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식도 심방 페이싱을 사용하여 프로그래밍 된 전기 자극은 마우스의 심방 세동에 대한 전기 생리 학적 특성과 감수성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재현성을 최적화할 수 있는 프로토콜 개발을 위한 표준화된 절차를 설명했습니다. 심방 페이싱에 대한 경식도 접근법은 일반적으로 생존 절차이므로 동일한 동물에서 연속 테스트가 가능합니다.
프로토콜 개발을 위한 중요한 구성 요소에는 연구 중인 모델의 실험 매개변수를 최적화하기 위한 초기 팔레트 연구와 페이싱 유발 부교감 신경 자극으로 인한 부정맥 식별이 포함됩니다. 유전 모델의 경우, 마우스에 격주로 심방 페이싱을 실시하고, AF 감수성의 최적 기간을 결정하기 위해 8주령부터 시작하여, AF 표현형이 발달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남녀 모두를 연구한다. 획득 한 모델의 경우, 마우스가 신체적 성숙에 도달 한 후 페이싱을 수행하십시오.
성숙도는 일반적으로 12주에 달성되지만 실험 모델에 필요한 경우 연령을 조정합니다. 버스트 페이싱과 감소 페이싱을 모두 수행하여 최적의 페이싱 모드를 결정합니다. 각 절차를 최소 24 시간으로 분리하십시오.
AF 민감성에 대한 여러 정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합니다. 추가 마우스에 대한 후속 연구를 위해 최적화된 모델별 파라미터와 AF 감수성의 정의를 사용합니다. 페달 반사가 사라진 후 마취 된 마우스를 뒷다리를 패드 표면에 테이프로 붙인 상태에서 체온을 섭씨 약 37 도로 유지하도록 설계된 가열 패드의 앙와위 자세에 놓습니다.
생체 증폭기 및 데이터 수집 하드웨어에 연결된 27개의 게이지 심전도 바늘 전극을 뒷다리의 접지 전극과 함께 앞다리 내로 피하 배치하여 표면 심전도 리드를 얻는다. 자극기와 자극 아이솔레이터에 연결된 2-French 팔극 전극 카테터를 식도에 삽입합니다. 목을 확장 한 상태에서 입에서 검상구 연골 바로 위까지의 거리와 비슷한 깊이로 삽입하십시오.
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ECG 리드 1의 지속적인 기록으로 데이터 수집을 시작하십시오. 포획이 가능하도록 식도 내에 카테터를 적절하게 배치합니다. 이렇게 하려면 부비동 주기 길이보다 약간 짧은 주기 길이에서 펄스 폭이 2밀리초인 1.5밀리암페어 자극을 적용합니다.
일관된 심방 포획이 얻어 질 때까지 카테터를 조심스럽게 배치하십시오. 심방 이완기 포획 역치를 결정하려면 심방 포획에 사용되는주기 길이에서 2 밀리 초의 펄스 폭으로 1.5 밀리 암페어에서 페이싱을 시작하십시오. 심방 포획이 손실 될 때까지 자극 진폭을 0.05 밀리 암페어 씩 줄이고 포획 될 때까지 후속 증가.
부주의한 페이싱으로 인한 부교감 신경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능한 가장 낮은 페이싱 임계값을 얻습니다. 자극 진폭을 임계값의 두 배로 조정합니다. AF 유도를 위한 빠른 심방 페이싱 전에 부비동 노드 회복 시간, Wenckebach 주기 길이 및 방실 유효 불응 기간을 포함한 전기 생리학적 매개변수를 측정합니다.
초기 연구에서 결정된 대로 다른 주기 길이의 버스트 페이싱 또는 감소 페이싱을 사용하여 펄스 폭이 2밀리초인 임계값의 두 배에서 페이싱을 수행합니다. 버스트 페이싱의 경우 초기 사이클 길이 50밀리초에서 15초 동안 페이스를 유지한 다음 사이클 길이가 40, 30, 25, 20 및 15밀리초인 트레인이 이어집니다. 감소 페이싱의 경우 3-5 개의 열차를 수행하고 40 밀리 초의 사이클 길이로 페이스를 수행하고 20 밀리 초에 종료 될 때까지 2 초마다 2 밀리 초 씩 줄입니다.
마지막 페이싱 트레인 후 부비동 리듬 30초 후 또는 AF 에피소드 10분 후 중 먼저 도래하는 시점 후에 절차를 종료합니다. 카테터와 ECG 전극을 부드럽게 제거하십시오. 직렬 테스트의 경우 페이싱 절차를 반복하기 전에 최소 24시간 동안 기다리십시오.
ECG 기록을 통해 P 파 지속 시간, PR 간격, QRS 지속 시간, QT 및 QTC 간격을 측정 할 수있었습니다. 빠른 심방 페이싱 동안 ECG의 연속 기록은 연구 동안 유도 된 AF의 각 에피소드의 기록을 제공했습니다. 이 데이터로부터 에피소드의 누적 및 평균 지속 시간과 지속 AF 에피소드 수가 기록되었습니다.
페이싱 중 과도한 방실 차단의 에피소드는 페이싱 유도 부교감 신경 자극 기간을 나타내며, 이는 관련 AF가 모델 자체의 병태생리학이 아니라 이 현상의 인공물임을 나타냅니다. 이것은 후방 좌심방에 위치한 신경절 신경총의 부주의 한 자극으로 인해 부교감 신경 활성화가 발생했습니다. 이러한 유형의 부정맥 유도는 대조군 마우스에서 AF의 발생률을 증가시키고 실험 그룹 내에서 더 큰 부정맥 변동성을 유발합니다.
이러한 오염 특징을 감안할 때 이러한 조건에서 AF를 경험하는 동물은 분석에서 제외해야합니다. 이 실험 전략을 사용할 때 초기 파일럿 연구와 부주의한 AF 유도를 유발하는 부교감 신경 자극의 인식은 프로토콜 최적화 및 연구 재현성에 특히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