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JoVE 비디오를 활용하시려면 도서관을 통한 기관 구독이 필요합니다. 전체 비디오를 보시려면 로그인하거나 무료 트라이얼을 시작하세요.

기사 소개

  • 요약
  • 초록
  • 서문
  • 프로토콜
  • 결과
  • 토론
  • 공개
  • 감사의 말
  • 자료
  • 참고문헌
  • 재인쇄 및 허가

요약

본 명세서에 기재된 로봇 기술은 복막 반사 아래에 위치한 국소 진보(T3/T4) 직장암에 대한 로봇 보조 총 중각 절제술 및 측면 골반 림프절 해부에 대한 단계적 접근법을 상세히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초록

임상 사용에 대 한 그들의 승인 이후, 다 빈치 외과 로봇 위장 수술 수술에 큰 장점을 보여 주었다, 특히 복잡 한 절차에서. 고품질 3-D 비주얼, 다조 팔 및 자연 떨림 여과를 통해 외과 의사는 최소한의 침입으로 보다 정확하게 노출하고 해부할 수 있습니다. 총 중각 절제술은 절제성 직장암 치료를위한 표준 수술 기술입니다. 측면 재발속도를 줄이기 위해 측면 골반 림프절 해부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측면 림프절에 전이가능성이 높은 국소 진보된 중저직장암에 대한 안전하고 실행 가능한 절차이기 때문에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해부학 구조의 복잡성과 수술 후 합병증 비율이 높음은 적용을 제한합니다. 최근, 몇몇 외과 의사는 점점 총 중각 절제술 및 측골골 임플란 림프절 해부에 대한 로봇 기술을 사용하고있다. 개방및복강경 수술과 비교하여, 로봇 기술은 적은 혈액 손실, 적은 수혈, 최소한의 외상, 짧은 수술 후 입원 및 빠른 복구와 같은 몇몇 이점이 있습니다. 로봇 접근법은 일반적으로 측면 골반 림프절 해부와 같은 복잡한 절차에 대한 합리적인 대안으로 간주됩니다, 직접 증거를보고 고품질의 잠재 무작위 제어 연구의 제한된 수가 있지만. 여기서는 시안자오퉁 대학의 제1부산병원에서 수행된 로봇 보조 총 중각 절제술 및 측면 골반 림프절 해부의 상세한 단계를 제공합니다.

서문

2000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임상 사용 승인 이후, 다빈치 외과 용 로봇은 다양한 외과 전문 분야에서 점점 더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1. 로봇 수술 시스템은 유연한 다조 암, 고품질 의 3차원 카메라, 떨림 여과 및 인체 공학을 사용하여 수술의 침습성을 최소화하여 복잡한 절차에 이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수십 년 동안, 총 중각 절제술 (TME)은 절제 성 직장암의 치료를위한 표준이었다. 그러나, 복막 반사 아래에 위치한 고급(T3/T4) 직장암의 경우, 측면 골반 림프절(LPLN) 전이수술 후 국소 재발의 주요 원인이다. 임상 증거는 명확하게 측면 골반 림프절 해부 (LPLND)가 크게 로컬 재발 속도를 줄일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3. 개방 된 절차에 비해, 로봇 지원 TME와 LPLND 적은 혈액 손실과 관련 된 되었습니다., 적은 수혈 및 적은 수술 후 합병증4. 또한, 장기 결과는 두 절차 사이에 크게 다르지 않다5. 이 보고의 결과는 로봇 지원 LPLND가 현지진보한 직장암을 위한 실행 가능한 양식일 지도 모르다는 것을 표시합니다. 그러나 로봇 보조 TME와 LPLND는 복잡한 절차이며 숙련 된 외과 의사에 의해 수행되어야한다는 점에 유의해야합니다.

본명, 로봇 보조 TME 및 LPLND에 대한 표준 체계적인 접근법은 단계적으로 설명된다. 이 절차는 3천 개 이상의 로봇 시술을 수행 한 경험이있는 센터에서 개발되었다6. 또한, 이러한 접근법은 정상적인 해부학적 특성에 기초하였다. 드문 해부학적 변형에 유의해야 합니다.

우리는 약 3 달 동안 간헐적인 혈토체치아를 가진 64 세 남성 환자의 사례를 제시합니다. 디지털 직장 검사는 질량이 항문에서 5cm, 직장의 전방 및 오른쪽 측면 벽에 위치했다는 것을 밝혔다. 향상된 컴퓨터 단층 촬영 (CT) 검사 및 내시경 초음파 (EUS)는 내부 일강 림프절 전이와 낮은 직장암을 밝혀. 대장내시경 생검은 적당히 분화된 아데노시노종의 존재를 확인했습니다. 수술 전 평가는 임상 단계가 cT3N+M0이었다는 것을 건의했습니다. 이에 따라 로봇 보조 TME와 LPLND를 수행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환자 동의는 이 절차를 수행하기 전에 얻어졌습니다.

프로토콜

이 프로토콜은 '자오퉁 대학'(2019ZD04 호)의 제1부속병원 윤리위원회의 가이드라인을 준수한다.

1. 수술 전 준비, 환자 위치 및 마취

  1. 작동 전에 적절한 식이 관리를 보장하십시오.
    1. 수술 전 구강 탄수화물 음료를 취침 시간에 섭취하고 수술 전 4시간 동안 섭취하도록 처방합니다.
      참고: 이것은 수술 후 향상된 회복에 따라 허용되었다 (ERAS) 프로토콜.
    2. 추가 경구 항생제를 처방하지 마십시오.
      참고: 이러한 조치의 이행은 각 센터의 경험에 따라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2. 수술 전 항생제와 정맥 혈전 색전증 예방을 투여하십시오.
    1. 예방 항생제(세페타졸 2g, 피페라실린/타조바탐 4.5g, 약물 알레르기 검사를 기반으로 한 300 mg의 멜린다마이신)을 절개 하기 전에 1시간 이내에 주사하십시오.
    2. 마취 전에 피하 저분자 중량 헤파린 주입 (Nadroparin 칼슘, 2850 IU) 2-4 h의 형태로 깊은 정맥 혈전증 예방을 투여하십시오.
  3. 전신 마취를 유도합니다.
    참고: 각 센터의 경험을 기반으로 수행해야 합니다.
    1. 다인막 진통을 투여하여 지역 신경 봉쇄 및 비스테로이드 성진증을 포함한 마약 투여를 최소화합니다.
    2. 기본 요구 사항, 혈액 손실 및 혈역학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적절한 제한적 인 수술 중 유체 관리를 수행하십시오.
    3. 또한, 수술 중 환자의 심전도, 방사형 동맥 압력, 맥박 산소측정, 카포노그래피, 오줌 량, 온도 및 혈액 가스 분석 7을 동적으로 모니터링한다.
  4. 16-18 Fr 멸균 요도 카테터를 놓습니다.
  5. 환자를 로이드 데이비스 위치에 놓고 수술대에 조심스럽게 고정하십시오. 다리가 교반에 조심스럽게 패딩되어 있고 두 팔이 측면에 끼워져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2. 운영 설정 및 포트 배치

참고: 이러한 조치는 각 외과 의사의 경험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1. 기본 외과 의사가 로봇 콘솔에서 작동하고 설정을 사용자 지정합니다(그림 1).
  2. 환자의 오른쪽에 보조 복강경 외과 의사가 서있다 (그림 1).
  3. 환자의 왼쪽에 간호사 스탠드가 있습니다 (그림 1).
  4. 수술 전에, 백색 균형을 확인하고, 작동 시스템 지침에 따라 다빈치 시 로봇 렌즈의 초점 및 3D 보정을 조정하고, 난간을 방지하기 위해 따뜻한 물(55°C 이하)에서 렌즈를 가열한다.
  5. 폐렴및항만 배치를 설정합니다.
    1. 12mm 절개를 배꼽 위로 2-3cm, 왼쪽으로 약간 절개합니다.
    2. 수건 클램프로 배꼽과 복부 벽을 높이고 베레스 바늘을 사용하여 복강으로 관통합니다.
    3. 유동 탭이 열리면 베레스 바늘에 보통 식염수 5mL로 채워진 일회용 주사기를 부착합니다. 주사기를 흡인하고 혈액이나 배설물 물질이 흡인되지 않았는지 확인하십시오. 식염수 5mL를 주입하십시오.
    4. 유동 탭이 열려있는 Veress 바늘에서 주사기를 제거합니다. 베레스 바늘 의 상단에있는 유체 컬럼의 움직임을 관찰하여 베레스 바늘이 적절한 위치를 관통하는지 확인합니다.
      참고: 바늘에서 복부로 유체의 저항없이 자유로운 운동은 식염수 낙하 테스트에 대한 긍정적 인 결과를 나타내고 베레스 바늘은 복강을 관통했다.
    5. 불충 튜브를 베레스 바늘에 연결합니다. 이어서, 12mmHg의 압력 설정에서 CO2 부동 장치를 시작합니다.
      참고: 압력은 8mmHg에서 15mmHg 사이로 설정해야 합니다. 베레스 바늘이 압력을 지적하여 적절한 위치에 있는지 확인합니다. 설정 된 압력을 통해 압력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 이것은 일반적으로 베레스 바늘이 복강을 관통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6. 측정된 압력이 설정 압력에 도달하면 Veress 바늘을 제거하고 12mm 트로카를 시각적 포트로 설정합니다(그림 2).
    7. 로봇 카메라 렌즈를 삽입하고 복강을 완전히 검사합니다. 검색 및 생검 의심 전이성 적절을 생생하고 냉동 섹션 히스토로지8을 위해 보내십시오.
    8. 접착력이 트로카 설정을 방해하는 경우 복강경 장비를 사용하여 먼저 놓습니다.
    9. 세 개의 로봇 암 포트를 설정합니다. 각 트로카에 대해 8mm 의 피부 절개를 한 후 트로카를 놓습니다. 오른쪽 맥버니의 포인트에 팔 1(R1)을 놓습니다(그림 2). 왼쪽 중간쇄골 선에 암 2(R2)를 시각적 포트의 레벨에 놓습니다(도 2). 왼쪽 전방 축산선에 암 3(R3)을 시각적 포트의 레벨에 놓습니다(도 2).
      참고: 인접한 포트 사이의 거리가 8-10cm인지 확인합니다.
    10. 12mm 보조 포트 1(A1)을 오른쪽 중간쇄골 선에 시각적 포트 의 레벨에 놓습니다(그림 2).
    11. 8mm 보조 포트 2(A2)를 음모 심기(그림 2)보다 약 1~2cm 높이로 놓습니다.
    12. 환자를 30° Trendelenburg 위치에 배치하여 15° 오른쪽으로 놓습니다.
    13. 이 포트를 설정한 후, 다빈치 로봇을 환자의 다리 사이에 놓고 시스템 안내를 사용하여 카메라 팔과 3개의 수술 팔을 트로카에 부착합니다.
    14. 로봇 계측기배치. R1에 모노폴라 가위, R2의 양극성 손그스터, R3의 케이데어 잡힘 잡기 를 놓습니다.
      참고: R1의 기기는 주 외과 의사의 행동에 따라 교체할 수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계측기는 단극성 가위와 고조파 메스입니다.

3. 총 중각 절제

  1. 왼쪽 결장동원.
    1. Cadiere가 R3의 집게를 잡고 왼쪽 포골 황시를 노출시킴으로써 내림차순과 시그모이드 결장들을 내다킵니다.
    2. R1의 단극성 가위를 가진 파라콜릭 설시를 따라 내림차순과 시그모이드 결장의 생리적 접착을 방출한다. 파라콜릭 설시를 따라 복막을 절제하고 R1의 단극성 가위를 가진 열등감에서 하강 콜론을 해부하여 우레터가 내림차순 및 비장 굴곡 결장의 측면을 동원하도록 노출될 때까지 해부한다. 요관 근처에 멸균 거즈 조각을 표시기로 놓습니다.
    3. 내림차순과 비장 굴곡 결장의 측면 을 동원 한 후, R3에서 Cadiere 잡는 집게를 사용하여 앞으로 메젠토리로 시그모이드 결장을 파악하고 계속 상승시킵니다. R2의 양극성 손아귀로 장간을 만들고 조수의 손에 집게합니다. 그런 다음, 말레의 근막의 "흰색 선"을 인식, 아바큘러 평면. "흰색 선"을 따라 회중을 절개합니다.
    4. 이 평면을 따라 R1의 단극성 가위로 측면 파라콜릭 설시를 향해 분리하여 시그모이드 결장들을 동원한다. 그 후, 이전에 설정된 지표 거즈의 지도 하에 내측 구획과 측면 구획 사이의 터널을 만듭니다. 전기 카우테리를 사용하여 병행 기행으로 이 평면을 계속 개발하고 날카롭고 무딘 확산을 결합합니다. 내림차및 시그무이드 결장내를 완전히 동원하기 위해 해부를 빠르게 수행한다.
  2. 열등한 장분동맥(IMA) 및 열등한 막질 정맥(IMV)을 경감시합니다.
    1. 시그모이드 결장들을 동원한 후, 대오르타를 노출시키기 위해 R3의 집게로 시그모이드 결장들을 파악하고 계속 상승시킵니다. 대어를 따라 R1의 모노폴라 가위로 우수하게 해부하여 IMA를 노출시합니다.
    2. 단극성 가위에서 고조파 메스로 R1의 악기를 변경합니다.
    3. IMA의 뿌리에서 림프 조직을 R1의 초음파 메스로 혈관과 분리하여 왼쪽 배앓이 동맥이 나타날 때까지 분리합니다. 보조 외과 의사는 큰 잠금 클립왼쪽 배앓이 동맥의 기원 아래 IMA를 클립. 그런 다음, 고조파 메스로 변속하여 출혈을 최소화합니다.
    4. R1의 고조파 메스로 림프 조직을 왼쪽 배앓이 동맥과 분리하십시오. 왼쪽 배앓이 동맥의 열등한 장간 정맥(IMV)과 내림차순 가지를 인식한다. 보조 외과 의사 클립을 가지고이 2 혈관을 횡단.
  3. 직장의 골반 해부를 수행합니다.
    1. 리본 리트랙터를 사용하여 직장을 들어 올립니다. 보조 외과 의사에 의해 A2에 잡고 집게를 배치하고 리본 원격 조폭을 그립하여 직장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R1의 계측기를 단극성 가위로 변경합니다.
    2. 시그모이드 결장의 후방 여백을 통해 삽입된 Cadiere 잡기 집게로 직장을 앞으로 들어 올려 성모 를 노출합니다. 그런 다음 R1의 단극성 가위를 가진 중각 근막과 전경 신경 근막 사이의 회고 평면으로 해부합니다. 이 평면을 따라 개발하고 레바토르 애니 근육의 수준에 도달 할 때까지 R1에서 단극성 가위를 사용하여 전극성 신경 근막에서 중공근을 분리 (그림 3A).
      참고: 근막 근막의 무결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3. 복막을 절개하고 R1의 단일 폴라 가위로 직장 근처의 측면 중추 평면을 엽니다. 보조 외과 의사가 직장을 다른 쪽으로 이동하도록하십시오.
    4. R1의 계측기를 고조파 메스로 변경합니다. 레바토르 애니 근육의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조심스럽게 해부하고이 평면을 개발합니다. 반대로 이 단계를 반복합니다.
      참고 : 사실, 전방 해부는 아직 수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측면 중각 평면은 완전히 개발하기가 어렵습니다. 작동이 어려워 보인다면 전방 비행기를 먼저 다루는 것이 좋습니다.
    5. R1의 고조파 메스와 내장 성 회막의 반사 보다 1cm 이상의 회합을 절개합니다. 내장 복막의 반사를 절개 한 후, 정액 소포의 후방 벽을 커버 정액 소포와 데논빌리어스의 근막을 식별합니다.
      참고 : 여성의 경우, 질 후방 벽과 중년 근막 사이에 해부를 수행해야합니다. 외과 의사는 얇은 질 후방 벽을 손상시키지 않아야합니다.
    6. R3의 고조파 메스와 함께 레바토르 애니 근육의 수준에 도달 할 때까지 데논빌리어스의 근막과 중각 근막 사이의 평면을 계속 개발합니다.
    7. 이때, 디지털 직장 검사를 실시하여 해부가 종양의 해실 마진을 넘었고 절제술에 적합한 마진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8. 이 수준에서 직장을 둘러싼 지방 조직을 분리합니다. 복강경 선형 절단 스테이플러를 사용하여 직장을 횡단합니다.
      참고: 직장이 가능한 한 2cm 이상의 말반 여백을 가진 종양의 말단 테두리 아래에 간질되는지 확인하십시오.
    9. 골반 구멍에서 직장을 꺼내 고 풍부한 증류수와 골반 구멍을 관개. R2의 양극성 집게로 전기 카우터리를 사용하여 혈종을 수행합니다.

4. 측면 골반 림프절 해부

참고: 양자 LPLND는 왼쪽 또는 오른쪽에서 시작할 수 있습니다. 현재 기술 지침은 왼쪽에서 시작하는 것을 제안합니다. 시그모이드 결장과 직장을 방출하고 동원한 후, 왼쪽 공통/외부 장심 동맥및 왼쪽 요관은 명확하게 식별될 수 있으며, 이는 이 쪽에서 림프절절제술을 시작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측면 골반 림프절은 공통 iliac 영역 (273 호), 외부 장악 영역 (293 호), obturator 영역 (283 호), 내부 장악 영역 (263 호)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전 연구는 일반적인 iliac 및 외부 iliac 림프절 전이 가 드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9. 따라서 대장암에 대한 치료 지침은 주로 외설영역(283호)과 내장영역(263호)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9.

  1. 왼쪽에서 시작하여 R1의 고조파 메스로 후각을 우초로 절개합니다. 절개를 꽃병 연기까지 확장합니다.
    참고 : 여성의 경우 절개는 둥근 인대까지 확장해야합니다. 고조파 메스를 사용하여 혈관 손상을 최소화하십시오.
  2. 장강 함선으로 횡단하는 수준에서 왼쪽 요관을 식별합니다. 그런 다음 요관을 동원하고 R3의 집게로 내측으로 이동합니다. 요관및 전박신경 근막이 측면 노드 해부의 내측 평면이 되도록 하십시오.
    참고 : 요관의 완전한 골격화는 가능한 경우 피해야 하는 요관의 혈액 공급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이 근막에 내측으로 위치한 골반 자율 신경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요관 및 전박위 신경 근막에 해부를 유지한다.
  3. 측면에서 외부 장악 동맥에 이르기까지, 외부 장악 동맥을 둘러싼 림프 조직을 R1의 고조파 메스와 분리한다.
  4. 조수의 손에 있는 흡인기와 함께 외부 장악 정맥을 측면으로 철회합니다. 내부 및 외부 장낭 동맥의 양상에서 림프 조직을 R1의 고조파 메스와 분리하고 외향성 신경 및 배꼽 동맥을 식별합니다. 측면 벽에서, 완전히 psoas및 내부 obturator 근육의 표면에서 림프 조직을 해제 (그림 3C).
    참고: 내부 및 외부 iliac 동맥의 분기는 측면 노드 해부의 근간 끝에 있습니다.
  5. 배꼽 동맥및 vesicohypogastric 근막을 조수의 손에 있는 흡인기와 내체로 철회하고 vesicohypogastric fascia에서 림프 조직을 분리합니다. 배꼽 동맥과 vesicohypogastric 근막이 obturator 노드 (#283)의 해부의 내측 벽이 되도록하십시오. 림프 조직을 R1의 고조파 메스와 함께 충막 과 신경을 따라 근막과 신경을 조심스럽게 분리하고 내부 장악 동맥 과 정맥의 가지인 obturator 동맥과 정맥을 식별합니다. 조심스럽게 부상을 피하기 위해 obturor 동맥과 정맥을 분리합니다.
    참고: 일부 환자는 우리의 경험에 따라 두 개 이상의 obturator 신경 분기가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기 중 하나의 부상 또는 횡부는 심각한 기능 장애로 이어질 수 없습니다. 그러나, obturator 신경의 한쪽의 모든 가지의 완전한 횡부는 가능한 한 많이 피해야한다.
  6. 보조의 손에 있는 흡인기와 요관 및 전세 위 신경 근막을 내디딘다(그림 3D). R1의 고조파 메스로 근막에서 림프 조직을 완전히 방출합니다. 2-3 우수한 성동맥을 식별하고 분리합니다 - 이들은 배꼽 동맥의 가지입니다.
    참고: 오줌 기능 장애를 최소화하기 위해 모든 우수한 정맥 동맥 가지를 계각하지 마십시오. 특히 양자 LPLND가 수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우수한 성서 동맥을 보존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심각한 오줌 기능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7. 혈관 연기를 만날 때까지 R1의 고조파 메스와 림프 및 지방 조직을 해부계속합니다.
    참고 : 여성의 경우, 라운드 인대에 도달 할 때까지 해부를 수행해야합니다.
  8. 멸균 시편 가방을 사용하여 포사에서 단일 시편으로 림프 지방 조직을 제거합니다(도 3E, F). 잔류 림프 조직이 없고 출혈이 없는지 확인하고 확인하십시오.
  9. 필요한 경우 오른쪽 림프절절제술을 완료할 수 있는 오른쪽에 있는 이 섹션에 나열된 단계를 반복합니다.

5. 소화관의 재건

참고: 여기서, 1차 외과 의사의 경험과 선호도에 따라, 스테이플된 대장또는 핸즈런스 해부학은 개방또는 로봇 복강경 방법을 통해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해부학의 방법은 직선 종단 단단 해부학, 작은 저수지 종단 간 대장 해부학, 또는 콜로니 J-파우치 해부학1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기본, 개방형 직선 종단 간 스테이플 인 대장 해부학 기술을 제공합니다.

  1. 배꼽 아래 수직 중간선 절개를 합니다. 상처 보호기.
    참고: 1차 외과 의사의 경험과 선호도에 따라 Pfannenstiel 절개 또는 다른 유형의 절개를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2. 종양의 위치와 결장의 길이에 따라 황부 수준을 결정한다. 편부 수준은 종양의 근위 경계에 적어도 10cm 근위가 되어야 한다. 근위 결장들을 직장 그루터기쪽으로 연결하고 과도한 장력이 없는지 확인하십시오.
  3. 근동 및 단장 간질을 분리합니다. 결장의 혈관 아치를 리게이트합니다. 결절 수준 결장 주변의 지방 조직을 방출합니다.
  4. 이전에 결정된 수준에서 지갑 문자열 집게를 사용하여 결장고정을 합니다. 지갑 끈 바늘을 사용하여 지갑 끈을 만듭니다. 결장 내역.
  5. 모루를 결장 루멘에 삽입하고 0 실크 봉합사로 모루 샤프트에 지갑 끈을 고정합니다. 복강으로 근위 결장반환. 이제 표본이 완전히 제거되었습니다.
  6. 복강경 안내 아래 원형 스테이플러를 부드럽게 회전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트로카를 완전히 확장하고 조직을 관통합니다.
  7. 모루가 완전히 앉은 자세로 스냅될 때까지 모루 샤프트를 트로카 위로 밀어 넣습니다. 노브를 시계 방향으로 조정하여 닫습니다. 스테이플러가 해부학을 완료하기 시작합니다.

6. 루프 장절제술 전환

참고: 우회 루프 장신술이 수행되는지 여부는 해부학의 높이와 품질및 환자가 수술 전 방사선으로 치료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 장부 절제술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 6.1.1-6.1.7 단계를 건너 뛰십시오.

  1. 피부 주름, 뼈 가루, 기타 절개에서 멀리 오른쪽 아래 사분면에 절개를합니다.
    참고: 루프 장신술을 수술 전으로 우회하는 경우 표시된 영역의 측면 측면을 통해 R1을 배치하여 절개 수를 최소화하십시오.
  2. 에버트는 간질의 비틀림을 피하면서 복벽을 통해 작은 창자 루프를 공급하여 동원된 잘 혈관의 길이를 공급했습니다.
  3. 바변 영역에서 막종 결함을 만듭니다. 장루로 성숙을 위한 루프의 외부화를 돕기 위해 막에 배수구를 놓습니다.
  4. 일루의 시간 분담 벽을 전기 카우터를 사용하여 장마 다리의 수준에서 탈면 사지에 가깝게 나눕니다.
    참고: 이 개구부는 하나의 막연한 가장자리에서 다른 쪽지의 각질 가장자리에서 만들어야 합니다.
  5. 장루의 가장자리와 복부 절개의 말단 세 번째에 중단 된 봉합을 수행합니다.
  6. 장루의 가장자리를 ileum 벽을 반전시킴으로써 근접 일루 벽의 세로 근육에 부착합니다. 장루의 가장자리를 방해, 근위 장막의 세로 근육과 복부 개구부의 근접 피하 층. 에버트 버드를 만듭니다.
  7. 점막 접합을 완료합니다.
  8. 근막과 절개를 닫습니다.
    1. 모든 상처를 식염수로 관개합니다.
    2. R3 절개를 통해 아나스토모틱 스토마 옆에 19-Fr 라운드 채널 드레인을 놓습니다.
    3. 복막 및 피하 층을 중단. 상인은 피부 층을 봉합합니다.

결과

비디오에 제시된 사례의 자세한 perioperative 정보는 표 1도 3에 표시됩니다. 이 절차는 2019년 4월 다빈치 시 로봇 시스템을 사용하여 해당 저자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수술 중 추정된 혈액 손실은 90mL이고 수혈이 필요하지 않았습니다. 수술 후 관리는 ERAS의 원칙을 준수. 수술 후 6일째 첫 배변 후, 메글루민 디아트리조아테 관종을 투여하고 X선 방사선 촬영을 ?...

토론

대장암(CRC)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암 중 하나입니다13. 그 중 3 분의 1 이상이 직장암입니다. 수술 후 기능적 요구 사항과 골반과 회음의 정교한 신경 및 근막 해부학으로 인해 직장암, 특히 낮거나 초저엽 직장암을 위한 최고의 수술 접근법은 여전히 큰 논쟁을 받고 있습니다. 1979년 첫 보고 이후, 총 중각 절제술(TME)은 절제성 직장암 14의 치료를 위한 표준 ?...

공개

아무것도 공개할 수 없습니다.

감사의 말

이 프로젝트는 중국 국립 자연과학 재단(제1 81870380)과 산시성 과학 재단(2020ZDLSF01-03, 2020KWZ-020)이 후원했습니다.

자료

NameCompanyCatalog NumberComments
0 Silk sutureN/AN/ASecure the anvil
12mm TrocarMedtronic (Minneapolis, MN)NONB12STFAssistant port 1
19 Fr drainN/AN/APelvic drain
2-0 Silk sutureN/AN/AClose skin incisions
2-0 V-Loc suturesCovidien (Dublin, Ireland)VLOCL0315Barbed Absorable Suture
4-0 PDSEthicon (Somerville, NJ)SXPP1A400Synthetic Absorbable Suture
8mm TrocarMedtronic (Minneapolis, MN)NONB8STFAssistant port 2
Bipolar forcepsIntuitive (Sunnyvale, CA)470172Operation
Cadiere grasping forcepsIntuitive (Sunnyvale, CA)470049Operation
Circular staplerEzisurgMed (Shanghai, China)CS2535Laparoscopic Surgical Stapler
Da Vinci SiIntuitive (Sunnyvale, CA)N/ASurgical Robot
Da Vinci XiIntuitive (Sunnyvale, CA)N/ASurgical Robot
Hem-o-lok ligation clipWeck (Morrisville, NC)544995Ligation of vessel
Laparoscopic single use linear cutting staplerEzisurgMed (Shanghai, China)U12M45Laparoscopic Surgical Stapler
Large needle driverIntuitive (Sunnyvale, CA)470006Operation
Monopolar scissorsIntuitive (Sunnyvale, CA)470179Operation
Ribbon retractorN/AN/AControl movement of rectum
Specimen BagsN/AN/AExtract specimen
Veress needleN/AN/ASaline drop test

참고문헌

  1. Fantus, R. J., et al. Facility-level analysis of robot utilization across disciplines in the National Cancer Database. Journal of Robotic Surgery. 13 (2), 293-299 (2019).
  2. Akiyoshi, T., et al. Results of a japanese nationwide multi-institutional study on lateral pelvic lymph node metastasis in low rectal cancer is it regional or distant disease. Annals of Surgery. 255 (6), 1129-1134 (2012).
  3. Fujita, S., et al. Mesorectal excision with or without lateral lymph node dissection for clinical stage II/III lower rectal cancer (JCOG0212): A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noninferiority trial. Annals of Surgery. 266 (2), 201-207 (2017).
  4. Yamaguchi, T., Kinugasa, Y., Shiomi, A., Tomioka, H., Kagawa, H. Robotic-assisted laparoscopic versus open lateral lymph node dissection for advanced lower rectal cancer (vol 30, pg 721). Surgical Endoscopy and Other Interventional Techniques. 30 (2), 729 (2016).
  5. Yamaguchi, T., et al. Oncological outcomes of robotic-assisted laparoscopic versus open lateral lymph node dissection for locally advanced low rectal cancer. Surgical Endoscopy and Other Interventional Techniques. 32 (11), 4498-4505 (2018).
  6. Gustafsson, U. O., et al. Guidelines for perioperative care in elective colorectal surgery: enhanced recovery after surgery (ERAS((R))) society recommendations: 2018. World Journal of Surgery. 43 (3), 659-695 (2019).
  7. Brind'Amour, A., et al. Canadian guidelines on the management of colorectal peritoneal metastases. Current Oncology. 27 (6), 621-631 (2020).
  8. Watanabe, T., et al. Japanese society for cancer of the colon and rectum (JSCCR) guidelines 2016 for the treatment of colorectal cancer.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3 (1), 1-34 (2018).
  9. Professional Committee of Robotic Surgery, C.C.C.o.C.M.D.A. Robotic and Laparoscopic Surgery Committee of Chinese Research Hospital, A. [Chinese expert consensus on robotic surgery for colorectal cancer (2020 edition)]. Zhonghua Wei Chang Wai Ke Za Zhi. 24 (1), 14-22 (2021).
  10. Napoli, N., et al. Robot-Assisted Radical Antegrade Modular Pancreatosplenectomy Including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Spleno-Mesenteric Junction. Journal of Visualized Experiments. (155), e60370 (2020).
  11. Shi, F., et al. Clinical feasibility and safety of third space robotic and endoscopic cooperative surgery for gastric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 dissection : A new surgical technique for treating gastric GISTs. Surgical Endoscopy and Other Interventional Techniques. 33 (12), 4192-4200 (2019).
  12. Sung, H., et al. Global cancer statistics 2020: GLOBOCAN estimates of incidence and mortality worldwide for 36 cancers in 185 countries. C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 71 (3), 209-249 (2021).
  13. Heald, R. J. A new approach to rectal cancer. British Journal of Hospital Medication. 22 (3), 277-281 (1979).
  14. Jiang, T. Y., Ma, J. J., Zheng, M. H. Controversies and consensus in transanal total mesorectal excision (taTME): Is it a valid choice for rectal cancer. Journal of Surgical Oncology. 123, 59-64 (2021).
  15. Di Saverio, S., Stupalkowska, W., Hussein, A., Fearnhead, N., Wheeler, J. Laparoscopic ultralow anterior resection with intracorporeal coloanal stapled anastomosis for low rectal cancer - is robotic surgery or transanal total mesorectal excision always needed to achieve a good oncological and sphincter-sparing dissection - a video vignette. Colorectal Diseases. 21 (7), 848-849 (2019).
  16. Sylla, P., Rattner, D. W., Delgado, S., Lacy, A. M. NOTES transanal rectal cancer resection using transanal endoscopic microsurgery and laparoscopic assistance. Surgical Endoscopy and Other Interventional Techniques. 24 (5), 1205-1210 (2010).
  17. Larsen, S. G., Pfeffer, F., Korner, H. Norwegian moratorium on transanal total mesorectal excision. British Journal of Surgery. 106 (9), 1120-1121 (2019).
  18. Koedam, T. W., et al. Transanal total mesorectal excision (TaTME) for rectal cancer: effects on patient-reported quality of life and functional outcome. Techniques in Coloproctology. 21 (1), 25-33 (2017).
  19. Baik, S. H., et al. Robotic total mesorectal excision for the treatment of rectal cancer. Journal of Robotic Surgery. 1 (1), 99-102 (2007).
  20. Gavriilidis, P., et al. Robotic vs laparoscopic total mesorectal excision for rectal cancers: has a paradigm change occurred? A systematic review by updated meta-analysis. Colorectal Diseases. 22 (11), 1506-1517 (2020).
  21. Prete, F. P., et al. Robotic versus laparoscopic minimally invasive surgery for rectal canc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nals of Surgery. 267 (6), 1034-1046 (2018).
  22. Qiu, H., et al. Long-term oncological outcomes in robotic versus laparoscopic approach for rectal canc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Surgery. 80, 225-230 (2020).
  23. Kapiteijn, E., et al. Preoperative radiotherapy combined with total mesorectal excision for resectable rectal cancer.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45 (9), 638-646 (2001).
  24. Ogura, A., et al. Neoadjuvant (Chemo)radiotherapy with total mesorectal excision only is not sufficient to prevent lateral local recurrence in enlarged nodes: Results of the multicenter lateral node study of patients with low cT3/4 rectal cancer.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37 (1), 33-43 (2019).
  25. Emile, S. H., Elfeki, H., Shalaby, M., Sakr, A., Kim, N. K. Outcome of lateral pelvic lymph node dissection with total mesorectal excision in treatment of rectal canc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urgery. 169 (5), 1005-1015 (2021).
  26. Hajibandeh, S., Hajibandeh, S., Matthews, J., Palmer, L., Maw, A. Meta-analysis of survival and functional outcomes after total mesorectal excision with or without lateral pelvic lymph node dissection in rectal cancer surgery. Surgery. 168 (3), 486-496 (2020).
  27. Laparoscopic surgery committee of the endoscopist branch in the chinese medical doctor, A. Laparoscopic surgery committee of colorectal cancer committee of chinese medical doctor, A. and Colorectal surgery group of the surgery branch in the chinese medical, A. [Chinese expert consensus o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for lateral lymph node metastasis of rectal cancer (2019 edition)]. Zhonghua Wei Chang Wai Ke Za Zhi. 22 (10), 901-912 (2019).
  28. Podda, M., et al. Multidisciplinary management of elderly patients with rectal cancer: recommendations from the SICG (Italian Society of Geriatric Surgery), SIFIPAC (Italian Society of Surgical Pathophysiology), SICE (Italian Society of Endoscopic Surgery and new technologies), and the WSES (World Society of Emergency Surgery) International Consensus Project. World Journal of Emergency Surgery. 16 (1), 35 (2021).
  29. Fung, T. L. D., Tsukada, Y., Ito, M. Essential anatomy for total mesorectal excision and lateral lymph node dissection, in both trans-abdominal and trans-anal perspective. Surgeon. , (2020).

재인쇄 및 허가

JoVE'article의 텍스트 или 그림을 다시 사용하시려면 허가 살펴보기

허가 살펴보기

더 많은 기사 탐색

180

This article has been published

Video Coming Soon

JoVE Logo

개인 정보 보호

이용 약관

정책

연구

교육

JoVE 소개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