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인터페론 감마와 TNF는 수억 년 동안 존재해 왔으며 세포 간 병원체에 대한 효과적인 숙주 방어에 중요합니다. 우리 연구 그룹은 이러한 사이토카인이 장내 상피 세포와 암세포와 같은 세포를 죽이는 데 어떻게 작용하는지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장 상피 세포 사멸 메커니즘을 연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스템에는 마우스 모델과 불멸화된 암 세포주가 포함됩니다.
인체 테스트 오가노이드는 환자 생검에서 직접 생성되고 모조직의 많은 생리학적 및 형태학적 특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유리합니다. 이는 번역 가치가 증가했음을 의미합니다. 장기 연구는 실험 재현성에 문제가 있으며 기존 세포 배양에 비해 몇 가지 기술적 문제가 있습니다.
현재 오가노이드 세포 사멸을 측정하는 기술에도 한계가 있습니다. 일부는 반정량적이거나, 세포 사멸을 직접 측정하지 않거나, 단일 오가노이드 반응을 측정할 수 없거나, 고가의 장비와 복잡한 프로토콜이 필요합니다. 오가노이드 세포 사멸의 정량 분석을 위한 당사의 프로토콜은 간단하고 강력하며 저렴합니다.
세포독성 사이토카인 조합에 대한 단일 오가노이드 반응을 측정하기 위해 당사의 프로토콜을 사용했지만, 모든 유형의 섭동을 연구하는 데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세포 사멸, 상피 장벽 기능 또는 점막 면역학에 대한 연구에 유용합니다. 최근에는 인터페론-감마와 TNF-시너지 효과를 일으켜 장 상피세포와 대장암 세포의 염증성 세포 사멸을 유도한다는 보고가 있었습니다.
JAK1/2-STAT1 신호 경로를 통해 이를 수행합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이것이 어떤 유형의 세포 사멸인지, JAK1과 JAK2가 어떻게 세포를 죽이는지 이해하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