

교육

JoVE 소개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