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JoVE 비디오를 활용하시려면 도서관을 통한 기관 구독이 필요합니다. 전체 비디오를 보시려면 로그인하거나 무료 트라이얼을 시작하세요.

기사 소개

  • 요약
  • 초록
  • 서문
  • 프로토콜
  • 결과
  • 토론
  • 공개
  • 감사의 말
  • 자료
  • 참고문헌
  • 재인쇄 및 허가

요약

급성 의료 문제 동안, 노인은 일상 생활의 활동에 독립을 잃을 수 있습니다 (ADL). 입학에 기준선 ADL 및 ADL의 평가는 nosocomial 의존을 방지하고 더 나은 기능 결과를 보장하기위한 개인화 된 치료 계획을 안내 할 수 있습니다.

초록

급성 의료 문제 동안, 노인 기능적 독립을 잃을 수 있습니다. ADL 비늘은 이러한 독립 상실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가장 간단하고 편리한 ADL 척도는 목욕, 드레싱, 화장실, 이송, 요실금 및 수유의 6 가지 ADL을 측정하는 Katz 인덱스입니다. ADL 점수가 낮을수록 기능적 독립성이 더 많이 상실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급성 의학적 문제(baseline)에 앞서 ADL 점수는 환자 또는 간병인에게 의문을 제기함으로써 추정되며, 이 점수는 병원 입원시와 비교됩니다. ADL 점수는 기능적 독립성의 변화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퇴원할 때까지 병원 입원에서 모니터링되어야 합니다. 입원 전후 기능적 독립성의 손실을 식별하는 것은 단기 사망 위험 및 합병증의 위험과 입원 후 예후의 위험에 관한 간병인에게 정보를 제공합니다.

서문

의료 문제로 인해 노인들은 기능적 독립성이 상실되어 다른 사람들의 도움 없이는 일상 생활(ADL)의 활동을 수행할 수 없게 됩니다. 이러한 독립성 상실은 종종 심혈관 질환1,인지 장애2,3,3시각 장애4로인해 환자의 수명5 및 평균 수명6에영향을 미치고 의료비7을증가시킵니다. 기능성 독립은 점진적으로 악화될 수 있으며, 더 심한 혼수(인지 장애, 심부전 등)로 완전히 손실될 수 있습니다. 또한 뇌졸중, 심근 경색, 하반신 골절 또는 흉부 감염8과같은 급성 의학적 문제 에서 악화될 수 있다. 70세에서 80세 사이의 환자의 약 30%,80세 이상 환자의 60%는 입원9,,10세이상의 입원 기간 동안 이러한 독립상실을 경험한다. 환자는 급성 의료 문제 이전에 즐겼던 기능적 독립성을 회복할 수 있거나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그 이후에 지속될 수 있습니다.

급성 의학적 문제에 대한 입원 시 기능적 독립성 유지 또는 복원을 목적으로 하는 치료가 가능한한 빨리 11시에시작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이 널리 받아들여진다. 입원 중 신체 운동은 단기 및 중기12,,13에서기능을 향상시킵니다. 입원 인구에서, ADL의 측정에 점수는 근육 산화 용량 및 근육기능1과 연관되었다. 따라서 입원 초기 단계에서 환자의 기능적 독립성 평가가 우선순위입니다. 이 평가는 입원하기 전에 ADL 독립성의 환자의 수준과 비교되어야 합니다 (기준선). 의료, 특히 간호는 독립의 손실을 회복하거나 기존 수준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신뢰할 수 있고 재현 가능한 평가 방법이 필요합니다. 이 목적을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측정은 매일 생활의 활동에서 독립의 카츠 지수입니다 (카츠 ADL).

1970년에 개발된 Katz ADL은15,,16의기본적인 ADL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환자의 능력을 평가할 수 있게 합니다. 이 스케일은 목욕, 드레싱, 화장실, 이송, 요실금 및 수유의 여섯 가지 활동에서 환자의 자립을 측정합니다. 각 활동은 0 또는 1로 점수가 매겨지며, 여기서 점수는 0이 다른 사람에 대한 의존성을 나타내고 1은 독립을 나타냅니다. 총 Katz ADL 점수 6은 완전한 독립성, 4개의 적당한 의존도, 2 이하의 가혹한 의존도를 나타냅니다.

수년 동안 Katz ADL은 노인의 기능 상태 평가에 유용하다는 것이 입증되었습니다. 첫째, Katz ADL 평가는 매우 간단하며 6개의 ADL 활동을 수행하는 환자의 능력에 대해 환자 또는 가족 구성원을 인터뷰하거나 환자가 이러한 활동을 얼마나 잘 수행하는지 직접 관찰하는 것을 포함한다17. 또한, 급성 의료 문제 동안, Katz ADL 지수는 주요에 민감한, 하지만 사소한에, 건강 상태의 변화. 따라서,이 도구는 환자의 기능 적 상태에 급성 의료 문제의 영향을 평가하는 데 이상적입니다.

급성 의학적 문제의 첫 날 내에 재활을 시작하면 환자의 기능적 쇠퇴 정도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리는 각 환자의 기능적 상태를 면접을 통해 입원하기 전에 평가되어야 하며, 관찰을 통해 입원 첫 날 내에 ADL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할 것을 제안합니다. 이 2개의 평가는 심각한 사건을 위한 배려 계획과 병행하여 초기 예방 및 재활 조치를 지도할 수 있었습니다. 기능적 독립성 회복을 촉진하기 위한 이러한 조치의 효과는 퇴원전까지 반복되는 ADL 평가를 통해 모니터링할 수 있다.

프로토콜

이 프로토콜은 보르도 대학 병원의 인간 연구 윤리 위원회에 의해 승인되었습니다.

참고: 이 섹션에 설명된 프로토콜에는 Katz ADL을 사용하여 ADL 의존성 평가를 포함합니다. 평가된 6개의 활동은18위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카츠 ADL은 보르도 대학 병원에서 입원 및 퇴원시 75세 이상의 모든 환자, 즉 급성 노인 의학 병동에 있는 모든 환자에게 투여됩니다. 노인 단위에 있는 입원 환자는 수많은 comorbidities와 더불어 제출하고 직원이 모든 그 같은 환자를 평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론적으로, Katz ADL은 몇몇 젊은 환자를 포함하는 심각한 의학 문제로 인해 그들의 독립을 분실의 위험한 상태에 있는 모든 환자에게 관리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ADL 의존은 질병을 비활성화의 보급이 그 인구에서 낮기 때문에, 젊은 성인에서 드물다. 그럼에도 불구 하 고, 프로토콜은 또한 다른 부서에서 구현 될 수 있습니다., 특히 내과, 심장 학, 그리고 신경학.

1. 입원 전에 카츠 ADL을 투여하기위한 프로토콜

  1. 입욕 활동을 평가합니다.
    1. 목욕을 평가하려면 환자에게 목욕 방법과 목욕을 돕기 위해 누군가가 필요한지 묻습니다. 그렇다면, 그들이 도움이 필요한 신체의 어느 부분을 물어보십시오. 그런 다음, 그들은 독립적 인 지 여부 (1 점) 또는 목욕 활동에 종속 (0 점).
      참고: 독립적인 환자는 등, 생식기 지역 또는 장애인 사지를 제외하고, 몸 전체를 혼자 목욕시합니다. 부양 환자는 신체의 여러 부분을 목욕하거나 샤워 또는 욕조를 들어 오도록 도와야합니다.
  2. 드레싱을 평가합니다.
    1. 환자에게 혼자 옷을 입고 옷을 벗을 수 있는지, 그리고 도움 없이 옷장에서 옷을 벗을 수 있는지 물어보십시오. 양말이나 기타 의류 를 입는 데 도움이 필요한지 물어보십시오. 그런 다음 드레싱 활동에서 독립적(1점) 또는 종속(0점)인지 유의하십시오.
      참고: 독립적인 사람이 옷장에서 옷을 꺼내 해당되는 경우 고정하는 것을 포함하여 옷을 입는다. 신발 묶는 드레싱 활동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부양 가족은 드레싱에 대한 도움이 필요하거나 다른 사람이 완전히 옷을 입어야 합니다.
  3. 화장실을 평가합니다.
    1. 환자에게 집에서 보조없이 화장실에 가는지 물어보십시오. 그들이 앉아서 화장실에서 일어서필요에 따라 옷을 준비하고 도움없이 생식기 부위를 청소 할 수 있는지 물어보십시오. 그런 다음 화장실에서 독립적(1점) 또는 종속(0점)인지 유의하십시오.
      참고 : 독립적 인 사람이 화장실에 가서 앉아서 화장실에서 일어 서서 옷을 준비하고, 도움없이 생식기 영역을 청소합니다. 부양 가족은 화장실로 옮기고 청소하거나 침대팬이나 컴모드를 사용하는 데 도움이 필요합니다.
  4. 전송을 평가합니다.
    1. 환자에게 침대에서 의자로, 의자에서 침대로 옮길 수 있는지 물어보세요. 그런 다음 전송시 독립(1점) 또는 종속(0점)인지 유의하십시오.
      참고: 독립인은 보조를 받지 않고 침대 나 의자 안팎으로 이동하거나 기계식 이송 보조보조를 사용합니다. 부양 가족개인은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 침대에서 의자로 이동하거나 완전한 교통편이 필요합니다.
  5. 요실금 평가합니다.
    1. 환자에게 배뇨와 배변에 대한 완전한 자기 통제가 있는지 물어보십시오. 그렇지 않은 경우 도움없이 오줌 카테터 또는 기저귀를 사용할 수 있는지 묻습니다. 그런 다음, 그들은 독립적 인 지 여부 (1 점) 또는 연속성에 관하여 종속 (0 점).
      참고: 독립적인 환자는 배뇨와 배변에 대한 완전한 자기 통제를 행사하거나 도움없이 오줌 카테터 또는 기저귀를 사용합니다. 부양 가족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대륙 (창자 또는 방광)이며 이러한 기능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필요합니다.
  6. 수유를 평가합니다.
    1. 환자에게 도움없이 먹는지 물어보십시오. 그렇다면 고기를 자르거나 요구르트 용기뚜껑을 열 수 있는지 물어보십시오. 그런 다음, 그들은 독립적 인 지 여부를 주의 (1 점) 또는 종속 (0 점) 먹이 활동에. 독립적 인 사람은 도움없이 준비되고 배달 된 식사를 먹을 수 있습니다.
      참고: 독립적인 사람이 접시에서 도움을 받지 않고 입으로 음식을 전달합니다. 부양 가족은 먹이주기에 부분적이거나 총적인 도움이 필요합니다.
  7. 모든 활동에 대한 점수를 합산하여 ADL 점수를 계산합니다.

2. 병원 입원에 대한 ADL 규모의 관리

  1. 입욕
    1. 입원 첫날에는 환자에게 샤워를 제공합니다. 그들이 하나를 취할 수 있다고 느끼는 경우에, 화장실에 동행하고 스스로 씻을 수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환자가 이것을 할 수 없다고 느끼는 경우에, 침대 또는 분지에서 그(것)들을 세척하는 것을 제안하십시오.
    2. 환자가 스스로 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지 또는 신체의 특정 부위에 지도나 도움이 필요한지 관찰하십시오. 그런 다음, 그들은 독립적 이거나 목욕에 의존 여부 (단계 1.1에서 와 독립적이고 의존의 동일한 정의 에 따라).
  2. 드레싱
    1. 입원 첫날에는 환자가 옷을 입게 될 것을 제안합니다. 옷장에서 옷을 고르고 입어 달라고 한다. 환자가 어려움이 있는 경우에, 옷을 입는 것을 돕습니다.
    2. 저녁에는 같은 절차를 따르지만 옷을 벗는 데 적용됩니다.
    3. 환자가 독립적이거나 드레싱에 의존하는지 유의하십시오 (1.2 단계와 독립적이고 의존적이라는 동일한 정의에 따라).
  3. 화장실
    1. 입원 의 처음 며칠 동안, 환자가 혼자 화장실에 갈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 앉아서 화장실에서 일어서, 자신의 옷을 준비하고, 생식기 영역을 청소.
    2. 컴모드 또는 침대팬이 필요한지 평가합니다. 환자가 독립적이거나 화장실에 의존하는지 유의하십시오 (1.3 단계와 독립적이고 의존적입니다).
  4. 전송
    1. 입원 첫날에는 환자에게 침대에서 의자로 옮겨야 하고 의자에서 침대로 옮겨달라고 요청하십시오. 환자가 어려움이 있는 경우 먼저 기계적 이송 보조기구를 제공하고 필요한 경우 이송을 도와줍니다. 그런 다음 환자가 독립적이거나 양도에 의존하는지 유의하십시오 (1.4 단계와 독립적이고 의존적입니다).
  5. 먹이
    1. 병원에서 첫 식사 하는 동안, 환자가 혼자 먹을 수 있는지 여부를 관찰, 고기를 절단 하 고 요구르트 용기의 뚜껑을 여는 등. 필요한 경우 그들을 도와주세요. 그런 다음 환자가 독립적이거나 식사에 의존하는지 유의하십시오 (1.6 단계와 같이 독립적이고 의존적입니다).
  6. 모든 활동에 대한 점수를 합산하여 ADL 점수를 계산합니다.

3. 급성 의료 문제 전과 입원 시 기능성 독립 점수 비교

  1. 급성 의학적 문제 에서 환자가 독립하지 않은 활동을 식별합니다. 환자가 문제 이전에 의존했던 활동을 식별합니다.
  2. 재활 치료를 통해 환자가 잃어버린 독립을 되찾도록 격려하십시오.
  3. 급성 의학적 문제 에서 손실되지 않은 독립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됩니다.

4. 입원 기간 내내 ADL 점수를 다시 계산합니다(주당 2회)

  1. 2단계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평가 단계를 수행합니다.
  2. 간호사, 간호사 조수, 의사 및 물리 치료사가 있는 직원 회의에서 평가 결과를 논의하십시오.
  3. ADL 점수를 비교하여 기능 적 독립성의 개선 또는 저하를 식별합니다.
  4. 기능적 독립성의 진화에 따라 재활 치료를 유지하거나 수정; 목표는 환자가 이전의 독립 수준을 회복하는 것입니다.

5. 퇴원 시 ADL 점수를 평가하고 입원 전 점수와 비교합니다.

  1. 급성 의학적 문제로 인해 환자가 기능적 독립성이 상실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2. 필요에 따라 홈 도움말 프로토콜을 조정합니다.

결과

여기서는 프로토콜이 완료된 후 두 가지 예가 고려됩니다: 방전 시 ADL 함수의 기준 수준을 완전히 회복한 사례와 부분 복구가 없는 경우.

ADL 함수의 기준 수준으로 방전
이 환자 그룹에서는, 도 1에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ADL 기능 궤적이 가능했습니다 : 입원(Trajectory A)을 통해 그들의 ADL 점수를 유지한 환자 및 입원에서 점수가 기준선에서 ...

토론

프로토콜은 모든 상황에서 적절하지 않습니다.
우리의 프로토콜은 급성 의료 문제로 입원 한 환자를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그러나 Barthel Index와 같은 다른 도구는 재활 센터에서 사용되어야합니다. 원래 Katz ADL 스케일은 7 점 척도 (0-6 점수)에서만 기능 능력을 점수; 따라서 기능 의존도의 미묘한 변동은 간과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카츠 ADL과 비교할 수 있는 바델 지수는 가중치?...

공개

저자는 공개 할 이해 상충이 없습니다.

감사의 말

보르도 대학과 보르도 대학 병원은이 출판을 지원했다.

자료

NameCompanyCatalog NumberComments
Clothing and underwearAny
Hospital Bathroom with toilet
Meal Tray
Medical BedAny
Medical ChairAny
Papers
Pens
Table BedAny

참고문헌

  1. Jin, Y., et al. Cardiovascular Health Is Associated With Disability Among Older Community Dwelling Men and Women. Journal of Aging and Health. 31 (8), 1339-1352 (2019).
  2. Mograbi, D. C., et al. The impact of dementia, depression and awareness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a sample from a middle-income country. Int J Geriatr Psychiatry. 33 (6), 807-813 (2018).
  3. Sauvaget, C., Yamada, M., Fujiwara, S., Sasaki, H., Mimori, Y. Dementia as a predictor of functional disability: a four-year follow-up study. Gerontology. 48 (4), 226-233 (2002).
  4. Jacobs, J. M., Hammerman-Rozenberg, R., Maaravi, Y., Cohen, A., Stessman, J. The impact of visual impairment on health, function and mortality. Aging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17 (4), 281-286 (2005).
  5. Lyu, W., Wolinsky, F. D. The Onset of ADL Difficulties and Changes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15 (1), 217 (2017).
  6. Keeler, E., Guralnik, J. M., Tian, H., Wallace, R. B., Reuben, D. B. The impact of functional status on life expectancy in older person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65 (7), 727-733 (2010).
  7. van Lier, L. I., et al. Predictors of Societal Costs of Older Care-Dependent Adults Living in the Community in 11 European Countries. Health Services Insights. 12, 1178632918820947 (2019).
  8. Gill, T. M., Allore, H. G., Gahbauer, E. A., Murphy, T. E. Change in disability after hospitalization or restricted activity in older persons. JAMA. 304 (17), 1919-1928 (2010).
  9. Chodos, A. H., et al. Hospitalization-Associated Disability in Adults Admitted to a Safety-Net Hospital.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30 (12), 1765-1772 (2015).
  10. Gill, T. M., Gahbauer, E. A., Han, L., Allore, H. G. The role of intervening hospital admissions on trajectories of disability in the last year of life: prospective cohort study of older people. BMJ. 350, 2361 (2015).
  11. Boyd, C. M., et al. Recovery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older adults after hospitalization for acute medical illnes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6 (12), 2171-2179 (2008).
  12. Blanc-Bisson, C., Dechamps, A., Gouspillou, G., Dehail, P., Bourdel-Marchasson, I.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n early physiotherapy intervention versus usual care in acute care unit for elderly: potential benefits in light of dietary intakes. The journal of nutrition, health & aging. 12 (6), 395-399 (2008).
  13. Martinez-Velilla, N., et al. Effect of Exercise Intervention on Functional Decline in Very Elderly Patients During Acute Hospitalization: A Randomized Clinical Trial. JAMA Internal Medicine. 179 (1), 28-36 (2019).
  14. Bourdel-Marchasson, I., et al. Muscle phosphocreatine post-exercise recovery rate is related to functional evaluation in hospitalized and community-living older people. The journal of nutrition, health & aging. 11 (3), 215-221 (2007).
  15. Katz, S. Assessing self-maintenance: activities of daily living, mobility,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31 (12), 721-727 (1983).
  16. Katz, S., Downs, T. D., Cash, H. R., Grotz, R. C. Progress in development of the index of ADL. Gerontologist. 10 (1), 20-30 (1970).
  17. Ciesla, J. R., Shi, L., Stoskopf, C. H., Samuels, M. E. Reliability of Katz's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 when used in telephone interviews. Evaluation & the Health Professions. 16 (2), 190-203 (1993).
  18. Carvalho, T., Polachinido Valle, A., Ferrari Jacinto, A., Ferreira de Sá Mayoral, V., Fortes Villas Boas, P. Impact of hospitalization on the functional capacity of the elderly: A cohort study. Revista Brasileira de Geriatria e Gerontologia. 21, 134-142 (2018).
  19. Mahoney, F. I., Barthel, D. W. Functional Evaluation: The Barthel Index. Maryland Medicine Journal. 14, 61-65 (1965).
  20. Peres, K., Verret, C., Alioum, A., Barberger-Gateau, P. The disablement process: factors associated with progression of disability and recovery in French elderly people.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7 (5), 263-276 (2005).
  21. Lawton, M. P., Brody, E. M. Assessment of older people: self-maintaining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Gerontologist. 9 (3), 179-186 (1969).
  22. Barberger-Gateau, P., et al. Health measures correlates in a French elderly community population: the PAQUID study. Journal of Gerontology. 47 (2), 88-95 (1992).

재인쇄 및 허가

JoVE'article의 텍스트 или 그림을 다시 사용하시려면 허가 살펴보기

허가 살펴보기

더 많은 기사 탐색

163nosocomial

This article has been published

Video Coming Soon

JoVE Logo

개인 정보 보호

이용 약관

정책

연구

교육

JoVE 소개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