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VE 비디오를 활용하시려면 도서관을 통한 기관 구독이 필요합니다. 전체 비디오를 보시려면 로그인하거나 무료 트라이얼을 시작하세요.
* 이 저자들은 동등하게 기여했습니다
멜라닌 세포 기능의 조절제는 색소 침착 결과의 눈에 보이는 차이를 지배합니다. 후보 색소 침착 유전자의 분자 기능을 해독하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여기에서 우리는 제브라피쉬 모델 시스템을 사용하여 후보를 식별하고 멜라닌 함량과 멜라닌 세포 수의 조절자로 분류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멜라닌 세포는 표피 피부에 존재하는 특수 신경 능선 유래 세포입니다. 이 세포는 유해한 자외선으로부터 게놈을 보호하는 멜라닌 색소를 합성합니다. 멜라닌 세포 기능의 섭동은 파이발디즘, 백색증, 백반증, 기미 및 흑색종과 같은 색소 장애를 유발합니다. Zebrafish는 멜라닌 세포 기능을 이해하는 데 탁월한 모델 시스템입니다. 눈에 띄는 색소 멜라닌 세포의 존재, 유전자 조작의 용이성 및 형질전환 형광선의 가용성은 색소 침착 연구를 용이하게 합니다. 이 연구는 멜라닌 세포의 다양한 단계를 표시하는 mitfa 및 tyrp1 프로모터 하에서 녹색 형광 단백질(GFP) 발현을 유도하는 야생형 및 형질전환 제브라피쉬 계통의 사용을 사용합니다.
후보 유전자의 모르폴리노 기반 침묵은 유충 색소 침착에 대한 표현형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달성되며 색소 침착 조절자를 스크리닝하는 데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 프로토콜은 색소 침착 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두 가지 후보 유전자인 탄산탈수효소 14(Ca14)와 히스톤 변이체(H2afv)를 사용하여 미세 주입에서 이미징 및 형광 활성화 세포 분류(FACS) 기반 표현형 해부에 이르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또한, 이 프로토콜은 후보 유전자를 멜라닌 세포 지정자 및 세포당 멜라닌 함량을 각각 선택적으로 변경하는 멜라닌 세포 지정자 및 분화제로 분리하는 것을 보여줍니다.
광보호를 위한 멜라닌의 사용은 동물계에서 여러 번 진화했지만 척추동물은 그 과정을 완성한 것 같습니다. 멜라닌을 합성하고 함유하는 정교한 기계를 갖춘 전용 색소 생성 세포는 물고기에서 인간까지 보존됩니다1. 그러나 색소 침착의 결과는 색에 따라 매우 다양하며 외피, 피부 및 모발에 생생한 패턴으로 나타납니다2.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색소 침착 반응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레퍼토리는 현저하게 보존됩니다. 주요 멜라닌 합성 효소, 멜라노솜의 구성 요소 및 신호 전달 경로에 대한 상류 연결성과 같은 멜라닌 합성 기계의 핵심 구성 요소는 유기체 전반에 걸쳐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미묘한 유전적 차이는 종(種)에서 관찰되는 색소 침착 패턴에 극적인 변화를 일으킨다3. 따라서, 하등 척추동물 유기체인 제브라피쉬(Danio rerio)에 대한 역유전적 접근은 색소 상태를 만드는 데 유전자가 관여한다는 것을 해독할 수 있는 훌륭한 기회를 제공한다4.
제브라피쉬 배아는 수정 후 ~24시간 이내에 단세포 수정 접합체에서 유충으로 발달합니다(hpf)5. 놀랍게도, 멜라닌 세포에 해당하는 세포인 멜라노포어(melanophores)는 진피에 존재하는 큰 세포이며 어두운 멜라닌 함량으로 인해 눈에 띈다6. 이 신경 볏 유래 세포는 ~11 hpf를 발산하고 ~24 hpf 6,7을 착색하기 시작합니다. 보존된 유전자 발현 모듈은 멜라닌 세포 기능을 조율하는 핵심 인자의 식별을 가능하게 하고 멜라닌 세포 발달의 선택적 단계를 표시하는 형질전환 형광 리포터 라인 Tg(sox10:GFP), Tg(mitfa:GFP) 및 Tg(ftyrp1:GFP)8,9,10의 개발로 이어졌습니다. 이러한 형질전환 어선을 사용하면 발달 일정에 따라 적절한 단서를 사용하여 조직 맥락에서 유기체 수준에서 멜라닌 세포의 세포 생물학을 조사할 수 있습니다. 이 리포터는 멜라닌 세포의 색소 기반 정량화를 보완하고 멜라닌 함량에 관계없이 멜라닌 세포 수의 뚜렷한 평가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 기사는 두 가지 중요한 매개변수, 즉 멜라닌 함량과 멜라닌 세포 수를 평가하여 멜라닌 세포의 생물학을 해독하기 위한 자세한 프로토콜을 제공합니다. 전자는 저색소침착 반응에서 발생하는 일반적인 기능적 판독값인 반면, 후자는 멜라닌 세포의 사양 또는 생존 감소와 관련이 있으며 종종 유전적 또는 후천적 탈색 상태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 역 유전자 스크리닝의 전반적인 전략은 모르폴리노를 사용하여 선택된 유전자를 침묵시키고 멜라닌 세포 특이적 결과를 조사하는 것입니다. 멜라닌 함량은 평균 회색 값의 이미지 기반 정량을 사용하여 분석한 후 멜라닌 함량 분석을 사용하여 확인합니다. 다양한 성숙 단계에서 멜라닌 세포의 수는 이미지 기반 정량을 사용하여 분석되고 FACS 분석을 사용하여 추가로 확인됩니다. 여기에서 스크리닝 프로토콜은 두 개의 후보 유전자, 즉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탄산 탈수효소 14와 신경 능선 전구체 집단의 멜라닌 세포 사양에 관여하는 히스톤 변이체 H2AFZ.2를 사용하여 입증됩니다. 전자는 멜라닌 세포 수가 아닌 멜라닌 함량을 변경하는 반면, 후자는 지정된 멜라닌 세포의 수를 변경하고 결과적으로 배아의 멜라닌 함량을 변경합니다. 대체로, 이 방법은 색소 침착에서 후보 유전자의 역할을 식별하고 멜라닌 세포 수와 멜라닌 함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구별하기 위한 상세한 프로토콜을 제공합니다.
제브라피쉬 실험은 인도 CSIR-유전체학 및 통합 생물학 연구소(IGIB)의 기관 동물 윤리 승인(IAEC)에 따라 엄격하게 수행되었습니다(제안 번호 45a). 동물의 고통을 최소화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1. 제브라피쉬 배아에 모르폴리노 주입
2. 색소 침착 분석
3. 멜라노포어 수
참고: 형질전환 제브라피쉬 배아의 형광 분석은 두 가지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1) GFP 양성 세포 계수; 2) 형광 강도 측정.
그림 1에 설명된 워크플로는 제브라피쉬 1 세포 단계에서 모르폴리노 기반 유전자 교란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색소침착 분석은 하기와 같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대표적인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h2afv 및 ca14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는 표준화된 양의 안티센스 모르폴리노를 제브라피쉬 배아의 난황 또는 단세포 단계에 주입했습니다. 명?...
색소 침착 표현형은 종종 멜라닌 함량 또는 색소 함유 멜라닌 세포 수의 변화로 나타납니다. 본원에 기재된 방법은 이러한 이분법의 해부를 허용하고, 멜라닌 함량에 무관하게, 배아당 멜라노포어의 수 및 멜라닌 함량의 정성적 및 정량적 평가를 허용한다. 제브라피쉬의 높은 번식력, 색소 멜라닌 세포의 가시적 특성, 멜라노솜 전달의 부족은 중간 처리량 스크리닝이 가능한 이 역유전적 접근 방?...
모든 저자는 이해 상충을 선언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이 원고에 제시된 작업을 지원하기 위해 프로젝트 MLP2008 비디오 프로젝트와 GAP165 프로젝트에 대한 과학 기술부의 자금 지원을 인정합니다. 실험에 도움을 주신 Jeyashri Rengaraju와 Chetan Mishra에게 감사드립니다.
Name | Company | Catalog Number | Comments |
1.5 mL Microtubes | Axygen | MCT-150-A | For preparing MO solution |
2 mL Microtubes | Axygen | MCT-200-C | For washing steps in FACS protocol |
Agarose | Sigma-Aldrich | A-9539-500G | For microinjection |
BD FACSAria II | BD Biosciences | NA | For cell sorting |
Capillary tube | Drummond | 1-000-0010 | |
Corning cell strainer | Corning | CLS431751 | For making single cell suspension |
DMEM High Glucose Media | Sigma-Aldrich | D5648 | FACS protocol |
Ethyl 3-aminobenzoate methanesulfonate (Tricaine) | Sigma-Aldrich | E10521-50G | to immobilize ZF for imaging |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disodium salt dihydrate (EDTA) | Sigma-Aldrich | E5134 | For cold lysis buffer |
FACS tubes | BD-Biosciences | 342065 | FACS protocol |
Fetal bovine serum (FBS) | Invitrogen | 10270 | FACS protocol |
Graphpad prism Software | Graphstats Technologies | NA | For data representation |
ImageJ Software |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 NA | For image analysis |
Insulin Syringes (1 mL) | DispoVan | NA | For manual dechorionation |
Melanin, Synthetic | Sigma-Aldrich | M8631 | For melanin content assay |
Methylcellulose | Sigma-Aldrich | M7027-250G | to immobilize ZF for imaging |
Microloader tips | Eppendorf | 5242956003 | For microinjection |
Morpholino | Gene-tools | NA | For knock-down experiments |
N-Phenylthiourea (PTU) | Sigma-Aldrich | P7629 | to inhibit melanin formation |
Needle puller | Sutter Instrument | P-97 | For microinjection |
Nunc 15 mL Conical Sterile Polypropylene Centrifuge Tubes | Thermo Fisher Scientific | 339650 | FACS protocol |
Petridish (60 mm) | Tarsons | 460090 | For embryo plates |
Phenylmethylsulphonyl fluoride | Sigma-Aldrich | 10837091001 | For cold lysis buffer |
Phosphate buffer saline (PBS) | HiMedia | TL1099-500mL | For washing cells |
Pronase | Sigma-Aldrich | 53702 | For dechorionation |
Protease inhibitor cocktail | Sigma-Aldrich | P8340 | For cold lysis buffer |
Sheath fluid | BD FACSFlowTM | 342003 | FACS protocol |
Sodium phosphate | Merck | 7558-79-4 | Cold lysis buffer |
Triton X-100 | Sigma-Aldrich | T9284-500ML | For cold lysis buffer |
TrypLE | Gibco | 1677119 | For trypsinization |
JoVE'article의 텍스트 или 그림을 다시 사용하시려면 허가 살펴보기
허가 살펴보기더 많은 기사 탐색
This article has been published
Video Coming Soon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