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서는 배아 줄기 세포를 사용하여 유전자 변형 마우스 모델, 특히 대형 DNA 녹인 (KI)을 개발하기위한 프로토콜을 제시합니다. 이 프로토콜은 CRISPR/Cas9 게놈 편집을 사용하여 조정되어 기존의 상동 재조합 매개 선형화된 DNA 표적화 방법에 비해 KI 효율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CRISPR/Cas9 시스템은 수정된 접합체를 사용한 직접 게놈 편집을 통해 유전자 변형 마우스를 개발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그러나, 작은 indel 돌연변이를 유도하여 유전자 녹아웃 마우스를 개발하는 효율은 충분할 것이지만, 대형 DNA 녹인 (KI)을 만들기위한 배아 게놈 편집의 효율은 여전히 낮다. 따라서, 배아에서의 직접 KI 방법과는 대조적으로, 배아 줄기 세포 (ESCs)를 이용한 유전자 표적화에 이어 키메라 마우스를 개발하기 위한 배아 주입은 여전히 몇 가지 이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시험 관 내 고처리량 표적화, 다중 대립유전자 조작, 및 Cre 및 플록스 유전자 조작은 단기간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BALB/c와 같이 시험관 내에서 다루기 어려운 배아가 있는 균주도 ESC 표적화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프로토콜은 CRISPR/Cas9 매개 게놈 편집을 적용한 후 키메라 마우스 생산을 적용하여 유전자 조작 마우스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ESC에서 대형 DNA(수 kb) KI에 최적화된 방법을 설명합니다.
유전자 변형 마우스를 생산하고 표현형을 분석하면 생체 내에서 특정 유전자 기능을 자세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생명 과학 분야에서 유전자 변형 동물 모델을 사용하여 수많은 중요한 발견이 밝혀졌습니다. 더욱이, CRISPR/Cas91을 이용한 게놈 편집 기술에 대한 보고가 있은 이후, 유전자 변형 마우스를 이용한 연구는 많은 실험실로 빠르게 확산되었다2,3. CRISPR/Cas9에 의한 마우스 접합체의 게놈 편집은 인델 돌연변이 지향 유전자 녹아웃4, 단일 뉴클레오티드 교체 또는 단일 가닥 올리고뉴클레오티드(ssODN)를 녹인(KI) 기증자5로 사용하는 짧은 펩타이드 태그 삽입과 같은 짧은 DNA 변형을 개발하는 데 허용 가능한 효율성을 달성했습니다. 반면에, 게놈 편집에 의해 접합체로의 큰 DNA 단편의 KI는 짧은 크기의 DNA 변형 6,7에 비해 낮은 효율을 유지한다. 또한 면역학과 같은 특정 연구 분야에서 중요한 균주인 BALB/c와 같은 마우스 균주를 접합체 기반 게놈 편집에 사용하는 것은 착상 전 배아가 체외 조작에 취약하기 때문입니다.
유전자 변형 마우스 모델을 개발하는 또 다른 방법은 배아 줄기 세포 (ESC) 표적화 기술을 사용한 다음 착상 전 배아에 ESC를 주입하여 여전히 기존의 방법으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키메라 8,9,10을 생산하는 것입니다. 정확한 KI-ESC 클론을 얻기 위한 획득률은 종래의 ESC 표적화 방법에서 그리 높지 않지만, ESC 표적화는 접합체 게놈 편집에 비해, 특히 긴 DNA KI에 비해 몇 가지 이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접합체 게놈으로의 긴 DNA 단편 (> 수 kb)의 KI 효율은덜 분명하며, KI 마우스의 한 줄이라도 개발하기 위해 많은 접합체가 필요하며, 이는 동물 실험의 현재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접합체 게놈 편집과 달리 ESC에 대한 긴 DNA 표적화 후 키메라 생산은 접합체 게놈 편집보다 훨씬 적은 수의 배아를 필요로 합니다. 또한, BALB/c로부터의 착상 전 배아가 시험관 내 조작에 취약하더라도, 그들의 ESC는 다른 유능한 129 또는 F1 배경 ESC로서 시험관내(11)에서 유지 및 취급될 수 있으므로, 키메라 생산에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표적 벡터가 양성 또는 음성 선택을 위한 5' 및 3' 상동 암 및 약제 내성 유전자 카세트를 포함하더라도, 종래의 ESC의 KI 효율은 일반적으로 불충분하며, 무작위 게놈 통합의 빈도가 높기 때문에 8,10, 이에 따라 정밀한 ESC 표적화 효율을 갖는 개선된 방법이 요구된다. 최근에, 우리는 기존의 표적화 방법11보다 더 높은 KI 효율을 달성하기 위해 CRISPR / Cas9 기반 게놈 편집을 사용하는 조정 된 ESC KI 방법을보고했다. 여기서 설명하는 방법은 약물 선택없이 일상적인 작업에 허용 가능한 효율성으로 긴 DNA (>에서 10kb까지) KI를 ESC로 가능하게하는이 절차를 기반으로합니다. 따라서, 벡터 구성 절차는 훨씬 더 쉽고 더 짧은 기간이 필요하거나 세포 배양 기간도 상당히 짧아질 것이다.
모든 마우스 실험은 도쿄 대학 기관 동물 관리 및 이용위원회 (승인 번호 PA17-63)와 오사카 대학 (승인 번호 Biken-AP-H30-01)의 승인을 받았으며 REACH 지침 (https://arriveguidelines.org)뿐만 아니라 지침에 따라 수행되었습니다.
1. 타겟팅 벡터 구성
2. ESC용 영양세포로서의 마우스 배아 섬유아세포(MEF)의 제조
3. Cas9-RNP-DNA 혼합물 제제
4. ESC의 유전자 표적화
5. 표적 ESC의 PCR 유전형 분석
6. 8세포 단계 배아의 제조 및 ESC의 미세주입
우리는 이전 원고11에 따라 유전자 조작 마우스 생산을 개발하기 위해 ESC의 특정 유전자를 표적으로 삼은 후 키메라 생산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ESC 유전형 분석(섹션 4에 기재됨)은 프라이머를 사용한 PCR에 의해 일상적으로 수행된다. 프라이머는 상동성 암 외부의 게놈 서열 및 KI DNA 단편 내의 특정 서열에 대해 설계된다(도 2A). 이 경우 야생형 대립 유전자는 증폭되지 않지만 특정 크기의 PCR 앰플리콘은 표적 외인성 DNA가 표적 유전자좌에서 KI 인 경우에만 검출됩니다. 대표적인 유전형 분석 PCR 결과를 도 2B에 나타내었다. 이 경우 22개의 클론 중 9개(40.9%)가 KI 특이적 밴드를 보였다. 도 2에 나타낸 결과를 포함하여 3개의 대표적인 타겟팅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들 결과는 여기에 제시된 방법이 임의의 약물 선택 없이 유전자 KI에 대해 효율적이고 재현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ESC를 주입 피펫에서 집어 올린 다음 압전 플러스를 사용하여 zona pellucida의 구멍을 만들고 ESC를 배아 세포 사이에서 방출합니다 (그림 3). 기술적으로 ESC를 8세포 또는 모룰라 단계 배아에 주입하는 이 프로토콜은 많은 마우스 시설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배반포에 ESC 주입 프로토콜과 유사합니다. 대표적인 키메라 마우스는 도 4에 나타내었다. 키메라의 털 색상 평가를 위해 ICR 균주(알비노, 흰머리)의 배아를 B6 또는 B6-129 F1 ESC의 수용자로 사용하고 B6 배아를 BALB/c ESC의 수용자로 사용했습니다(그림 4).
그림 1: ESC 게놈의 특정 유전자좌에 CRISPR/Cas9 리보핵단백질(RNP) 매개 원형 플라스미드 통합의 개략도. 전기천공은 원형 플라스미드를 Cas9-RNP가 있는 ESC에 표적 벡터로 도입합니다. 약어 : GOI = 관심 유전자, HA = 상 동성 팔.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그림 2: 표적 ESC 클론의 KI 스크리닝을 위한 게놈 PCR 분석. (A) KI-특이적 PCR 프라이머는 상동성 암 외부의 게놈 서열(전방) 및 KI DNA 단편의 특정 서열(역방향)에 설계된다. (B) 대표적인 유전형 분석 PCR 결과. 야생형 게놈을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약어 : GOI = 관심 유전자, HA = 상 동성 팔.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그림 3: 8세포 단계 배아 주입의 대표 이미지 . (A) 미세 주입의 경우 3 개의 이중 ESC (6 개의 세포, 화살촉)를 집어 듭니다. (B) 조나 펠루시다의 구멍은 압전 펄스로 만들어지고 ESC는 각 분열구 사이에서 배출됩니다. 표시된 스케일 바는 50μm입니다.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그림 4: 키메라 마우스의 대표 이미지 . (A,B) C57BL/6N에서 파생된 ESC(JM8. A3, 아구티 헤어; A) 또는 B6-129 F1 (아구티 헤어; B) ICR (흰둥이, 흰 머리카락) 배아에 주입 한 다음 배아를 어머니 대리모에게 옮깁니다. (C) BALB/c(흰둥이, 흰머리)에서 추출한 ESC를 C57BL/6J(흑발) 배아에 주입한 후 배아를 모체 대리모에게 이식합니다.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프로젝트 아이디 | 코로모솜 | 5' HA 길이 (bp) | 3' HA 길이 (bp) | 인서트 크기(bp) | 분석된 클론 수 | KI 클론의 수 | 효율(%) | 발언 |
R26-CC* | 크리스6 | 965 | 1006 | 5321 | 23 | 2 | 8.7% | - |
R4-03* | ᄏ�� | 1000 | 997 | 3070 | 22 | 6 | 27.3% | - |
P4-01* | 크리스15 | 1000 | 1000 | 2569 | 22 | 9 | 40.9% | 그림 2 그림 |
표 1: ESC에서 3개의 독립적인 게놈 유전자좌에서의 KI 효율. *이 프로젝트는 지금까지 게시되지 않았습니다. 이 유전자의 이름은 향후 독립적 인 원고에 공개 될 것입니다.
키메라 생산에 따른 ESC의 유전자 표적화는 유전자 조작 마우스를 개발하는 데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표적화 벡터가 양성 또는 음성 약물 선택 유전자 카세트를 갖는 긴(보통 > 수 kb) 상동성 팔을 포함하더라도 유전자 녹인 효율은 여전히 낮다. 우리의 프로토콜은 약물 선택 카세트가 없는 원형 플라스미드를 표적 벡터로 사용하여 일상적인 작업에 허용 가능한 효율성으로 Cas9-RNP 매개 게놈 편집을 동반하는 긴 외인성 DNA의 튜닝된 ESC KI 방법을 도입했습니다. 따라서, 이 프로토콜은 기존의 ESC 표적화와 비교하여 유전자 변형 키메라 마우스를 생산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실질적으로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 프로토콜에서는 CRISPR/Cas9-RNP를 사용하여 게놈에서 부위 특이적 이중 가닥 절단을 유도했으며 선형화된 플라스미드 대신 원형 플라스미드를 표적 벡터로 사용했습니다. 선형화된 플라스미드는 통상적으로 유전자 KI에 대한 표적화 벡터로서 사용되는데, 그 이유는 그의 증가된 게놈 통합효율 8,9,10 때문이다. 그러나, 많은 게놈 통합은 벡터가 상동 무기9를 포함하더라도 비특이적이다. 반면에, 원형 플라스미드는 ESCs12 또는 섬유아세포(13)의 게놈 내로의 통합하기 어려운 특징 때문에 표적 벡터로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CRISPR/Cas9 매개 게놈 편집을 수반하는 표적 벡터로 원형 플라스미드를 적용하면 비특이적 무작위 통합이 최소화되지만 ESC 게놈으로의 부위 특이적 통합은 극대화될 수 있습니다. CRISPR/Cas9에 의한 이중 가닥 절단의 유도 효율은 매우 중요하므로(14) 고효율에서 이중 가닥 절단을 유도하는 gRNA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KI 효율이 너무 낮은 경우 gRNA를 재설계하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도 2에 나타낸 경우, ESC 클론의 40.9%가 KI 특이적 밴드를 나타내었다. 실제로 연구소의 핵심 실험실로서 여기에 설명된 방법으로 ESC를 이용한 유전자 표적화를 일상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유전자 좌위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Cre, CreERT 또는 형광 리포터와 같은 1-2kb 서열에 대해 10%-50%의 KI 효율을 달성했습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여 KI에 성공적으로 도달한 가장 긴 DNA 서열은 Rosa26 유전자좌 내로 약 11.2kb이고 효율은 12.2%였습니다(분석된 41개의 콜로니 중 5개의 KI 콜로니).
또한 이 프로토콜은 8세포 또는 모룰라 단계 배아를 ESC 미세 주입의 수혜자로 사용하지만 배반포 단계 배아는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이 논문에서 비교 실험을 수행하지는 않았지만 여러 보고서에 따르면 8 세포 또는 morula 단계 배아에 ESC를 주입하면 배반포에 ESC 주입에 비해 키메라 자손에 대한 ESC 기여의 효율성이 크게 향상됩니다 15,16,17,18 . 실제로 C57BL/6, B6-129 F1 및 BALB/c를 포함한 다양한 ESC 라인의 ESC 주입은 일반적으로 전부는 아니지만 일부 자손에서 높은 털 색상 키메라 발달을 초래했습니다(그림 4 참조). 이 방법의 한계는 착상 전 배아에 주입 된 ESC가 키메라19,20의 생식 세포에 항상 기여할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ESC의 생식계열 전송은 각각의 ESC 클론(19)의 품질에 의존할 것이다. 따라서, 안정적인 키메라 마우스 생산을 위한 백업으로서 다수의 ESC 클론 라인을 개발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여기에 제시된 프로토콜은 약물 내성 카세트 없이 KI에 대한 각 상동성 팔 및 관심 유전자만을 포함하는 간단한 표적화 벡터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벡터 구성이 훨씬 쉬워지고 기존의 ESC 타겟팅 기술에 비해 배양 기간을 단축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생명 과학에서 미래의 분석을 위해 다양한 유형의 유전자 변형 마우스를 신속하고 촉진적으로 생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저자는 공개 할 경쟁 이익이 없습니다.
오사카 대학의 니시오카 사키 생명 공학 연구 개발 (비영리 단체)과 도쿄 대학 의학 연구소의 기쿠치 미오와 사카모토 레이코의 훌륭한 기술 지원에 감사드립니다. 이 작업은 문부 과학성 (MEXT) / 일본 과학 진흥회 (JSPS) KAKENHI MI (JP19H05750, JP21H05033) 및 MO (20H03162)에 대한 보조금; 진화 과학 기술 핵심 연구 (CREST), 일본 과학 기술기구 (JST)가 MI (JPMJCR21N1)에 보조금을 지급합니다. 유니스 케네디 슈라이버 국립 아동 건강 및 인간 발달 연구소 MI (R01HD088412); 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 to MI (Grand Challenge Explorations grant INV-001902); 및 미생물 질병 연구소, 오사카 대학 MI 및 MO의 공동 연구 프로젝트 보조금.
Name | Company | Catalog Number | Comments |
BALB/c ESC | - | - | ESC developed from BALB/c strain |
Bambanker | Nippon Genetics | CS-02-001 | Cell-freezeing medium. Section 2.6 and elsewhere |
Cas9 Nuclease V3 | IDT | 1081059 | Section 3.2 and elsewhere. |
CHIR99021 | FUJIFILM Wako | 038-23101 | Section 4.3 |
CreERT gene fragment | GeneWiz | Section 1.1. | |
CRISPR-Cas9 crisprRNA | IDT | crisprRNA. Section 3.1 and elsewhere. | |
CRISPR-Cas9 tracrRNA | IDT | 1072534 | tracrRNA. Section 3.1 and elsewhere. |
DMEM | Nacalai | 08458-45 | MEF medium. Section 2.3 and elsewhere |
Duplex buffer | IDT | 1072534 | RNA dilution buffer. Section 3.1 and elsewhere. |
FastGene Gel/PCR Extraction Kit | Nippon Genetics | FG-91302 | Section 1.1 and 1.2. |
GlutaMax | Thermo Fisher | 35-050-061 | L-glutatime substrate |
hCG | ASKA Animal Health | Section 6.1. | |
In-Fusion HD Cloning Kit | Clontech | 639648 | DNA cloning kit. Section 1.3 and elsewhere |
JM8.A3 ESC | EuMMCR | - | ESC developed from C57BL/6N strain |
Knock-out DMEM | Thermo Fisher | 10829018 | Section 4.3 and elsewhere, DMEM-based modified commercial medium. |
KSOM | Merck | MR-121-D | Section 6.3 and 6.9. |
Leukemia inhibitory factor | FUJIFILM Wako | 125-05603 | Section 4.3. No unit concentration data is supplied by the provider. Used 1,000-fold dilution in this protocol. |
Neon Electroporation system | Thermo Fisher | MPK5000 | Section 3.2, 4.5 and elsewhere. The system containes electroporation buffer as well used in section 3.2. |
NucleoSpin Plasmid Transfection-grade | Takara | U0490B | Section 1.6. |
PD0325901 | FUJIFILM Wako | 162-25291 | Section 4.3 |
PMSG | ASKA Animal Health | Section 6.1. | |
Tail lysis buffer | Nacalai | 06169-95 | Section 5.5. |
Trypsin-EDTA | Nacalai | 32777-15 | Section 2.2 and elsewhere |
V6.5 ESC | - | - | ESC developed from B6J-129 F1 strain |
X-ray irradiation device | Hitachi | MBR-1618R-BE | Section 2.6. |
JoVE'article의 텍스트 или 그림을 다시 사용하시려면 허가 살펴보기
허가 살펴보기더 많은 기사 탐색
This article has been published
Video Coming Soon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