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JoVE 비디오를 활용하시려면 도서관을 통한 기관 구독이 필요합니다. 전체 비디오를 보시려면 로그인하거나 무료 트라이얼을 시작하세요.

기사 소개

  • 요약
  • 초록
  • 서문
  • 프로토콜
  • 결과
  • 토론
  • 공개
  • 감사의 말
  • 자료
  • 참고문헌
  • 재인쇄 및 허가

요약

여기에서는 동물 인큐베이터에서 새끼 마모셋을 키우는 손 사육 방법을 설명합니다. 이 방법은 마모셋 유아의 생존율을 크게 증가시켜 다양한 출생 후 환경에서 자란 유사한 유전적 배경을 가진 마모셋 유아의 발달을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초록

마모셋(Callithrix jacchus)은 번식률이 높은 작고 사회성이 높은 신세계 원숭이로, 생물의학 및 신경과학 연구를 위한 매력적인 비인간 영장류 모델임이 입증되었습니다. 일부 암컷은 세 쌍둥이를 낳습니다. 그러나 부모가 모두 키울 수는 없습니다. 이러한 유아를 살리기 위해 우리는 갓 태어난 마모셋을 키우는 손 양육 방법을 개발했습니다. 이 프로토콜에서는 음식의 공식, 수유 시간, 온도 및 습도 구성, 손으로 키운 유아의 식민지 환경 적응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 손 양육 방법은 마모셋 유아의 생존율을 크게 증가시키며(손 양육 미사용: 45%, 손 양육 포함: 86%) 다양한 출생 후 환경에서 자란 유사한 유전적 배경을 가진 마모셋 유아의 발달을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 방법은 실용적이고 사용하기 쉽기 때문에 일반적인 마모셋을 사용하는 다른 실험실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서문

일반적인 마모셋(Callithrix jacchus)은 남아메리카와 중앙 아메리카가 원산지인 작고 수목이 많은 신세계 원숭이입니다. 생물 의학 연구에서 마모셋의 사용은 다른 비인간 영장류(NHP)에 비해 마모셋의 몇 가지 주요 장점으로 인해 지난 수십 년 동안 빠르게 증가했으며, 여기에는 더 작은 신체 크기, 사육 시 더 쉬운 취급 및 번식, 더 짧은 임신 기간, 더 빠른 성적 성숙 및 낮은 인수공통전염병 위험 1,2,3,4,5,6 . 커먼 마모셋은 인간과 유사한 뇌 구조와 뇌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풍부한 발성 레퍼토리와 풍부한 감정을 가진 매우 사회적인 행동을 보여줍니다. 감각 처리연구7,8,9,10,11,12,13,14, 음성 의사소통 15,16,17,18,19, 척수 손상 모델 20,21,22,23, 파킨슨병 24,25,26,27,28 및 노화 관련 질환 29. 다른 NHP와 비교하여, 일반적인 마모셋은 상대적으로 높은 번식률을 가지며, 이는 형질전환 변형(30,31,32)에 잠재적으로 유용하다. 이 영장류는 또한 약리학, 혈관 조영술, 병원체 및 면역 연구 33,34,35,36,37,38,39에서 널리 이용된다. 그러나 마모셋의 공급은 특히 중국에서 매우 제한되어 있으며 빠르게 증가하는 과학 연구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습니다.

마모셋 군체에서는 다 자란 동물에게 하루에 한두 번 먹이를 주며, 몇몇 기관에서는 어린 마모셋의 식단을 변경한다(40). 일반적으로 새끼 마모셋은 보통 아버지나 손위 형제자매의 몸에 단단히 붙잡혀 매일 보살핌을 받고 하루에 여러 번 젖을 먹기 위해 어미에게 건네집니다. 일부 암컷 마모셋은 세 쌍둥이를 낳는데,이 경우 한두 마리의 아기가 우유 부족으로 생존 할 수 없습니다. 더욱이, 어떤 부모들은 아기에게 수유 경험이 부족하거나 그 밖의 알 수 없는 이유로 아기를 돌보지 않습니다. 이것은 많은 실험실에 큰 손실입니다. 몇몇 연구에서는 다양한 다량 영양소 구성, 비타민, 미네랄이 함유된 식품 및 포뮬러와 농축을 위한 다양한 급여 프로토콜(으깬 것, 겔화한 것, 정제된 것, 통조림)을 활용한 포획 환경에서 성체 마모셋의 영양 관리 방법을 보고했습니다.40,41,42 이전의 한 연구에서는 마모셋 세쌍둥이43에 대한 협력 양육 방법을 보고했는데, 양육자는 하루에 한 마리의 아기를 데려다가 하루 종일 손으로 먹이고 다음 날 다른 세 쌍둥이와 교환합니다. 이 방법은 유아가 부모의 보살핌을 받을 수 있게 해주지만, 매일 부모의 몸에서 유아를 잡아야 하는 숙련된 보호자가 필요하며 노동 집약적입니다. 지금까지 신생아 마모셋에 대한 상세하고 단계적인 손 양육 방법을 보고한 연구는 없습니다.

현재 연구의 목표는 마모셋 개발에 관심이 있지만 자원이 제한된 사람들에게 손 사육 방법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종전의 협력 양육 방법(43)과 달리, 현재의 방법은 유아의 가족에게 방해가 적고 배우기 쉬운 대안이다. 모유수유의 기본 규칙과 5년간의 실습을 바탕으로 사료 준비, 수유 시간표, 동물 인큐베이터의 온도 및 습도 구성, 유아 동물의 군집 환경 적응 등 유아 마모셋을 키우기 위한 손 양육 방법을 설명합니다.

프로토콜

모든 실험 절차는 절강 대학의 동물 사용 및 관리 위원회의 승인을 받았으며 미국 국립보건원(NIH) 지침을 따랐습니다.

1. 주거 및 농업44

  1. 콜로니 룸을 12시간:12시간 주야간 주기, 온도 26-28°C, 상대 습도 45%-55%로 설정합니다.
  2. 2-6 세의 수컷과 암컷 마모셋을 짝지어 24 시간 환기 시스템을 갖춘 충분한 공간과 신선한 공기가있는 케이지 (850mm x 800mm x 800mm)에 보관합니다.
  3. 케이지에 휴식 보드, 그네, 횃대 및 해먹을 제공합니다.
  4. 마모셋 한 쌍에게 시리얼, 계란, 고구마, 꿀, 과일, 채소, 밀웜을 포함한 신선한 물과 30-40g의 음식을 하루에 두 번 먹이십시오.
    알림: 수의사와 실험자는 아픈 개체가 즉시 진단되고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하루에 한 번 이상 동물 시설을 검사해야 합니다.

2. 마모셋 유아의 출생 전 준비

  1. 임신한 마모셋 돌보기
    참고: 수태 시기는 촉진(일반적으로 배아 기간 시작 후 10-20일)으로 진단되었으며 동물 피험자의 생식 이력도 참조했습니다.
    1. 번식 쌍에게 더 큰 공간을 제공하고 인간의 방해를 최소화하십시오.
    2. 번식 쌍에게 밀웜, 알, 요구르트, 말린 과일과 같은 추가 먹이를 주어 암컷의 영양을 보장하십시오.
    3. 임신한 마모셋을 돌보고 자주 확인하여 분만을 준비하십시오.
      참고: 마모셋의 임신 기간은 148일 ±4.3일 45일로 추정됩니다.
  2. 동물 인큐베이터(855mm[W] x 470mm[L] x 440mm[H]), 일회용 기저귀 패드(M/L 크기), 아기 물티슈, 봉제 장난감(그림 1A), 장난감 롤러(그림 1B), 등반 프레임(그림 1B), 담요(10cm х 10cm, 그림 1C) 및 전자 저울(정밀도 0.2g, 그림 1F)을 준비합니다.
    알림: 동물이 매달리는 것을 방지하려면 봉제 인형에 고리 구조가 없어야 합니다.
  3. 음식 및 수유 기구 준비
    1. 다음 품목을 준비하십시오: 유아용 조제분유(0-12개월령에 적합), 유아용 쌀 페이스트(0-6개월에 적합), 전기 물 주전자, 비커(100mL), 가열 패드, 플라스틱 계량 접시(80mm x 80mm x 22mm, 그림 1D), 멸균 원심분리기 튜브(50mL), 일회용 멸균 주사기(1-5mL), 정맥 주사기(맞춤형 수유 유두용)(그림 1E), 면봉 (80-100cm).
      알림: 수유용 젖꼭지를 만들기 위해 주사기에 부착된 정맥 주사기 끝에서 1cm 떨어진 곳을 절단합니다(그림 1E).
  4. 녹음 양식 준비
    1. 각 유아 마모셋에 대해 이름, 생년월일, 출생 체중, 부모와 같은 기본 정보, 머리 둘레 및 꼬리 길이와 같은 기타 관심 있는 기본 정보, 번식 날짜 및 시간과 같은 번식 정보, 음식 섭취량(mL), 배변 상태(예/아니오, 단단한/느슨한), 인큐베이터 온도 및 습도.
      알림: 일반적으로 체중은 하루에 두 번, 첫 번째 식사 전에 한 번, 마지막 식사 전에 한 번, 측정하고 기록합니다.

figure-protocol-2071
그림 1: 인큐베이터에 있는 품목과 먹이 주기 도구 및 액세서리의 사진. (A) 봉제 장난감; (B) 장난감 롤러 및 등반 프레임; (C) 담요; (D) 플라스틱 계량 접시; (E) 맞춤형 수유 젖꼭지가 있는 정맥 주사기 및 주사기; (F) 전자 저울; (G) 개인 보호 장비를 착용한 간병인.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3. 손 기르기 순서

  1. 출산 예정일 전에 방을 청소하고 살균하십시오.
    1. 바닥과 테이블에 차아염소산 또는 75% 에틸알코올을 뿌리고 30초 동안 그대로 둔 다음 테이블을 닦고 바닥을 걸레질합니다.
  2. 인큐베이터의 온도를 35°C, 습도를 40%로 설정합니다. 일반적으로 표 1 에서 볼 수 있듯이 출생 후 14일(P14) 전에 유아 마모셋의 기본 온도 요구 사항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인큐베이터 온도를 35°C로 유지하고 P15부터는 3일마다 온도를 0.5°C씩 낮춥니다. 인큐베이터 내부의 습도를 40%-45%로 유지하여 식민지 습도에 가깝고 유아의 모피를 건조하게 유지합니다.
  3. 일회용 기저귀 패드를 타일로 배열하여 인큐베이터의 섀시를 덮습니다.
  4. 유아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해 성인 마모셋을 모방하는 경향이 있는 유아 마모셋을 도입하기 전에 인큐베이터에 담요 몇 개와 봉제 인형을 넣으십시오.
    알림: 담요와 봉제 인형은 사용 전 1일 동안 번식 쌍의 홈 케이지에 넣습니다.
  5. 아기 마모셋을 인큐베이터에 넣고 집 케이지에서 부모와 분리되면 봉제 인형에 올려 놓습니다.
    참고: 사회적 고립을 피하고 동물 복지에 따라 일반적으로 두 명의 유아가 함께 선택되어 손으로 양육합니다.
    1. 먹이기 전에 멸균된 개인 보호 장비(PPE, 그림 1G)를 착용하십시오.
    2. 담요 두 장을 35°C로 데우십시오.
    3. 따뜻한 담요로 아기 마모셋을 부드럽게 안고 동물의 무게를 출생 체중으로 구합니다.
    4. 아기 마모셋을 따뜻한 담요와 함께 인큐베이터로 옮깁니다.
    5. 2.4단계에서 언급한 대로 기록을 작성합니다.
  6. 음식 재료를 섞고 아기 마모셋에게 먹이십시오.
    1. 50mL 멸균 원심분리기 튜브에 담긴 50°C 끓인 물 30mL에 유아용 조제분유 5g을 녹입니다.
      알림: 출생 후 연령이 다른 유아 마모셋은 다른 음식 조리법이 필요합니다. 표 2 는 P1에서 P60까지의 출생 후 연령에서 유아용 조제분유, 쌀 페이스트 및 물의 다양한 복용량을 포함합니다. 복용량은 보통 1일 정도면 충분합니다. 첫 식사 전에 재료를 갈고 나머지 음식은 4°C 냉장고에 보관하십시오. 매 끼니마다 음식을 30-35 °C로 가열하십시오.
    2. 1mL 주사기로 음식 1mL를 취하고 맞춤형 수유 젖꼭지로 주사기 뚜껑을 덮습니다.
      알림: 표 2를 참조하여 적절한 크기의 주사기를 선택하십시오.
    3. 가열 패드로 식품 온도를 30-35 °C로 유지하십시오.
    4. 수유하기 전에 손을 따뜻하게 하고 인큐베이터에서 한 손에 따뜻한 담요를 덮은 아기 마모셋을 부드럽게 안아줍니다.
    5. 양육자의 잡은 손의 엄지와 검지로 유아 마모셋의 머리를 부드럽게 잡고 일정한 속도로 주사기에서 음식을 천천히 밀어낸 상태에서 유아 마모셋의 입에 수유 젖꼭지를 넣습니다.
      알림: 아기 마모셋이 삼키는 것보다 더 빨리 음식을 밀어 넣지 마십시오. 빨리 밀면 코에서 목구멍으로 음식물이 나오면서 질식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폐렴과 같은 질병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지어 사망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먹이가 넘치면 아기 마모셋은 어려움을 겪을 것입니다. 이런 일이 발생할 때마다 먹이를 중단하고 동물의 얼굴에 묻은 음식을 조심스럽게 닦아내십시오. 마모셋이 정상적으로 행동하기 시작한 후에도 계속 먹이를 줍니다.
  7. 아기 마모셋이 적당량의 음식을 섭취한 후 따뜻한 물에 면봉으로 항문을 닦으면 항문이 깨끗해지고 배변이 촉진됩니다.
  8. 몇 분 동안 동물을 관찰하고 동물의 움직임과 배변을 확인하십시오.
  9. 먹이 시간, 음식 섭취량(mL), 배변 상태(예/아니오, 딱딱함/느슨함), 인큐베이터 온도 및 습도를 기록합니다.
    알림: 유아가 차가워지거나 다치지 않도록 무게를 측정하는 동안 유아용 마모셋을 따뜻한 담요로 감싸십시오.
  10. 단단한 배설물을 줍거나 새 일회용 기저귀 패드로 교체하여 인큐베이터의 섀시를 깨끗하게 유지하십시오.
  11. P50 전에 3.3-3.7단계에 따라 유아용 마모셋을 먹이고 표 2에 표시된 식품 재료의 복용량과 급여 시간 및 빈도를 사용하십시오.
  12. P50 이후부터, 유아 마모셋은 보통 자발적으로 먹을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1. 주사기 대신 플라스틱 계량 접시를 사용하십시오. 접시에 음식 재료를 직접 섞어 음식을 준비하십시오. 금액은 표 2 를 참조하십시오.
    2. 음식 접시를 인큐베이터에 넣고 뒤집힐 경우를 대비하여 바닥을 고정합니다. 아기 마모셋이 음식을 먹는지 확인하기 위해 몇 분 동안 관찰하십시오. 처음 몇 번은 동물을 음식 접시로 유인하고 입이 음식을 여러 번 만지도록 유도하여 동물이 자발적으로 먹도록 안내하십시오.
      알림: 동물의 코가 음식에 닿지 않도록 하십시오. 일반적으로 동물은 1일 안에 자발적으로 먹는 법을 배웁니다.

4. 새끼 마모셋이 식민지로 돌아가기 전 적응

알림: 일반적으로 손 기르기는 새끼 마모셋이 스스로 먹는 법을 배울 때 끝납니다. 마모셋 서식지의 홈 케이지로 돌아가기 전에 수행해야 할 몇 가지 적응 절차가 있습니다.

  1. 새끼 마모셋을 동물 인큐베이터에서 새장과 유사한 작은 케이지(45cm x 45cm x 40cm)로 옮깁니다. 각 작은 케이지에 물병(50mL)을 걸어두세요.
  2. 새끼 마모셋이 있는 작은 케이지를 식민지로 옮기고 가족 케이지 가까이에 배치합니다.
  3. 1 주일 동안 플라스틱 계량 접시로 유아 마모셋을 따로 먹이고 전체 식민지를 위해 준비된 일일 조리법에 따라 음식을 섞습니다.
  4. 하루에 한 번 체중과 배변 상태를 기록하십시오.

5. 가족 케이지로 돌아가는 새끼 마모셋

참고 : 7-10 일 동안 작은 새장에서 살면 새끼 마모셋은 일반적으로 식민지 환경에 잘 적응하고 더 이상 불안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1. 아침에 새끼 마모셋을 가족 케이지에 다시 넣으십시오.
  2. 최소 15분 동안 동물을 관찰하여 가족 구성원과 새로 들어온 사람 사이에 물거나 싸우거나 쫓는 일이 없는지 확인하십시오.
    알림: 물거나, 싸우거나, 쫓는 일이 발생하면 가능한 한 빨리 유아를 다른 유아와 분리하십시오. 그리고 다른 날에 한 번 더 아기를 가족에게 돌려보내도록 노력하십시오. 실패가 다시 발생하면 다른 가족을 선택하여 양육하십시오. 풍부한 양육 경험을 가진 가족 그룹이 양육을 위한 첫 번째 선택입니다. 봉제 인형을 새 새장에 넣어 아기 원숭이와 함께 데리고 다닐 수 있도록 합니다.
  3. 새끼 마모셋에게 따로 먹이는 것을 중단하고 군체를 위한 식단을 사용하여 먹이를 주기 시작합니다.
  4. 새끼 마모셋이 가족 케이지로 돌아온 후 1주일 동안 활동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십시오.
  5. 2일마다 아기 마모셋의 체중을 측정하고 기록하십시오. 체중이 줄어든다면 가족 케이지에서 주사기로 영양가 있는 음식을 더 먹입니다.
  6. 식민지의 마모셋과 마찬가지로 유아 마모셋을 매일 돌봐주세요.

결과

체중은 동물의 신체 발달의 핵심 지표이며 이 프로토콜에서 마모셋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이 연구에서, 손으로 기르는 동물의 체중은 나이가 들면서 점진적으로 증가했으며(그림 2A, n=16), 이는 이전 연구에서 신생아의 체중과 유사했다46. 군체의 번식 가족에 대한 교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우리는 군체의 새끼 마모셋의 무게를 매일 재?...

토론

일반적인 마모셋은 생물 의학 및 신경 과학 연구에 매우 유용한 NHP 모델입니다. 그러나 마모셋 자원은 빠르게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하기에는 너무 제한적입니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마모셋 유아의 생존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출생 후 발달을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손 양육 방법을 개발했습니다. 이 손으로 기르는 방법은 실용적이고 배우기 쉬우므로 일반적인 마모셋을 사용하는 다른 ?...

공개

저자는 공개할 이해 상충이 없습니다.

감사의 말

저자는 이 원고의 초기 버전의 문법을 편집하고 다듬은 Mingxuan Li에게 감사의 뜻을 전합니다. 이 연구는 중국 저장성 자연과학재단(LD22H090003)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중국 자연과학재단(32170991 및 32071097), STI2030 주요 프로젝트 2021ZD0204100(2021ZD0204101) 및 2022ZD0205000(2022ZD0205003); 및 MOE Frontier Science Center for Brain Science & Brain-Machine Integration, Zhejiang University.

자료

NameCompanyCatalog NumberComments
animal incubatorRCOM, KoreaMX - BL600N, 855 mm (W) x 470 mm (L) x 440 mm (H)
baby milk powderMeadjohnson, Americasuitable for 0-12 months of age, executive standard - GB25596
baby rice pasteHEINZ, Chinasuitable for 0-6 months of age, executive standard - GB10769
baby wipesbabycare, Chinasoft
beakerShuNiu, China100 mL
blanketsGrace, China10 cm × 10 cm, soft
climbing frameWowWee, Chinafirm and no small circular structures
disposable diaper padsHi Health Pet, Chinaeither M or L size
disposable sterile syringeCofoe, China1 mL, 2.5 mL, 3 mL, 5 mL, 10 mL
electronic scaleYouSheng, Chinameasuring range from 0 to 6,000 g with precision of 0.2 g
intravenous injectorHD, China0.55 mm x 20 mm needle
kettleFGA, Chinawarm-keeping kettle 1,500 mL
lactuloseBELCOL, Chinato solve constipation
plastic weighing dishSKSLAB, China80 mm x 80 mm x 22 mm, used as a bowl
plush toyLebiyou, Chinasoft
probiotic powderG-Pet, Chinato regulate gastrointestinal environment
sterile centrifuge tubeNEST, China50 mL
swabOYEAH, China80 - 100 mm
toy rollerWowWee, Chinafirm and no small circular structures

참고문헌

  1. Miller, C. T., et al. Marmosets: A neuroscientific model of human social behavior. Neuron. 90 (2), 219-233 (2016).
  2. Ross, C. N., Colman, R., Power, M., Tardif, S. Marmoset metabolism, nutrition, and obesity. ILAR Journal. 61 (2-3), 179-187 (2020).
  3. Kishi, N., Sato, K., Sasaki, E., Okano, H. Common marmoset as a new model animal for neuroscience research and genome editing technology. Development, Growth & Differentiation. 56 (1), 53-62 (2014).
  4. Prins, N. W., et al. Common marmoset (Callithrix jacchus) as a primate model for behavioral neuroscience studies. Journal of Neuroscience Methods. 284, 35-46 (2017).
  5. Tokuno, H., Watson, C., Roberts, A., Sasaki, E., Okano, H. Marmoset neuroscience. Neuroscience Research. 93, 1-2 (2015).
  6. Hodges, J. K., Henderson, C., Hearn, J. P. Relationship between ovarian and placental steroid production during early pregnancy in the marmoset monkey (Callithrix jacchus). Journal of Reproduction and Fertility. 69 (2), 613-621 (1983).
  7. Troilo, D., Judge, S. J. Ocular development and visual deprivation myopia in the common marmoset (Callithrix jacchus). Vision Research. 33 (10), 1311-1324 (1993).
  8. Mitchell, J. F., Leopold, D. A. The marmoset monkey as a model for visual neuroscience. Neuroscience Research. 93, 20-46 (2015).
  9. Hung, C. C., et al. Functional MRI of visual responses in the awake, behaving marmoset. NeuroImage. 120, 1-11 (2015).
  10. Gao, L., Kostlan, K., Wang, Y., Wang, X. Distinct subthreshold mechanisms underlying rate-coding principles in primate auditory cortex. Neuron. 91 (4), 905-919 (2016).
  11. Gao, L., Wang, X. Subthreshold activity underlying the diversity and selectivity of the primary auditory cortex studied by intracellular recordings in awake marmosets. Cerebral Cortex. 29 (3), 994-1005 (2019).
  12. Gao, L., Wang, X. Intracellular neuronal recording in awake nonhuman primates. Nature Protocols. 15, 3615-3631 (2020).
  13. Wang, X., et al. Corticofugal modulation of temporal and rate representations in the inferior colliculus of the awake marmoset. Cerebral Cortex. 32 (18), 4080-4097 (2022).
  14. Wang, X., et al. Selective corticofugal modulation on sound processing in auditory thalamus of awake marmosets. Cerebral Cortex. 33 (7), 3372-3386 (2022).
  15. Kajikawa, Y., et al. Coding of FM sweep trains and twitter calls in area CM of marmoset auditory cortex. Hearing Research. 239 (1-2), 107-125 (2008).
  16. Choi, D., Bruderer, A. G., Werker, J. F., et al. Sensorimotor influences on speech perception in pre-babbling infants: Replication and extension of Bruderer et al.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26 (4), 1388-1399 (2019).
  17. Eliades, S. J., Miller, C. T. Marmoset vocal communication: Behavior and neurobiology. Developmental Neurobiology. 77 (3), 286-299 (2017).
  18. Roy, S., Zhao, L., Wang, X. Distinct neural activities in premotor cortex during natural vocal behaviors in a New World primate, the common marmoset (Callithrix jacchus). Journal of Neuroscience. 36 (48), 12168-12179 (2016).
  19. Simões, C. S., et al. Activation of frontal neocortical areas by vocal production in marmosets. Frontiers in Integrative Neuroscience. 4, 123 (2010).
  20. Iwanami, A., et al. Transplantation of human neural stem cells for spinal cord injury in primates. Journal of Neuroscience Research. 80 (2), 182-190 (2005).
  21. Schorscher-Petcu, A., Dupré, A., Tribollet, E. Distribution of vasopressin and oxytocin binding sites in the brain and upper spinal cord of the common marmoset. Neuroscience Letters. 461 (3), 217-222 (2009).
  22. Bowes, C., Burish, M., Cerkevich, C., Kaas, J. Patterns of cortical reorganization in the adult marmoset after a cervical spinal cord injury. Journal of Comparative Neurology. 521 (15), 3451-3463 (2013).
  23. Kondo, T., et al. Histological and electrophysiological analysis of the corticospinal pathway to forelimb motoneurons in common marmosets. Neuroscience Research. 98, 35-44 (2015).
  24. Nash, J. E., et al. Antiparkinsonian actions of ifenprodil in the MPTP-lesioned marmoset model of Parkinson's disease. Experimental Neurology. 165 (1), 136-142 (2000).
  25. van Vliet, S. A., et al. Neuroprotective effects of modafinil in a marmoset Parkinson model: Behavioral and neurochemical aspects. Behavioural Pharmacology. 17 (5-6), 453-462 (2006).
  26. van Vliet, S. A., Vanwersch, R. A., Jongsma, M. J., Olivier, B., Philippens, I. H. Therapeutic effects of Delta9-THC and modafinil in a marmoset Parkinson model. European Neuropsychopharmacology. 18 (5), 383-389 (2008).
  27. Philippens, I. H., t Hart, B. A., Torres, G. The MPTP marmoset model of parkinsonism: a multi-purpose non-human primate model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Drug Discovery Today. 15 (23-24), 985-990 (2010).
  28. Santana, M. B., et al. Spinal cord stimulation alleviates motor deficits in a primate model of Parkinson disease. Neuron. 84 (4), 716-722 (2014).
  29. Tardif, S. D., Mansfield, K. G., Ratnam, R., Ross, C. N., Ziegler, T. E. The marmoset as a model of aging and age-related diseases. ILAR Journal. 52 (1), 54-65 (2011).
  30. Sasaki, E., et al. Generation of transgenic non-human primates with germline transmission. Nature. 459, 523-527 (2009).
  31. Sasaki, E. Prospects for genetically modified non-human primate models, including the common marmoset. Neuroscience Research. 93, 110-115 (2015).
  32. Park, J. E., Sasaki, E. Assisted reproductive techniques and genetic manipulation in the common marmoset. ILAR Journal. 61 (2-3), 286-303 (2020).
  33. Smith, D., Trennery, P., Farningham, D., Klapwijk, J. The selection of marmoset monkeys (Callithrix jacchus) in pharmaceutical toxicology. Laboratory Animals. 35 (2), 117-130 (2001).
  34. Smith, T. E., Tomlinson, A. J., Mlotkiewicz, J. A., Abbott, D. H. Female marmoset monkeys (Callithrix jacchus) can be identified from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ir scent marks. Chemical Senses. 26 (5), 449-458 (2001).
  35. Jagessar, S. A., et al. Induction of progressive demyelinating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in common marmoset monkeys using MOG34-56 peptide in incomplete freund adjuvant. Journal of Neuropathology and Experimental Neurology. 69 (4), 372-385 (2010).
  36. Kap, Y. S., Laman, J. D., 't Hart, B. A. 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in the common marmoset, a bridge between rodent EAE and multiple sclerosis for immunotherapy development. Journal of Neuroimmune Pharmacology. 5 (2), 220-230 (2010).
  37. Carrion, R., Patterson, J. L. An animal model that reflects human disease: The common marmoset (Callithrix jacchus). Current Opinion in Virology. 2 (3), 357-362 (2012).
  38. Jagessar, S. A., et al. Overview of models, methods, and reagents developed for translational autoimmunity research in the common marmoset (Callithrix jacchus). Experimental Animals. 62 (3), 159-171 (2013).
  39. Feng, Z., et al. Biologically excretable aggregation-induced emission dots for visualizing through the marmosets intravitally: Horizons in future clinical nanomedicine. Advanced Materials. 33 (17), 2008123 (2021).
  40. Goodroe, A., et al. Current practices in nutrition management and disease incidence of common marmosets (Callithrix jacchus). Journal of Medical Primatology. 50 (3), 164-175 (2021).
  41. Power, M. L., Koutsos, L., Marini, R., Wachtman, L., Tardif, S., Mansfield, K., Fox, J. Chapter 4 - Marmoset nutrition and dietary husbandry. The Common Marmoset in Captivity and Biomedical Research. , 63-76 (2019).
  42. Gore, M. A., et al. Callitrichid nutrition and food sensitivity. Journal of Medical Primatology. 30 (3), 179-184 (2001).
  43. Hearn, J. P., Burden, F. J. Collaborative' rearing of marmoset triplets. Laboratory Animals. 13 (2), 131-133 (1979).
  44. Cao, X., et al. Effect of a high estrogen level in early pregnancy on the development and behavior of marmoset offspring. ACS Omega. 7 (41), 36175-36183 (2022).
  45. Watakabe, A., et al. Application of viral vectors to the study of neural connectivities and neural circuits in the marmoset brain. Developmental Neurobiology. 77 (3), 354-372 (2017).
  46. Takahashi, D. Y., et al. The developmental dynamics of marmoset monkey vocal production. Science. 349 (6249), 734-738 (2015).
  47. Malukiewicz, J., et al. The gut microbiome of exudivorous marmosets in the wild and captivity. Scientific Reports. 12 (1), 5049 (2022).
  48. Shigeno, Y., et al. Comparison of gut microbiota composition between laboratory-bred marmosets (Callithrix jacchus) with chronic diarrhea and healthy animals using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nalysis. Microbiology and Immunology. 62 (11), 702-710 (2018).
  49. Baxter, V. K., et al. Serum albumin and body weight as biomarkers for the antemortem identification of bone and gastrointestinal disease in the common marmoset. PLoS One. 8 (12), e82747 (2013).
  50. Tardif, S. D., et al. Characterization of obese phenotypes in a small nonhuman primate, the common marmoset (Callithrix jacchus). Obesity. 17 (8), 1499-1505 (2009).
  51. Wachtman, L. M., et al. Differential contribution of dietary fat and monosaccharide to metabolic syndrome in the common marmoset (Callithrix jacchus). Obesity. 19 (6), 1145-1156 (2011).
  52. Power, M. L., Ross, C. N., Schulkin, J., Ziegler, T. E., Tardif, S. D. Metabolic consequences of the early onset of obesity in common marmoset monkeys. Obesity. 21 (12), E592-E598 (2013).
  53. Shimizu, K., et al. Peer-social response in 4 juvenile marmosets represented the emotional development traits depending on family structure. Neuroscience Research. 65, S244 (2009).
  54. Schultz-Darken, N., Braun, K. M., Emborg, M. E. Neurobehavioral development of common marmoset monkeys. Developmental Psychobiology. 58 (2), 141-158 (2016).
  55. Gultekin, Y. B., Hage, S. R. Limiting parental feedback disrupts vocal development in marmoset monkeys. Nature Communications. 8, 14046 (2017).

재인쇄 및 허가

JoVE'article의 텍스트 или 그림을 다시 사용하시려면 허가 살펴보기

허가 살펴보기

더 많은 기사 탐색

This article has been published

Video Coming Soon

JoVE Logo

개인 정보 보호

이용 약관

정책

연구

교육

JoVE 소개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