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VE Logo

로그인

JoVE 비디오를 활용하시려면 도서관을 통한 기관 구독이 필요합니다. 전체 비디오를 보시려면 로그인하거나 무료 트라이얼을 시작하세요.

기사 소개

  • 요약
  • 초록
  • 서문
  • 프로토콜
  • 결과
  • 토론
  • 공개
  • 감사의 말
  • 자료
  • 참고문헌
  • 재인쇄 및 허가

요약

이 프로토콜은 시간적 결정 결과를 처리하는 동안 사회적 비교 및 사회적 거리와 관련된 신경 활동을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무관심 지점은 연구의 일부로 이벤트 관련 전위를 사용하여 측정됩니다.

초록

시간적 선택은 우리의 일상 생활에서 교육, 건강, 소비 및 투자와 관련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연구는 사회적 비교와 사회적 거리가 시간적 선택에 대한 결과 평가와 관련된 신경 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는 혁신적인 실험 프로토콜을 제안합니다. 본 연구는 인지자원경쟁의 이론적 틀을 기반으로 한다. 이 프로토콜을 통해 연구원은 각 참가자에 대한 무관심 지점을 동적으로 설정하여 시간적 선택 평가에 대한 편향된 무관심 지점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는 참가자들이 시간적 선택 결과를 평가하는 방법에 대한 사회적 비교와 사회적 거리의 결합된 영향을 단독으로 측정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개인은 부정적이고 불공정한 조건에서 즉각적인 결과를 선택하는 경향이 더 높습니다. 더욱이, 공정하고 긍정적인 불공정 조건에 비해 사람들은 부정적인 불공정 조건에서 지연된 결과를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접근법의 강점은 역동적인 무관심점 설정에 있으며, 다양한 외부 요인(예: 사회적 지위 및 권력 수준)이 시간적 의사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이 프로토콜은 사건 관련 전위와 같은 전기생리학적 사건을 측정하도록 설계되었지만 fMRI와 함께 사용하도록 맞춤화할 수도 있습니다.

서문

일상 생활에서 사람들은 종종 현재를 즐기거나 미래에 투자하는 선택에 직면합니다. 시간적 선택(intertemporal choice)으로 알려진 이 결정은 개인이 서로다른 시점1,2,3에서 결과의 가치를 평가하도록 요구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결과에 대한 주관적 평가는 과장 또는 준 쌍곡선으로 감소합니다 4,5,6,7. 사람들은 규모는 크지만 나중에 얻는 이익보다 작지만 즉각적인 이익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8.

선행 연구에서는 시간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조사하였다. 예를 들어, D. Wang et al.9 은 시간적 의사 결정에서 자아-타자의 차이를 탐구한 결과, 자신이나 친구를 위해 내린 결정은 낯선 사람을 위해 내린 결정에 비해 즉각적이고 작은 보상보다 지연된 큰 보상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사회적 관계의 친밀감은 개인의 시간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따라서 시간적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이와 유사하게, Zhao et al.10 은 시간 기반 시간적 선택에서 자기 타자 의사 결정에 대한 실험을 수행했습니다. 그 결과, 참가자들은 다른 사람을 위해 결정을 내릴 때 더 작은 즉각적인 옵션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지만, 자신에게는 크지만 나중에 선택하는 옵션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시간적 의사 결정 과정에 대한 개인적 이해관계의 영향을 강조합니다.

이전 연구들은 시간적 의사결정의 행동적, 심리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인지 과정에 대한 직접적인 이해나 근본적인 신경 메커니즘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제공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최근 점점 더 많은 연구에서 시간적 의사 결정과 신경인지 과정을 탐구하기 위해 사건 관련 전위(ERP)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ERP는 특정 감각적, 인지적 또는 운동 사건으로 인해 측정된 뇌 반응을 말한다11. ERP를 사용하면 시간적 의사 결정을 연구하는 데 두 가지 중요한 이점이 있습니다. 첫째, 높은 시간적 해상도는 서로 다른 인지 과정의 시간적 순서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합니다. 둘째, ERP 구성 요소는 특정 인지 프로세스의 지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H. Y. Zhang et al.12 은 ERP를 활용하여 사회적 거리가 개인과 파트너 간의 결과 비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습니다. 그들은 개인적 친밀감이 결과 비교 단계에서 개인의 주관적 민감성을 조절한다고 결론지었다. 이 연구는 또한 참가자들이 싫어하는 플레이어의 패배 결과에 더 큰 만족을 표현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ERP 구성 요소를 사용하여 영향력 있는 인지 과정을 분석한 결과, 싫어하는 플레이어의 패배 결과에 대한 높은 만족도는 사회적 비교와 관련된 평가, 동기 부여 및 정서적 과정에 대한 피험자의 민감도가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전 연구들은 주로 시간적 의사결정에서 즉각적 선택지와 지연적 선택지 사이의 인지적 자원 경쟁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뇌는 사회적 비교와 사회적 거리두기 등 다양한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며, 이는 제한된 인지 자원을 놓고 더욱 경쟁하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시간적 의사 결정 작업에 할당되는 인지 자원이 줄어든다. 시간적 의사결정 결과에 대한 외부 요인의 영향을 정확하게 조사하기 위해서는 즉각적인 결과 평가와 지연된 결과 평가 사이의 인지적 자원 할당의 평형 상태를 식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평형 상태에서 개인은 즉각적인 결과와 마찬가지로 지연된 결과에도 동일한 주관적 가치를 부여합니다. 그러나 평형 상태에서 사회적 비교, 사회적 거리와 같은 외부 요인에 더 많은 가중치가 부여되면 시간적 의사 결정에서 인지 자원 균형이 깨집니다. 결과적으로, 평형 상태와 불균형 상태 사이의 인지적 차이는 시간적 결정 결과의 평가에 대한 외부 요인의 영향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습니다. "무관심점"은 미래의 고정된 날짜에 지연된 결과의 균형점을 나타내며, 즉각적인 결과(13)의 주관적 가치와 동일하다. 시간적 의사결정에 관한 기존의 일부 연구는 실험적 패러다임에서 각 참가자에 대한 무관심 지점을 설정하지 않았다. 대신, 지연 할인 작업(DDT)을 사용하여 피험자의 시간 할인율을 미리 계산하고 참가자를 시간 할인율이 높은 그룹과 낮은 시간 할인율 그룹으로 분류합니다. 결과적으로, 시간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 요인을 탐색한 연구의 결과는 즉각적 선택평가와 지연된 선택지 평가 사이의 인지적 자원의 불균형적 배분으로 인해 일관성이 없게 된다14,15,16.

사회적 비교와 사회적 거리가 개인의 시간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복합적인 영향을 조사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며, ERP 기법을 활용한 연구는 더욱 적다. 결과적으로, 두 가지 사회적 요인이 모두 존재할 때 시간적 선택 결과 평가의 근본적인 신경 메커니즘은 불분명합니다. 시간적 의사결정에 대한 외부 요인의 영향에 대한 기존 연구는 지연된 결과에 대한 무관심 지점의 부적절한 설정으로 인해 이러한 외부 요인의 영향을 측정하는 데 있어 잠재적인 편차를 초래했습니다. 개인마다 동일한 양의 보상에 대해 서로 다른 주관적 가치 평가를 할당할 수 있으며, 시간적 결과 평가 중 불공평한 인지 자원 할당으로 인한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각 참가자에 대해 개별화된 무관심 지점을 설정해야 합니다. 지연된 결과에 대한 무관심 지점을 미리 결정하는 새로운 실험 패러다임은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선행연구에서는 이러한 패러다임을 1개월 지연의 결과로 고정하여 인지자원경쟁이론의 기대치와 일치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17. 사전에 무관심 지점을 설정하면 편견이 생길 수 있지만 심리적 단서와 인지 강화를 통해 참가자에게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참가자들이 직접적인 개인적 개입 없이 시간적 선택을 관찰하기만 했던 이전 연구와 달리, 이번 연구는 새로운 실험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참가자들은 도박 작업에 참여할 뿐만 아니라 낯선 사람에서 친구로 전환한 다른 사람들과 결과를 비교해야 합니다. 이 패러다임은 시간적 선택에 대한 개인의 이기심과 사회적 비교의 인지적 처리를 모두 탐구하며, 이전 연구와 크게 다릅니다. 본 연구는 참가자들이 DDT 과제에서 1개월 지연된 결과에 대한 무관심 지점을 보고하도록 하고, 이후 이러한 자가 보고된 무관심 지점을 다음 시간적 의사결정 과제에서 지연 옵션의 결과로 사용함으로써, 시간간 의사결정에서 결과 평가에 대한 사회적 비교와 사회적 거리의 공동 영향에 대한 순수한 측정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무관심점 설정 과정에서 결함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가정합니다.

사람들은 대인 관계를 인식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결과를 다른 사람과 비교함으로써 사회적 비교에 참여해야 합니다. 그러나 대인관계 지각 과제와 사회적 비교 과제가 시간적 선택 결과의 시간 가치에 대한 통합 평가 과정에서 인지적 자원을 독립적으로 소비하는지 아니면 자원을 놓고 경쟁하는지는 불분명하다. N100은 사건 발생 후 100ms 시간 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음의 편향된 뇌파로, 포괄적인 결과 평가 전에 주의력 분포의 지표로 간주됩니다. 주의 자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진폭이 감소한다18. Liu et al.19 은 N100 초기 결과 처리 단계에서 사회적 거리의 유의미한 영향을 발견했으며, 이는 개인이 결과 처리의 1차 단계에서 능력 차원에서 가까운 사람들과 자신을 비교하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또한 Mason 등[20 ]은 피험자가 지연된 보상에 비해 즉각적인 보상에 대한 반응에서 더 많은 음의 N100 진폭을 나타낸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시간적 지연이 초기 신경 처리에서 암호화됨을 나타냅니다.

P300은 사건 발생 후 약 300ms 후에 나타나는 양성 편향 뇌파로, 결과 평가의 직접적인 지표 역할을 합니다. P300 진폭이 클수록 더 높은 주의 할당과 더 철저한 결과 평가를 나타낸다12. H. Y. Zhang et al.12 은 P300이 싫어하는 플레이어와의 도박 결과 평가 단계에서 더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싫어하는 플레이어를 능가하려는 참가자의 더 강한 동기를 반영합니다. 더욱이 불안한 사람은 미래의 불확실성을 회피하기 때문에 현재의 걱정 외에 다른 것에 집중하거나 집중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21. 불안 수준이 시간적 선택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ERP 연구에 따르면 불안이 높은 개인은 지연된 옵션22에 비해 즉각적인 옵션을 볼 때 훨씬 더 긍정적인 P300 진폭을 보였다. 자원 배분 이론에 따르면, 시간적 의사결정 과제에 할당된 인지적 자원은 종합적 결과 평가 단계에서 감소한다. 가설 1은 서로 다른 인지 단계에서 대인 지각 과제, 사회적 비교 과제 및 시간적 의사 결정 과제 간의 인지적 자원 경쟁을 제안합니다. 전기생리학적 수준에서는 N100 구성요소의 사회적 거리 및 시간 지연에 대한 주요 또는 상호작용 효과가 있으며, P300 구성요소의 사회적 비교 및 시간 지연에 대한 주요 또는 상호작용 효과가 있습니다.

인지자원경쟁이론에 따르면, 사회적 비교, 대인관계 지각 과제 등 부가적인 과제가 도입될 때, 시간적 의사결정 과제와 한정된 인지적 자원을 놓고 경쟁하게 된다. 그 결과, 시간적 의사결정 작업에 사용할 수 있는 인지적 자원이 줄어들어 결과 평가에 대한 시간 효과의 정교한 처리가 부족합니다. 그 결과 개인은 시간에 대한 민감도가 감소하고 시간 할인율이 낮아집니다. 이 이론에 비추어 본 연구에서는 가설 2를 제안한다: 참가자들이 사회적 비교와 대인 지각 과제에 동시에 직면할 때, 지연된 결과에 대해 더 높은 평가를 받게 된다. 특히, 즉각적인 보상과 비교했을 때, 지연된 보상은 EEG 수준에서 더 긍정적인 P300 진폭을 유도합니다. 이 효과는 인지 자원에 대한 경쟁이 심화되어 더 강력한 주의 할당과 지연된 결과에 대한 보다 철저한 평가로 이어지기 때문에 예상됩니다.

D. Kahneman(23)에 따르면, 주의력은 나눌 수 있으며, 주의력의 배분은 정도의 문제이다. 여러 개의 병렬적 과제에 직면했을 때, 개인은 자기 이익과의 관련성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고 그에 따라 인지적 자원을 할당한다24. 그러나 많은 연구에 따르면 제한된 인지 자원을 가진 열등한 작업은 간섭에 취약할 수 있으며 다른 작업에 미치는 영향은 무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우선순위가 다른 작업 간에 인지적 자원 할당의 상당한 불균형 때문일 수 있습니다. 현재의 실험적 패러다임에서 시간적 의사결정 과제는 자기 이익과 직결된 우월한 과제로 간주되어 인지적 자원 배분에서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다. 사회적 비교 과제 및 대인 지각 과제와 비교했을 때, 시간적 의사결정 과제는 인지적 자원이 적어도 한 자릿수 더 높게 할당된다. 가설 3은 사회적 비교 과제와 대인 지각 과제의 동시 처리에도 불구하고 개인이 즉각적인 결과와 지연된 결과를 동등하게 평가할 것이라고 제안합니다. 이는 즉각적인 결과 조건과 지연된 결과 조건 간에 신경 활동의 P300 구성 요소에 큰 차이가 없음을 의미합니다. 이 가설은 시간적 의사결정 과제가 우선순위가 높기 때문에 훨씬 더 많은 인지적 자원을 받으며, 즉각적 결과와 지연된 결과 간의 인지적 자원 경쟁이 덜 두드러진다는 전제에 기반한다. 결과적으로, 개인은 신경 활동 수준에서 두 결과를 동등하게 평가할 것입니다.

자신의 보상이 다른 사람들이 받는 것보다 적다고 느낄 때, 그들은 종종 불만족과 분노를 경험한다. 이러한 깨달음은 현재 상황의 변화를 추구하거나 비교에서 완전히 물러나 공정성에 대한 인식을 확립하도록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25. 불공정하게 불리한 상황에서 보상의 현저한 격차는 개인의 자존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다른 사람과 자신을 비교하는 것을 피하고 인지적 자원을 덜 어려운 과제로 돌리게 할 수 있다26. 심리적 방어기제로서 불공정한 불이익 비교 조건에 직면한 개인은 사회적 비교 과제에서 시간적 의사결정 과제로 인지적 자원을 재할당한다. 시간 할인율이 높을수록 인지 자원 할당이 더 커집니다. 위와 같은 이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가설 4를 제안한다: 공정우위 또는 불공정우위 조건과 비교하여, 피험자는 불공정우위 조건에서 지연된 보상에 더 낮은 평가를 부여한다. 전기생리학적 수준에서, 이는 불공정한 불이익 조건에서 지연된 보상에 의해 유도되는 더 작은 P300 성분에 반영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효과는 시간적 의사 결정 작업에 대한 인지 자원의 재할당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주의 할당을 줄이고 지연된 결과에 대한 덜 철저한 평가로 이어집니다.

불공정하게 불리한 상황의 맥락에서, 증가된 인지 자원을 시간적 의사결정 과제에 재할당하는 것은 즉각적인 결과의 평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즉각적인 결과의 시간 값이 광범위한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이 측면에 대한 인지 리소스 재할당의 영향이 적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설 5를 제시하여 부당하게 불리한 상황에서 사람들은 즉각적인 보상을 선택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신경 활동 수준에서는 시간 지각의 민감도가 다르기 때문에 P300 구성 요소에서 즉각적인 결과와 지연된 결과 사이에 뚜렷한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개인이 친구와 함께 도박 과제에 참여하여 불공정한 결과에 직면했을 때, 사회적 관계를 인식하고 처리해야 하는 요구로 인해 시간적 선택의 결과를 평가하는 데 할당되는 인지 자원이 줄어들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인지적 자원의 감소로 인해, 개인은 이 상황에서 시간에 덜 민감해진다. 따라서 가설 6이 제기된다: 낯선 사람과의 상호작용에 비해 사람들은 불공정하게 불리한 조건에서 지연된 보상에 더 많은 만족을 표현할 것이다. 이것은 지연된 보상이 낯선 사람에 비해 친구와의 상호 작용의 맥락에서 신경 활동 수준에서 더 큰 P300 구성 요소를 생성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프로토콜

이 연구 계획은 지역 및 기관 윤리 위원회의 승인을 받았으며 헬싱키 선언의 최신 버전을 준수합니다. 모든 참가자는 참여하기 전에 서면 동의서를 제공했습니다. 참가자들은 정상적인 시력 또는 정상적인 교정을 받았으며 정신과적 또는 신경학적 장애가 없었습니다. 참가자들은 약물 또는 향정신성 약물을 사용한 경험이 없었고 6개월 이내에 파마나 머리 염색 이력이 없었습니다. 피험자가 EEG 데이터에 과도한 아티팩트가 있는 경우 후속 데이터 분석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1. 실험적 자극

  1. DDT(Delay Discounting Task) 작업의 자극
    1. DDT 작업에서 종이 카드 34장을 즉시 보상 카드 그룹과 지연된 보상 카드 그룹으로 나눕니다.
      참고: 즉시 보상 카드 그룹에는 각각 '10 CNY now'와 '20 CNY now'라는 두 장의 카드가 인쇄되어 있습니다. 이 카드는 참가자가 카드에 표시된 보상 금액을 즉시 얻게 됨을 나타냅니다. 지연된 포인트 카드 그룹에서 나머지 32개의 카드에는 '1개월 후 X CNY'가 인쇄되어 참가자는 1개월 후 X CNY를 받게 됩니다. 1 CNY 간격으로 10 CNY에서 25 CNY로 증가하는 16 장의 카드 그룹이 있으며 각 카드는 '10 CNY now'즉시 보상 카드와 쌍을 이룹니다. 또 다른 16 카드 그룹은 20 위안에서 35 위안 사이이며 1 위안 증가했으며 '20 CNY now' 즉시 보상 카드와 짝을 이룹니다. 각 임상시험에서 즉시 보상 카드와 지연된 보상 카드(예: '10 CNY now' 카드와 '11 CNY 1개월 후' 카드)가 피험자에게 동시에 제시되어 선택할 수 있습니다. 즉시 카드를 선택하면 기존 지연 보상 카드가 더 많은 양의 지연 보상 카드로 대체되어 다음 시도에서 두 장의 카드를 새로 설정합니다.
  2. 도박 작업의 자극
    1. 큐 단계에서 다른 참가자의 이름(중국어), 노래 스타일, 72파운드가 화면 중앙에 표시되는지 확인합니다.
    2. 도박 의사 결정 단계에서 두 장의 카드가 화면 중앙에 있는 고정 장치의 왼쪽과 오른쪽에 대칭으로 표시되는지 확인합니다. 카드(4.76° × 4.76°)의 뒷면에는 파란색 다이아몬드 패턴이 있습니다.
    3. 피드백 단계에서 도박 작업(중국어)의 결과, 노래 스타일, 72파운드, 검은색이 화면 중앙에 표시되는지 확인합니다. 플레이어의 결과가 위쪽에 표시되고 다른 플레이어의 결과가 아래쪽에 표시되는지 확인합니다(그림 1).
      참고: 본 연구의 경우 2(시간 지연: 현재 vs. 1개월) × 4(사회적 비교: 작은 공정, 큰 공정, 부정적인 불공정, 긍정적인 불공정) 도박 결과 세트를 설계했습니다. 이득 조건은 단순히 시간간 선택에서 부호 효과의 존재 때문에 비교 효과를 확립하기 위해 분석된다27,28. 즉각적인 보상이 주어졌을 때 작은 결과의 금액은 10 CNY이고 큰 결과의 금액은 20 CNY입니다. 지연된 보상이 표시되면 이전 DDT 작업의 무관심 포인트에 따라 지연된 금액이 설정됩니다. 작은 결과의 양은 X1 CNY이고 큰 결과의 양은 X2 CNY입니다(자세한 내용은 2.1단계 참조). 예를 들어, 즉각적인 보상 상황에서 부정적인 불공정 조건은 한 참가자는 지금 10 CNY를 받고 다른 참가자는 지금 20 CNY를 받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지연된 보상 상황의 부정적인 불공정 조건은 1개월 후에 더 작은 X1 CNY를 받는 반면 다른 참가자는 1개월 후에 더 큰 X2 CNY를 받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세 가지 조건은 작은 공정 조건, 큰 공정 조건 및 긍정적 불공정 조건입니다. 총 8개의 결과를 표 1에 제시하였다.
작은 공정한 조건부정 불공정 조건긍정적 인 불공정 조건큰 공정한 조건
지금10 대 1010 대 2020 대 1020 대 20
1개월X1 대 X1X1 대 X2X2 대 X1X2 대 X2

표 1: 도박 결과 수집. 이 표는 8개의 소셜 비교 결과 세트를 보여줍니다.

figure-protocol-2755
그림 1: 도박 작업에 대한 피드백 인터페이스의 자극.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2. 실험 절차

  1. 첫 번째 단계 작업인 DDT 작업(그림 2)을 수행하여 참가자의 무관심 지점(29)을 측정한 후 참가자가 뇌파(EEG) 기록을 수행합니다.
    1. 참가자에게 선택할 수 있는 두 장의 카드를 주는데, 그 중 하나는 즉시 받을 수 있는 고정 금액인 10CNY(또는 20CNY)이고, 다른 카드는 참가자가 1개월 후에 얻을 수 있는 가변 금액이며, 변동 금액은 각 평가판에 대해 10CNY에서 25CNY로(또는 20CNY에서 35CNY로) 점진적으로 증가합니다. 참가자가 즉시 보상이 있는 카드를 선택하면 다음 평가판으로 계속 진행합니다.
    2. 변동 금액 카드를 변경하여 두 장의 카드로 구성된 새 쌍을 설정하고 참가자에게 새로운 선택을 하도록 요청합니다.
      참고: 참가자가 지연된 보상 카드를 선택하면 실험이 중지됩니다. 그러면, 지연된 포인트 카드 X 1(또는 X2)의 금액은 이 참가자의1개월 후의 무관심 포인트로 간주됩니다.
  2. 두 번째 단계 작업인 도박 ERP 작업(그림 3)을 수행하여 시간적 선택 결과 평가에 대한 사회적 비교와 사회적 거리의 공동 효과를 탐색합니다.
    1. 화면 중앙에 고정을 표시하고 400-600ms의 무작위 지속 시간을 제공합니다.
    2. 큐 인터페이스에 상대방의 이름을 1000ms 동안 표시하여 다가오는 도박 작업을 완료할 플레이어에게 알립니다.
    3. 화면 중앙에 있는 고정 장치의 왼쪽과 오른쪽에 두 개의 카드를 대칭으로 표시합니다. 플레이어에게 외부 숫자 키패드가 있는 카드를 선택하도록 요청합니다. 키패드에서 1 을 눌러 왼쪽 카드를 선택하고 3 을 눌러 오른쪽 카드를 선택합니다.
    4. 참가자가 결정을 내린 후 1000ms 동안 빨간색 테두리로 선택한 카드를 강조 표시합니다.
    5. 1000ms 동안 참가자와 상대방의 결과를 모두 표시합니다.
    6. 500ms 동안 빈 화면을 표시합니다.
      참고: 참가자들은 친구나 낯선 사람과 도박 게임에 참여하도록 지시받았습니다. 게임이 시작될 때 참가자들은 함께 플레이할 상대방의 이름을 받았습니다. 그 후, 두 개의 포커 카드가 화면에 나타났고, 각 카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치가 변하면서 일정 금액의 돈을 벌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참가자들은 외부 키보드의 특정 버튼을 눌러 왼쪽 또는 오른쪽 카드를 선택하도록 요청받았습니다. 선택한 카드는 빨간색 테두리로 동그라미가 쳐집니다. 마지막으로, 참가자와 각 매치메이커의 도박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figure-protocol-4606
그림 2: DDT(Delay Discounting Task)의 프로세스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figure-protocol-4973
그림 3: 단일 시행의 시간 경과. 그림은 도박 작업에 대한 단일 재판 절차를 보여줍니다.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3. 실험 준비 및 전기 생리학적 기록

  1. 친구이고 성별이 일치하는 참가자 한 쌍을 모집합니다. 다른 두 참가자 중 어느 쪽에도 전혀 익숙하지 않고 성별이 일치하는 추가 참가자를 모집합니다. 친구 한 쌍 중 한 명에게만 작업에 응답하고 전극 캡을 착용하도록 요청하십시오( 재료 표 참조). 나머지 두 명의 다른 참가자는 어떤 반응도 할 필요가 없으며 화면을 관찰하기만 하면 됩니다.
    참고: 실험에 참여하기 위해 하얼빈 공과대학의 학부생과 대학원생 10쌍(남성 19명, 여성 1명)을 모집했으며, 연령은 18세에서 28세 사이였습니다(M=22.35, SD=±3.21). 과도한 인공물로 인해 피험자 2명(여성 1명)의 데이터는 폐기되었습니다.
  2. 실험실에 도착한 후 실험에 필요한 장비 및 재료와 관련 절차(실험 작업 및 소요 시간 포함)를 참가자에게 소개합니다. 참가자들이 실험 과정의 기본 상황을 이해하고 걱정을 덜어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3. 참가자들에게 실험 전에 정보에 입각한 동의서를 읽고 서명하도록 요청합니다.
  4. 참가자들이 중성 샴푸로 머리를 닦고 완전히 말리도록 안내합니다.
  5. 참가자에게 실험실에 들어가 화면에서 ~1m 떨어진 편안한 의자에 앉도록 지시합니다.
  6. DDT 작업(2.1단계)을 시작하여 참가자의 무관심 지점(X1 및 X2)을 기록합니다.
  7. DDT 작업 후 알코올과 페이셜 스크럽을 각각 사용하여 코끝의 해당 전극을 기준으로 왼쪽 눈의 위와 아래, 약 10mm, 양쪽 바깥쪽 안각 근처, 좌우 유양돌기에 해당 전극을 부드럽게 문지릅니다.
  8. 64개의 Ag/AgCl 전극이 있는 전극 캡( 재료 표 참조)을 참가자의 머리에 씌웁니다. 전극 캡의 정중선 전극이 피험자의 비강 끝의 연장선과 일치하는지 확인하십시오.
    1. CZ 전극을 머리 상단에 위치시킵니다. 캡의 위치를 확인하십시오. FP1 및 FP2 위치는 참가자의 코 뿌리에서 2cm 위에 위치하고, T3, T4 전극은 이어팁에서 2cm 위에 위치합니다.
  9. 전도성 겔을 채우고 접착 붕대, 즉 수직 전기 오큘로그래피 전극, 수평 전기 오큘로그래피 전극, M1 및 M2의 유양돌기 전극 및 기준 전극으로 외부 전극을 조입니다.
  10. 턱에 있는 전극 캡의 스트랩을 조여 실험 중에 전극이 적당한 조임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합니다.
  11. 모든 전극의 임피던스를 10kΩ 미만으로 줄입니다(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임피던스 임계값은 5kΩ 또는 10kΩ). 언급된 절차를 따르십시오.
    1. 녹음 소프트웨어( 재료 표 참조)를 임피던스 모니터링 인터페이스로 전환합니다.
    2. 캡에 있는 모든 전극의 내부 원통형 공간을 끝이 뭉툭한 주사기로 전도성 젤로 채워 두피가 전극에 제대로 연결되도록 합니다.
    3. 임피던스가 임계값 아래로 떨어질 때까지 디스플레이의 실시간 임피던스 값을 관찰하십시오.
  12. 참가자에게 실험이 폐쇄되고 조용한 환경에서 수행될 것임을 알리고 참가자가 긴장을 풀도록 하고 실험 중 과도한 깜박임과 신체 움직임을 피하십시오.
  13. 실험이 시작되기 전에 화면에 가이드를 표시하여 참가자가 실험 절차와 적절한 응답을 알 수 있도록 합니다.
  14. E-prime 소프트웨어에서 도박 작업(2.2단계)을 시작합니다( 자료 표 참조). 참가자가 실험 절차를 이해할 수 있도록 10번의 연습 시험을 실행합니다.
  15. 480번의 시행을 포함한 공식 실험 세션을 구현하고 EEG 신호를 기록합니다. 모든 시도를 6개의 블록으로 나누고 참가자들이 각 블록이 끝날 때 2분 동안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합니다.
  16. 기록된 EEG 데이터를 저장하고 참가자가 전극 캡을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참가자들이 머리카락이나 피부에서 전도성 젤 잔여물을 씻을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17. IOS 척도30 을 사용하여 각 참가자가 친구나 낯선 사람에 대한 자기 포용 정도를 측정하고 사회적 거리 조작을 테스트합니다.
  18. 실험에 참여한 참가자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 보상을 지급합니다.
    참고: 각 참가자는 이 실험에 대해 40위안(CNY)을 받았습니다.

결과

IOS 스케일 결과
IOS 척도 점수30 을 사용하여 참가자의 친구 및 낯선 사람에 대한 사회적 거리와 자기 관련성을 조사한 결과, 참가자와 친구의 사회적 거리(6.20 ± 0.696)가 참가자의 낯선 사람에 대한 사회적 거리(1.45 ± 0.605)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19) = 21.978, p < 0.001, 95%, Cl = (4.30 - 5.20)은 사회적 거리 조작이 효과적임을 보여줍니다.

토론

실험 결과 및 의의
일반적으로 사회적 거리 인식 및 사회적 비교와 같은 추가 작업은 서로 다른 인지 단계에서 시간적 의사 결정 작업과 인지 자원을 놓고 경쟁합니다. 첫째, 사회적 거리와 시간 지연은 각각 N100 진폭에 주요 영향을 미칩니다. 현재 결과는 친구와의 도박이 낯선 사람과의 도박보다 더 큰 N100 진폭을 유도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더욱이, 즉각적인 결과는 지연된 결과...

공개

저자는 공개할 것이 없습니다.

감사의 말

이 연구는 중국 국립자연과학재단(72001055) 프로젝트, 중국 헤이룽장성 사회과학재단 프로젝트(18JLC219), 중국 헤이룽장성 박사후 연구원 재단 프로젝트(LBH-Z18018), 동북농업대학 학자 계획 프로젝트(2019), 장쑤성 교육부 철학 및 사회과학 연구 프로젝트(2018SJA1089)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실험에 도움을 준 412 실험실의 모든 동료들, 특히 Zhikai Song과 Xinyue Jia에게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또한 귀중한 제안을 해주신 편집자와 익명의 검토자에게도 감사드립니다.

자료

NameCompanyCatalog NumberComments
Electrode caps Neurosoft Labs, Inc, USA64 Ag/AgCl electrodes with a configuration of the international 10–20 system of electrode
E-Prime softwarePsychology Software Tools, Inc, USA2Experimental generation system for computerized behavior research
Liquid Crystal Display MonitorROYAL PHILIPS, NetherlandsDisplay experimental procedure
NeuroScan Synamp2 AmplifierNeurosoft Labs, Inc, USAbandpass filter 0.05-100 Hz, sampling rate 1000 Hz

참고문헌

  1. Moreira, D., Pinto, M., Almeida, F., Barros, S., Barbosa, F. Neurobiological bases of intertemporal choices: A comprehensive review.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26, 1-8 (2016).
  2. Cherniawsky, A. S., Holroyd, C. B. High temporal discounters overvalue immediate rewards rather than undervalue future rewards: An event-related brain potential study. Cognitive Affective & Behavioral Neuroscience. 13 (1), 36-45 (2013).
  3. Frederick, S., Loewenstein, G., O'donoghue, T. Time discounting and time preference: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40 (2), 351-401 (2002).
  4. Laibson, D. Golden eggs and hyperbolic discounting.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12 (2), 443-477 (1997).
  5. Mazur, J. E. . The effect of delay and of intervening events on reinforcement value.Quantitative analyses of behavior. 5, 55-73 (1987).
  6. Myerson, J., Green, L. Discounting of delayed rewards: Models of individual choice. Journal of the Experimental Analysis of Behavior. 64 (3), 263-276 (1995).
  7. Qu, C., Huang, Y. Y., Wang, Y. R., Huang, Y. X. The delay effect on outcome evaluation: results from an event related potential study. Frontiers in Human Neuroscience. 7, 7 (2013).
  8. O'Donoghue, T., Rabin, M. Doing it now or later. American Economic Review. 89 (1), 103-124 (1999).
  9. Wang, D., et al. Making decisions for oneself and others: How regulatory focus influences the 'decision maker role effect'for intertemporal choic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49, 223-230 (2019).
  10. Zhao, C. X., Shen, S. C., Li, Y., Liu, X., Li, S. Effects of self-other decision-making on time-based intertemporal choice. Journal of Behavioral Decision Making. 35 (1), 2248 (2022).
  11. Luck, S. J. . An introduction to the event-related potential technique. , (2014).
  12. Zhang, H. Y., et al. Context-bas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modulates social comparison between outcomes: an event-related potential study. Social Cognitive and Affective Neuroscience. 16 (4), 439-452 (2021).
  13. Yi, R., Pitcock, J. A., Landes, R. D., Bickel, W. K. The short of it: abbreviating the temporal discounting procedure. Experimental and Clinical Psychopharmacology. 18 (4), 366 (2010).
  14. Cherniawsky, A. S., Holroyd, C. B. High temporal discounters overvalue immediate rewards rather than undervalue future rewards: an event-related brain potential study. Cognitive, Affective, & Behavioral Neuroscience. 13, 36-45 (2013).
  15. Huang, Y., Hu, P., Li, X. Undervaluing delayed rewards explains adolescents' impulsivity in inter-temporal choice: An ERP study. Scientific Reports. 7 (1), 42631 (2017).
  16. Schmidt, B., Holroyd, C. B., Debener, S., Hewig, J. I can't wait! Neural reward signals in impulsive individuals exaggerate the difference between immediate and future rewards. Psychophysiology. 54 (3), 409-415 (2017).
  17. Tang, S., Guo, J., Li, B., Song, Z. The effect of social distance on intertemporal choice of reward processing: an event-related potentials study. Frontiers in Human Neuroscience. 15, 712194 (2021).
  18. Ernst, L. H., et al. N1 and N2 ERPs reflect the regulation of automatic approach tendencies to positive stimuli. Neuroscience Research. 75 (3), 239-249 (2013).
  19. Liu, S., Hu, X., Mai, X. Social distance modulates outcome processing when comparing abilities with others. Psychophysiology. 58 (5), e13798 (2021).
  20. Mason, L., O'Sullivan, N., Blackburn, M., Bentall, R., El-Deredy, W. I want it now! Neural correlates of hypersensitivity to immediate reward in hypomania. Biological Psychiatry. 71 (6), 530-537 (2012).
  21. MacDonald, E. M., Pawluk, E. J., Koerner, N., Goodwill, A. M. An examination of distress intolerance in undergraduate students high in symptoms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Cognitive Behaviour Therapy. 44 (1), 74-84 (2015).
  22. Xia, L., Gu, R., Zhang, D., Luo, Y. Anxious individuals are impulsive decision-makers in the delay discounting task: An ERP study. Frontiers in behavioral neuroscience. 11, 5 (2017).
  23. Kahneman, D. . Attention and effort. , (1973).
  24. Jin, J., Wang, A., Liu, J., Pan, J., Lyu, D. How does monetary loss empathy modulate generosity in economic sharing behavior? An ERPs study. Neuropsychologia. 141, 107407 (2020).
  25. Bright, D. S., et al. Principles of Management. OpenStax. , (2019).
  26. Cramer, P. Understanding defense mechanisms. Psychodynamic psychiatry. 43 (4), 523-552 (2015).
  27. Faralla, V., et al. Neural correlates in intertemporal choice of gains and losses. Journal of Neuroscience Psychology and Economics. 8 (1), 27-47 (2015).
  28. Zhao, L., et al. Use of electroencephalography for the study of gain-loss asymmetry in intertemporal decision-making. Frontiers in Neuroscience. 12, 13 (2018).
  29. Green, L., Myerson, J., Ostaszewski, P. Discounting of delayed rewards across the life span: age differences in individual discounting functions. Behavioural Processes. 46 (1), 89-96 (1999).
  30. Aron, A., Aron, E. N., Smollan, D. Inclusion of other in the self scale and the structure of interpersonal clos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3 (4), 596 (1992).
  31. Tang, X., Song, Z. Neurological effects of product price and evaluation on online purchases based on event-related potentials. Neuroscience Letters. 704, 176-180 (2019).
  32. Johnson, R. On the neural generators of the P300 component of the event-related potential. Psychophysiology. 30 (1), 90-97 (1993).
  33. Polich, J. Updating p300: An integrative theory of P3a and P3b. Clinical Neurophysiology. 118 (10), 2128-2148 (2007).
  34. Wu, Y., Zhou, X. L. Ismbe. Asia-Pacific Conference on Mind Brain and Education. , 102-104 (2008).
  35. Shen, Q., et al. To Reveal or not to reveal? observation of social outcomes facilitates reward processing. Frontiers in Neuroscience. 14, 9 (2021).
  36. Crowley, K. E., Colrain, I. M. A review of the evidence for P2 being an independent component process: age, sleep and modality. Clinical Neurophysiology. 115 (4), 732-744 (2004).
  37. Gui, D. Y., Li, J. Z., Li, X. L., Luo, Y. J. Temporal dynamics of the interaction between reward and time delay during intertemporal choice. Frontiers in Psychology. 7, 9 (2016).
  38. Leng, Y., Zhou, X. L. Modulation of the brain activity in outcome evaluation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 ERP study. Neuropsychologia. 48 (2), 448-455 (2010).
  39. Nieuwenhuis, S., Aston-Jones, G., Cohen, J. D. Decision making, the p3, and the locus coeruleus-norepinephrine system. Psychological Bulletin. 131 (4), 510-532 (2005).
  40. Sun, R., Zhang, X. Top-down versus bottom-up learning in cognitive skill acquisition. Cognitive Systems Research. 5 (1), 63-89 (2004).

재인쇄 및 허가

JoVE'article의 텍스트 или 그림을 다시 사용하시려면 허가 살펴보기

허가 살펴보기

더 많은 기사 탐색

This article has been published

Video Coming Soon

JoVE Logo

개인 정보 보호

이용 약관

정책

연구

교육

JoVE 소개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