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VE Logo

로그인

JoVE 비디오를 활용하시려면 도서관을 통한 기관 구독이 필요합니다. 전체 비디오를 보시려면 로그인하거나 무료 트라이얼을 시작하세요.

기사 소개

  • 요약
  • 초록
  • 서문
  • 프로토콜
  • 결과
  • 토론
  • 공개
  • 감사의 말
  • 자료
  • 참고문헌
  • 재인쇄 및 허가

요약

Intracoronary acetylcholine testing has been established for the assessment of epicardial coronary spasm more than 30 years ago. Recently, the focus has shifted towards the microcirculation and it has been shown that microvascular spasm can be detected using ACH-testing. This article describes the ACH-test and its implementation in daily routine.

초록

Intracoronary acetylcholine provocation testing (ACH-test) is an established method for assessment of epicardial coronary artery spasm in the catheterization laboratory which was introduced more than 30 years ago. Due to the short half-life of acetylcholine it can only be applied directly into the coronary arteries. Several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safety and clinical usefulness of this test. However, acetylcholine testing is only rarely applied in the U.S. or Europe. Nevertheless, it has been shown that 62% of Caucasian patients with stable angina and unobstructed coronary arteries on coronary angiography suffer from coronary vasomotor disorders that can be diagnosed with acetylcholine testing. In recent years it has been appreciated that the ACH-test not only assesses the presence of epicardial spasm but that it can also be useful for the detection of coronary microvascular spam. In such cases no epicardial spasm is seen after injection of acetylcholine but ischemic ECG shifts are present together with a reproduction of the patient's symptoms during the test. This article describes the experience with the ACH-test and its implementation in daily clinical routine.

서문

협심증은 관상 동맥 질환의 특징 수년 동안 확립 된 심근 허혈 및 운동성 협심증 일으키는 심 외막 협착 개념이다. 그러나, 협심증을 가진 많은 환자는 니트로 글리세린 또는 휴식으로 운동과 구호 동안 흉골 통증, 발병의 전형적인 화음이 없습니다. 자주 환자는 가능한 협심증 상응하는 등의 노력에 따라 협심증 휴식이나 운동시 및 휴식 협심증의 조합에서 협심증뿐만 아니라 호흡 곤란을보고한다. 1959 년 프린즈 메탈는 심전도 (ECG)에 ST 분절 상승과 관련된 나머지 부분에서 협심증을 유발하는 관상 동맥의 일시적인 경련의 개념을 소개하는 첫 번째하지만 보존 운동 능력 1이었다. 이 가설은 심혈관 조영술을 이용하여 나중에 확인하고 관상 동맥 경련 외막 협착 또는 정상 관상 동맥이있는 환자에 존재할 수 있다고 나타났다. 1980i에서에스 관상 동맥 경련의 검출 (ACH-테스트) 테스트 관동맥 아세틸 콜린 유발 일본에 설립 관상 동맥 경련이 3 증가에 대한 임상 연구에이어서 관심이되었다.

그러나, 1977 년 경피적 관상 동맥 중재술의 도입과 1986 년 첫 스텐트 시술 후 관상 동맥 혈관 운동 장애에 대한 관심은 적어도 유럽과 미국에서 크게 감소했다. 이것은 (그것 때문에 만 관상 동맥 경련의 평가 관상 동맥에 투여 될 수있다 ACH의 짧은 반감기)으로 인해 ACH-시험의 침략적 성격도 할 수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표지판 및 심근 허혈의 증상이있는 많은 환자는 관상 동맥 조영술의 4,5,6의 모든 관련 심 외막 협착이 없습니다. 이러한 환자에서 관동맥 아세틸 콜린 유발 시험은 임상 적 관상 동맥 혈관 운동 장애를 감지하고 적절한 의료 치료를 제기하는 데 유용합니다 7.

아세틸 콜린은 부교감 신경계의 신경 전달 물질이다. 그것은 nicotinergic뿐만 아니라 muscarinergic (mAChR) 수용체를 통해 작용한다. 후자는 혈관 항상성에 중요한 아세틸 콜린은 비 선택적 작용제로서 mAChR에 결합한다. 내피 수준에서 이들 수용체의 활성화는 혈관 수축 (8)에 이어지는 혈관 평활근 세포에 mAChR의 활성화 반면 산화 질소 매개 혈관 확장을 이끈다. 내피의 무결성 및 평활근 세포의 반응성에 따라 관동맥 아세틸 콜린 투여의 순 효과는 혈관 확장 또는 혈관 수축이다. 인간의 아세틸 콜린에 응답하여 관상 동맥의 생리적 반응은 완전히 이해되지 않고, 정상 관상 동맥 환자에 도시 된 바와 같이 혈관 직경의 25 %까지의 혈관 확장과 수축이 더 생리적 될 수 있다고보고되었다 협심증 PECTORIS 9.

관동맥 아세틸 콜린 유발 검사는 심장 가이드 라인 (10)의 유럽 사회뿐만 아니라 협심증과 탁 트인 관상 동맥 환자에서 심 외막 및 / 또는 미세 혈관 경련의 평가를위한 일본의 순환 학회 가이드 라인 (11)에 의해 권장되고있다. 관동맥 아세틸 콜린 유발 시험은 표준화 된 프로토콜 (12)을 따라 한 2006 년부터 2003 년 우리 기관의 카테터 실험실에서 매일 임상 루틴에서 설립되었습니다. ACH-테스트는 일반적으로 관상 동맥 조영술 아직 징후와 심근 허혈의 증상이있는 모든 환자에서 더 중요한 심 외막 협착 (<50 %) 수행되지 않습니다. ACH-시험은 이하의 프로토콜에 따라 진단 관상 동맥 조영술 직후에 수행된다. 에르고 행동의 다른 메커니즘 연축 유발 검사에 사용되는 다른 에이전트입니다. 상세한에르고 테스트에 대한 정보는 다른 곳에서 12 찾을 수 있습니다.

프로토콜

참고 : 관동맥 아세틸 콜린 테스트는 로컬 윤리위원회에 의해 승인되었으며 프로토콜이 인간 연구에 대한 우리의 기관의 지침을 따릅니다.

아세틸 콜린 솔루션 1. 준비 (재료 표 참조)

  1. 패키지와 함께 제공되는 용매 2 mL를 20 mg을 아세틸 콜린을 섞는다.
  2. 염화나트륨 0.9 %의 98 ml의 2 ml의 ACH 솔루션을 추가합니다. 이것은 ml의 0.2 밀리그램 /의 복용량에 해당하고 염화나트륨의 91 ml의 0.9 %를 원액 1의 9 ML을 추가 원액 (1)라고하며, 이것은 ml의 18 μg의 /의 용량에 해당하며 원액 2라고합니다.
  3. "높음" "중간"과 "낮음"으로 표시 3 관류 주사기 (50 ㎖ 각각)을 준비합니다. 원액이 40 ㎖로 "높은"라고 표시된 관류 주사기 1을 입력합니다.
  4. 관류 주사기 (고 1)의 8 ml의 관류 주사기 2 (표지 "매체")를 입력하고 염화나트륨 0.9 32 ml의 %를 추가합니다. 이것은에 대응3.6 μg의 / ㎖의 용량.
  5. 관류 주사기 3 채우기 관류 주사기 2 (중) 4 ㎖로 ( "낮음"으로 표시)와 염화나트륨 0.9 %의 36 ml에 추가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0.36 μg의 / ㎖의 투여 량에 해당한다.

아세틸 콜린의 관동맥 주입 용 주사기 2. 준비

  1. 관동맥 주입 주사기 5 준비 (5 ㎖ 4 주사기 [# 1, # 2, # 3, # 4], 10 ㎖ 주사기 1).
  2. "저"로 표시된 관류 주사기 6 ㎖로 5 ML의 주사기 # 1을 작성 (단계 1.5 참조). 이 약 2 μg의의 용량에 해당한다.
  3. "매체"로 표시된 관류 주사기 6 ㎖로 5 ML의 주사기 # 2를 입력합니다. 이것은 약 20 μg의 복용량에 상응한다.
  4. "높은"라고 표시된 관류 주사기에서 5.5 ml의 5 ML의 주사기 # 3을 입력합니다. 이 약 100 μg의의 용량에 해당한다.
  5. 표시된 관류 주사기에서 11 mL를 10 ML의 주사기를 채우4;. "고이 약 200 μg의의 용량에 해당한다.
  6. "높은"라고 표시된 관류 주사기 4.5 ml의 5 ML의 주사기 # 4를 입력합니다. 이 약 80 μg의의 용량에 해당한다. 옆이 주사기를 넣고 만 오른쪽 관상 동맥의 평가를 위해 그것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진단 관상 동맥 혈관 조영술

  1. 국소 마취를 주입하거나 우측 요골 동맥에 근접 (통상 2 ㎖의 mepivacain) 또는 오른쪽 대퇴 동맥 (mepi​​vacain 보통 15 ㎖)에 근접한다.
  2. 국소 마취의 성공을 확인하는 것은 바늘로 마취 피부를 따끔 따끔하고 통증이 여전히 존재하는 경우 환자를 요구하는 것입니다.
  3. 다음 정맥을 통해 와이어를 삽입 및 제거, 캐 뉼러와 Seldinger 기술 (13)에 따라 동맥에 구멍. 와이어를 통해 시스 (일반적으로 5 층)를 삽입합니다. 무균 조건에서 관상 동맥 조영술을 수행합니다.
  4. 와이어 일을 사전거친 상행 대동맥에 외피와는 대동맥 판막 위의 진단 카테터를 배치합니다. 이어서 상기 와이어를 제거하고, 콘트라스트 주사기 카테터를 연결한다.
    주 : 조영제가 Iomeprol, 트로 메타 몰, 염산과 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5. 약간 당기고 카테터를 돌려 왼쪽 원줄기의 좌측 관상 동맥의 진단 카테터를 놓습니다. 조영제 2 ㎖를 주입하여 카테터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한다.
  6. 다른보기에서 관상 동맥을 시각화 대비 약 10 ml의 수동 주사와 Judkins 기술 (14)에 따라 관상 동맥 조영술을 수행합니다.
    참고 : 일반적으로 LAO 40 ° 및 RAO 35 °가 오른쪽 관상 동맥에 사용되며, LAO 45 ° / CRAN 25 °, RAO 30 ° / CRAN 30 ° 및 RAO 20 ° / CAUD 30 °가 왼쪽 관상 동맥에 사용됩니다.
  7. (모든 관련 심 외막 협착의 배제 후 ≥50을 아세틸 콜린 테스트 시작시각적 평가에 의해 %).

아세틸 콜린의 4 관동맥 주입

  1. 좌측 관상 동맥에 2 μg의 주사기 # 1 6 ml를 주입한다. 심전도 및 환자의 증상 (예 : 가슴 통증, 호흡 곤란, 현기증)의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20 초 이내에 주입. 6 ml를 주입 한 후 왼쪽 관상 동맥 (일반적으로 RAO 20 ° / CAUD 30 ° 투사 가장 프로젝션입니다)의 관상 동맥 조영술을 수행합니다.
  2. 수동으로 카테터에 대비 주사기를 통해 대비 10 ㎖를 주입하여 관상 동맥 조영술을 수행합니다. 12 리드 ECG 기록과 아세틸 콜린의 모든 투여 후 인쇄해야합니다. 1 분의 일시 정지는 모든 용량 사이에 거짓말을한다.
  3. 좌측 관상 동맥에 20 μg의 주사기 # 2 6 mL의 주입한다. 지속적인 심전도 모니터링 및 환자의 증상을 20 초 이내에 주입. 주사 후 왼쪽 관상 동맥의 관상 동맥 조영술을 수행6 ㎖가 전술 한 바와 같이.
  4. 좌측 관상 동맥에 100 μg의 주사기 # 3 5.5 ml를 주입한다. 지속적인 심전도 모니터링 및 환자의 증상을 20 초 이내에 주입. 전술 한 바와 같이 5.5 ml를 주입 한 후 좌측 관상 동맥의 동맥 조영술을 수행한다.
    참고 : 대부분의 환자는 어떤 증상을보고이 용량에서 ECG 변경 또는 심 외막 혈관 수축을 보여줍니다. 때로 서, 주입 속도는 느리게 할 필요가있다. ACH-테스트에 대한 서로 다른 프로토콜 아래에 언급 한 바와 같이 주입 다른 속도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20 초 이내에 주입에 비해 3 분의 기간에 걸쳐 느린 주입도 실현 될 수있다.
  5. 더 경련 (200 μg의 nitroglyercine 주입 후 혈관의 이완 된 상태에 비해 즉,> 90 % 혈관 수축)이 100 μg의 용량에서 발생하지 않으면 200 μg의 (10 ML의 주사기) ACH 투여를 계속합니다. 연속 모니터 20 초 이내에 11 ml에 주입심전도 및 환자의 증상을 보내고.
  6. (항목 3) 상기 언급 한 바와 같이 11 ml를 주입 한 후 좌측 관상 동맥의 동맥 조영술을 수행한다.
    참고 : 200 μg의 용량이 많은 환자에 적용되었지만이 관상 동맥 내 아세틸 콜린의 적절한 투여가 완전히 정의 할 수 남아 있음을 언급해야한다. 일부 저자는 100 μg의 왼쪽 관상 동맥의 최대 투여해야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 : 자주 서맥이 발생하고 주입 속도가 둔화 될 필요가있다.
  7. 더 이상 소견은 좌측 관상 동맥의 테스트 기간 동안 볼 수없는 경우 오른쪽 관상 동맥에 80 μg의의 ACH (4.5 ml를, 주사기 # 4)를 주입한다. 지속적인 심전도 모니터링 및 환자의 증상을 20 초 이내에 주입. 보통 서맥이 발생하고, 사출 속도를 장시간 서맥 및 / 또는 무 수축을 방지하기 위해 감속 될 필요가있다.
  8. 오른쪽 관상 동맥의 관상 동맥 조영술을 수행4.5 ㎖ (일반적으로 LAO 40 ° / 0 ° 투사가 최고입니다) (섹션 3) 위에서 언급 한 바와 같이 주입 후.
  9. 상기 시험 후 각 시험 동맥에 200 μg의의 투여하거나 심각한 증상 (예 : 심한 가슴 통증이나 호흡의 심각한 곤란), 허혈성 ECG 변화 또는 심 외막 경련이 발생하여 관동맥 내 니트로 글리세린을 주입한다.
  10. 이미지 경련의 복귀를 문서화하는 1 분 후에 단계 4.2에서 언급 한 바와 같이 용기.

결과

아세틸 콜린 시험의 해석은 세 가지 기준에 기초한다. 첫째, 환자 여부 증상이 시험 통하여 요청된다. 자주, 환자는 흉통, 호흡 또는 다른 증상의 곤란으로 자신의 평소 증상의 재생을보고합니다. 이 시험의 전반적인 해석 중요한 포인트를 나타낸다. 둘째, 12 리드 ECG 등록은 지속적으로 같은 ST 세그먼트 우울증, ST 분절 상승 및 T 파 alternans 등의 허혈성 ECG 변화에 특별한 중...

토론

이는 카테터 실험실에서 매일 임상 경로에있는 아세틸 콜린 테스트를 구현 가능하다. 별도로 ACH의 용액의 제조에서 방사선 투과 ECG를 포함하여 테스트를 시작하는 연속 12 리드 ECG의 등록을 유도하기 전에 해결해야 할 몇 가지 기술적 인 문제가있다. 이 시험 동안 일과성 허혈 ECG 변화를 감지 할 수있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이 솔루션은 ACH 단지 2 시간 동안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아는 것이 중요?...

공개

The authors have nothing to disclose.

감사의 말

This project is supported in part by grant KKF-15-1.

자료

NameCompanyCatalog NumberComments
Vial of 20 mg acetylcholine chloride powder and 1 Ampoule of 2 ml diluentBausch & Lomb NDC 24 208-539-20
3x 100 ml NaCl 0.9 %BBraun3200950
3x syringe 50 ml eachBBraun4187903
1x 2 ml syringeBBraun4606027V
1x 10 ml syringeBBraun4606108V
2x cannula 20 G 70 mmBBraun4665791
5x 5 ml syringeBBraun4606051V
Contrast agent Imeron 350 with a 10 ml syringe for contrast injectionBracco Imaging30699.03.00
Coronary angiography suite (AXIOM Artis MP eco )Siemensn/a

참고문헌

  1. Prinzmetal, M., Kennamer, R., Merliss, R., Wada, T., Bor, N. Angina pectoris. I. A variant form of angina pectoris; preliminary report. Am J Med. 27, 375-388 (1959).
  2. Cheng, T. O., Bashour, T., Kelser, G. A., Weiss, L., Bacos, J. Variant angina of Prinzmetal with normal coronary arteriograms. A variant of the variant. Circulation. 47 (3), 476-485 (1973).
  3. Yasue, H., et al. Induction of coronary artery spasm by acetylcholine in patients with variant angina: possible role of the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in the pathogenesis of coronary artery spasm. Circulation. 74 (5), 955-963 (1986).
  4. Bell, M. R., Berger, P. B., Holmes, D. R., Mullany, C. J., Bailey, K. R., Gersh, B. J. Referral for coronary artery revascularization procedures after diagnostic coronary angiography: evidence for gender bias?. J Am Coll Cardiol. 25 (7), 1650-1655 (1995).
  5. Patel, M. R., et al. Low diagnostic yield of elective coronary angiography. N Engl J Med. 362 (10), 885-895 (2010).
  6. Pocock, S. J., Henderson, R. A., Seed, P., Treasure, T., Hampton, J. R. Quality of life, employment status, and anginal symptoms after coronary angioplasty or bypass surgery. 3-year follow-up in the Randomized Intervention Treatment of Angina. Circulation. 94 (2), 135-142 (1996).
  7. Ong, P., Athanasiadis, A., Borgulya, G., Mahrholdt, H., Kaski, J. C., Sechtem, U. High prevalence of a pathological response to acetylcholine testing in patients with stable angina pectoris and unobstructed coronary arteries. The ACOVA Study (Abnormal COronary VAsomotion in patients with stable angina and unobstructed coronary arteries). J Am Coll Cardiol. 59 (7), 655-662 (2012).
  8. Furchgott, R. F., Zawadzki, J. V. The obligatory role of endothelial cells in the relaxation of arterial smooth muscle by acetylcholine. Nature. 288 (5789), 373-376 (1980).
  9. Shimizu, H., Lee, J. D., Ogawa, K., Hara, A., Nakamura, T. Coronary artery vasoreactivity to intracoronary acetylcholine infusion test in patients with chest pain syndrome. Intern Med. 31 (1), 22-27 (1992).
  10. Montalescot, G., et al. 2013 ESC guidelines on the management of stable coronary artery disease: the Task Force on the management of stable coronary artery disease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Eur Heart J. 34 (38), 2949-3003 (2013).
  11. JCS Joint Working Group. Guideline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patients with vasospastic angina (Coronary Spastic Angina) (JCS 2013). Circ J. 78 (11), 2779-2801 (2014).
  12. Ong, P., Athanasiadis, A., Sechtem, U. Patterns of coronary vasomotor responses to intracoronary acetylcholine provocation. Heart. 99 (17), 1288-1295 (2013).
  13. Seldinger, S. I. Catheter replacement of the needle in percutaneous arteriography; a new technique. Acta radiol. 39 (5), 368-376 (1953).
  14. Judkins, M. P. Selective coronary arteriography. I. A percutaneous transfemoral technic. Radiology. 89 (5), 815-824 (1967).
  15. Mohri, M., et al. Angina pectoris caused by coronary microvascular spasm. Lancet. 351 (9110), 1165-1169 (1998).
  16. Chandrasekar, B., et al. Complications of cardiac catheterization in the current era: a single-center experience. Catheter Cardiovasc Interv. 52, 289-295 (2001).
  17. Nakao, K., et al. Hyperventilation as a specific test for diagnosis of coronary artery spasm. Am J Cardiol. 80 (5), 545-549 (1997).

재인쇄 및 허가

JoVE'article의 텍스트 или 그림을 다시 사용하시려면 허가 살펴보기

허가 살펴보기

더 많은 기사 탐색

114

This article has been published

Video Coming Soon

JoVE Logo

개인 정보 보호

이용 약관

정책

연구

교육

JoVE 소개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