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VE Logo

로그인

JoVE 비디오를 활용하시려면 도서관을 통한 기관 구독이 필요합니다. 전체 비디오를 보시려면 로그인하거나 무료 트라이얼을 시작하세요.

기사 소개

  • 요약
  • 초록
  • 서문
  • 프로토콜
  • 결과
  • 토론
  • 공개
  • 감사의 말
  • 자료
  • 참고문헌
  • 재인쇄 및 허가

요약

여기에서는 복부 팽만으로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을 치료하기 위한 온열 침술과 뜸을 적절하게 조작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제시합니다.

초록

대부분의 COPD 환자는 복부 팽만감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며, 이는 폐 증상, 급성 악화 빈도 및 COPD 환자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온열 침 치료와 뜸은 복부 팽만과 결합된 COPD 환자의 증상 완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온열 침술과 뜸은 매우 효과적이고, 시행하기 쉬우며, 저렴한 형태의 전통 한의학 치료법이다. 온열 침술과 뜸의 표준화된 관행은 복부 팽만과 결합된 COPD의 치료에 매우 중요합니다. 구체적인 단계에는 증후군 감화 치료를 통해 침을 씌우기에 적합한 경혈을 선택하고 De-qi 후 약 30분 동안 뜸을 위한 적절한 길이의 뜸 스틱을 선택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치료 과정은 일주일 동안 지속됩니다. COPD 평가 테스트(CAT) 점수와 복부 팽만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VAS)와 같은 지표가 구체적으로 평가됩니다. 이 글은 복부 팽만과 결합된 COPD를 완화하기 위해 온열 침술과 뜸의 조작을 표준화하는 방법을 명확하게 설명할 것입니다.

서문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은 호흡기의 흔한 만성 소모성 질환입니다. COPD 환자는 주로 만성 기침과 가래로 나타나며, 질병이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폐 기능이 점진적으로 저하됩니다. 이 질병은 만성 폐 심장 질환, 호흡 부전 및 질병 말기의 심부전으로 인해 복잡해질 수 있으며, 이는 환자의 삶의 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칩니다. 장내 미생물군의 변화는 COPD1의 질병 진행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폐 증상 외에도 안정 COPD 환자의 40.31%가 복부 팽만감을 호소했다. 복부 팽만감은 폐 증상 악화, COPD 급성 악화 빈도 증가, 안정적인 COPD 환자의 삶의 질 저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3. COPD에서 복부 팽만의 원인은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는 다인자로 간주됩니다: (1) 박테리아의 미생물 불균형; (2) 복수는 복강 내 압력을 증가시킵니다. (3) 전해질 장애; (4) 우심부전 및 간 또는 소화관의 울혈; (5) 장시간 침상 안정4; (6) 약물5 및 기계적 환기6.

일부 한의학자들은 COPD의 발병 과정이 4가지 상태의 과정이라고 제안했다.(1) 폐 기 결핍; (2) 비장 기 결핍; (3) 신장 기 결핍; (4) 음양(陰陽)결핍 7,8. 비장이 이동과 변형에 실패하고 위가 약해져서 수용이 되지 않으면 복부 팽만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화학 물질의 부족으로 인해 근육이 얇아지고 약화될 수 있다9. 현재 COPD의 임상치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물로는 기관지 확장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항생제 및 기타 약물이 있다10. 증상으로 치료되는 경우가 많은 복부 팽만과 결합된 COPD에 대한 표준화된 치료 프로토콜을 명시한 지침은 없습니다.

한의학에서 따뜻한 침술과 뜸은 기(氣)가 경락을 준설하고, 혈액 순환을 활성화하고, 혈액 정체를 제거하고, 양(陽)을 따뜻하게 하고, 냉기를 없애기 위해 결핍을 보충하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항산화 물질을 생산하여 면역 체계 스트레스 반응을 촉진하고 혈액 순환을 개선할 수 있는 조절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11,12. 온열 침술과 뜸은 경추 척추증(cervical spondylosis)13, 무릎 관절염(two arthritis)14, 월경통(dysmenorrhea)15, 변비(distipation)16, 과민성 대장 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17 등을 치료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실험적 연구에 따르면 침술은 뇌-장 축을 조절하여 복부 팽만감을 완화할 수 있다18. 뜸과 침 치료는 복부 팽창을 현저히 감소시키는데,19 이는 혈장 프로스타글란딘 E2와 혈장 및 위 점막 조직의 가스트린 수치 조절을 통해 발휘될 수 있다20. 한편, 온열 침술과 뜸은 기능성 소화불량의 증상을 개선한다는 점에서 운동요법과 가짜 침술보다 우수하다21. 침술은 횡격막을 강화하고 호흡 근육의 피로를 완화할 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 저류와 저산소증을 개선하며 호흡 부전을 예방하고 완화할 수 있다22. 온열 침 치료와 뜸은 안정적인 COPD 환자의 폐 기능, 임상 증상 및 삶의 질을 개선한다23,24.

"폐는 대장과 내외적 관계에 있다"는 한의학 이론에 따르면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온열 침술과 뜸 치료는 위장 기능의 회복을 촉진하고 폐 기능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온열 침술과 뜸은 매우 효과적이고, 시행하기 쉬우며, 저렴한 형태의 전통 한의학 치료법이다. 결론적으로, 복부 팽만으로 COPD를 완화하기 위해 온열 침술과 뜸을 적절하게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표준 프로토콜을 제안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복부 팽만으로 COPD를 완화하기 위해 온열 침 치료와 뜸 치료를 적절하게 조작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프로토콜

임상시험 프로토콜은 청두 중의과대학 병원 호흡기내과 임상연구승인위원회(Clinical Research Approval Committee)의 검토 및 승인을 받았습니다. KY 2022010)입니다.

1. 장비 준비

  1. 일회용 멸균 침술 바늘(크기 0.25mm x 40mm), 뜸 스틱(크기 1.2cm x 1.2cm), 의료용 멸균 면봉, 요오드포 면봉, 라이터 및 여러 개의 60mm x 60mm 판지를 준비합니다( 그림 1 참조).

2. 의사 준비

  1. 환자가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 대한 1차 진료 지침의 COPD 진단 기준을 충족하고 복부 팽만감이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2. 다음 조건을 가진 환자는 제외하십시오.(1) 피부 궤양, 혈당 조절 불량, 혈압 조절 불량 및 현기증이 있는 환자; (2) 규폐증, 결핵, 악성종양, 천식, 응고 장애, 중증 심부전이 있는 사람 (3) 류마티스 심장병, 선천성 심장병, 신부전, 간부전 등이 있는 사람 (4) 규정 준수가 불량한 사람.
  3. 의료용 마스크와 모자를 착용하십시오.
  4. 비눗물로 손을 씻고 건조한 상태로 두고, 바늘을 잡고 작동하기 전에 알코올 손 소독제를 사용하십시오.

3. 환자 준비

  1. 환자에게 방광을 비우도록 요청하십시오.
  2. 환자의 혈압, 심박수, 호흡수 및 산소 포화도를 측정합니다.
  3. 피부가 손상되거나 곪지 않았는지 확인하십시오.
  4. 위의 기본 징후가 정상이 되면 환자에게 침점을 노출시키기 위해 누운 자세 또는 엎드린 자세를 선택하도록 지시합니다.
  5. 시술 중 불편함이 있는 경우 의사에게 알리도록 환자에게 조언하십시오.

4. 경혈 선택

  1. 요오도포 면봉으로 바늘로 찔릴 부위의 피부를 닦습니다.
  2. 표준화된 경혈에 따라 Feishu(BL13), Taiyuan(LU9), Dingchuan(EX-B1), Zusanli(ST36), Zhongwan(RN12), Tianshu(ST25)24,25,26을 선택합니다(그림 2 참조).

5. 침술과 바늘 조작

  1. 왼손의 다섯 손가락을 평평하게 펴고 검지와 중지를 찌르는 위치에 벌립니다.
  2. 오른손의 엄지와 검지로 바늘 손잡이를 잡고 가운데 손가락 끝이 뾰족한 부분에 가깝고 손가락 배가 바늘 몸체에 닿도록 합니다.
  3. 가운데 손가락을 구부린 상태에서 엄지와 검지를 아래쪽으로 누르고 국제 표준 침술 각도와 깊이에 바늘을 삽입합니다.
  4. 침 손잡이를 침 각도를 따라 균일하게 들어 올려 밀면 깊이는 약 3mm, 빈도는 약 60회/분27회입니다.
  5. 바늘 손잡이를 180도 이하의 각도로 앞뒤로 돌립니다. 빈도는 환자가 De-qi27을 느낄 때까지 약 60회/분입니다.

6. 뜸쑥 스틱 놓기

  1. 피부28 에서 바닥에서 2-3cm 떨어진 곳에서 뜸쑥 스틱에 불을 붙여 환자가 신체 표면에 따뜻한 느낌과 발적을 갖도록 합니다. 치료는 약 30분 정도 소요됩니다.

7. 골판지 놓기

  1. 60mm x 60mm 판지를 뜸쑥 스틱 아래에 놓아 뜸쑥 스틱이 타버릴 때까지 재가 피부를 태우는 것을 방지합니다( 그림 3 참조).

8. 바늘 따기

  1. 대나무 면봉 끝으로 다 탄 뜸쑥 스틱을 부드럽게 집어 올립니다.
  2. 의료용 멸균 면봉을 손에 쥐고 바늘 부위에 부드럽게 압력을 가합니다.
  3. 바늘을 약간 비틀어 천천히 피하 부위로 들어 올리고 잠시 두었다가 제거한다.
  4. 바늘이 나온 후 의료용 살균 면봉을 사용하여 바늘 구멍을 잠시 가볍게 눌러 출혈을 방지하고 통증을 줄입니다.
  5. 바늘을 뺀 후 바늘 구멍에서 피가 나는지 잘 확인하고 환자에게 위화감은 없는지 물어보고 바늘 갯수가 빠졌는지 확인합니다.

결과

일반 조건
복부 팽만감과 결합된 COPD 환자 총 12명(표 1)을 관찰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었으며, 각 군에 각각 6명의 환자가 있었다. 모두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 대한 1차 진료 지침(2018)''29 의 진단 기준을 충족했으며 복부 팽만감이 있었습니다. 대조군에는 유사 침이 투여되었습니다. 관찰군과 동일한 경혈을 선택하고 이 경혈 옆 2.5cm의 피부에 수직으로 ?...

토론

COPD로 인한 복부 팽만의 발병 기전이 완전히 밝혀지지 않아 새로운 치료법과 약물 개발을 방해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최근에는 온열 침술과 뜸이 복부 팽만과 결합된 COPD에 널리 적용되고 있습니다. 온열 침술과 뜸의 치료 기전은 주로 침의 효과, 뜸 가온 효과 및 바늘 몸체의 열전도 효과(31)이다. 뜸은 경혈의 국소 온난화에 초점을 맞춥니다. 국소 특이적 수용체, 열?...

공개

저자는 선언할 이해 상충이 없습니다.

감사의 말

이 작업은 2022년 "Tianfu Qingcheng Plan" Tianfu Science and Technology Leading Talents Project(Chuan Qingcheng No. 1090), National TCM Clinical Excellent Talents Training Program(National TCM Renjiao Letter[2022] No. 1), Chengdu Universit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병원의 "100 Talent Plan" 프로젝트(병원 사무실[2021] 42), 쓰촨성 중국 전통 의학 관리 과학 연구 특집(2021MS093, 2021MS539, 2023MS608)을 참조하십시오.

자료

NameCompanyCatalog NumberComments
Moxa stickDr. MoxiN/Asize: 1.2 cm x 1.2 cm
Disposable sterile acupuncture needleHWATO2001-0020size:  0.25 mm x 40 mm
Iodophor swabsBEIJIAER20162140536
CardboardIn-houseIn-housesize: 60 mm x 60 mm 

참고문헌

  1. Li, N., et al. Gut microbiota dysbiosis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Respiratory Research. 22, 274 (2021).
  2. Kirschner, S. K., et al. Intestinal function is impaired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linical Nutrition. 40 (4), 2270-2277 (2021).
  3. Sun, Y., et al. Correlation between lower gastrointestinal tract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tabl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33 (5), 608-614 (2013).
  4. Liu, J., Wu, G. Clinical observation of Da Cheng Qi Tang in the treatment of abdominal distension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Journal of Clinical Pulmonology. 11, 1188 (2007).
  5. Kesten, S., Celli, B., Decramer, M., Leimer, I., Tashkin, D. Tiotropium HandiHaler in the treatment of COPD: A safety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4, 397-409 (2009).
  6. Windisch, W. Impact of home mechanical ventilation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European Respiratory Journal. 32 (5), 1328-1336 (2008).
  7. Li, J. S., Li, S. Y., Wang, Z. W. Diagnostic criteria for Chinese medical evidence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2011 version). Journal of Chinese Medicine. 53 (02), 177-178 (2012).
  8. Feng, Z., Xie, Y., Chun, L., He, W., Li, J. A study of the underlying evidential features in the literature of stabl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based on association rules combined with hidden structure models. World Science and Technology - Modernization of Chinese Medicine. 23 (02), 552-559 (2021).
  9. He, W., Li, G. The efficacy of Shizi heat ironing therapy to improve gastrointestinal 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New Chinese Medicine. 44 (02), 31-32 (2012).
  10. Commission Emergency Medical Quality Control C, Emergency Medical Branch Of Chinese Medical A, Chinese Medical Doctor Association Emergency Medical B, World Federation Of Chinese Medicine Societies Emergency Professional C, Pulmonary Disease Academy Of China Association Of Chinese M, Chinese Society For Integrated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Intensive Medicine Specialized C. Expert consensus of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treatment on acute exacerba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 China (2021). . Chinese Critical Care Emergency Medicine. 33 (11), 1281-1290 (2021).
  11. Zhong, L. Preliminary study on the mechanism of traditional moxibustion. Chinese Journal of Basic Medicine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6, 47-48 (1999).
  12. Liu, H. Y. T.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the biophysical mechanism of moxibustion therapy. Chinese Acupuncture. 10, 17-59 (1996).
  13. Sun, D. P., et al. Cervical spondylosis of nerve root type with qi stagnation and blood stasis treated with warming needle with different lengths of moxa stick: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hinese Acupuncture. 42 (8), 873-878 (2022).
  14. Zhang, H., Liu, J., Wen, S., Tian, B. Efficacy of warm acupuncture in treating patients with gouty arthritis of the knee joint with evidence of damp-heat entrapment and its effects on joint pain, joint function and serum inflammatory indexes. Hebei Chinese Medicine. 43 (07), 1170-1173 (2021).
  15. Zhang, Y., Wang, S., Sun, Y., Yang, D., Sun, Y. Clinical effects of warm acupuncture in the treatment of dysmenorrhea secondary to cold clotting and blood stasis type of adenomyosis. China Pharmaceutical Herald. 20 (05), 146-159 (2023).
  16. Ma, Q., He, X. Clinical study on the treatment of Yang deficiency type chronic functional constipation with warm acupuncture and moxibustion at the Baliao. Journal of Guangzhou University of Chinese Medicine. 40 (02), 363-367 (2023).
  17. Wei, X., Jin, H., Yan, X. Clinical study on the treatment of diarrhea-type irritable bowel syndrome by strengthening the spleen, tonifying the spirit and warming acupuncture. Shanxi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44 (02), 245-254 (2023).
  18. Tan, L. H., et al.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at different acupoints on the expression of NMDA receptors in ACC and colon in IBS rats.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eCAM. 2019, 4213928 (2019).
  19. Anastasi, J. K., McMahon, D. J., Kim, G. H. Symptom management for irritable bowel syndrom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cupuncture/moxibustion. Gastroenterology Nursing. 32 (4), 243-255 (2009).
  20. Wu, X., Guo, Y., Zheng, J., Liu, Z. Protective effect of warm-through acupuncture on stress gastric mucosal injury. Shanghai Acupuncture and Moxibustion Journal. 4, 40-41 (2001).
  21. Zhang, J., et al. Efficacy comparison of different acupuncture treatments for functional dyspepsia: A systematic review with network meta-analysis.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eCAM. 2020, 3872919 (2020).
  22. Liu, Q., et al. Rehabilitation effects of acupuncture on the diaphragm dysfunction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16, 2023-2037 (2021).
  23. Xie, F., Wu, Y. P., Liu, L., Ren, J. G., Zhang, B. D. Warm acupuncture o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with phlegm-turbid obstructing of the lung: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Zhongguo Zhen Jiu. 39 (9), 918-922 (2019).
  24. Gao, J.,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s of warm acupuncture on lung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table COPD. Chinese Acupuncture. 31 (10), 893-897 (2011).
  25. Shi, Z., Ni, T., Wang, X. Clinical study on moxibustion combined with salmeterol xinafoate and fluticasone propionate powder for inhalation for COPD in stable stage. Chinese Medicine. 53 (14), 150-153 (2021).
  26. Yang, L. Clinical efficacy of warm acupuncture in 55 cases of functional dyspepsia. Modern Wellness. 282 (18), 170 (2016).
  27. Yuan, Y., Hai, Y., Gu, X., Wang, Z., Peng, J. Preliminary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acupuncture techniques.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 230-231 (2002).
  28. Zhou, H. J. Effects of moxa-stick ignition locations on temperature of needle body and surrounding environment during warm needling. Zhongguo Zhen Jiu. 34 (7), 675-677 (2014).
  29. Chinese Medical Association. Primary care guidelines for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2018). Chinese Journal of General Practitioners. 11, 856-870 (2018).
  30. Geyer, M., Guller, U., Beglinger, C. Carbon dioxide insufflation in routine colonoscopy is safe and more comfortable: results of a randomized controlled double-blinded trial. Diagnostic and Therapeutic Endoscopy. 2011, 378906 (2011).
  31. Chen, L., Jin, X., Li, R.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in the development of warm acupuncture operation technology. Chinese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33 (09), 3768-3771 (2018).
  32. Huang, K., Liang, S., Sun, Z., Zhang, J. Startup mechanism of moxibustion warming and dredging function. Zhongguo Zhen Jiu. 37 (9), 1023-1026 (2017).
  33. Gao, X., et al.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acupuncture on gastric mucosal barrier function. China Chinese Medicine Technology. 5, 277-278 (2001).
  34. Liang, F., Wang, H. Science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China Pres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133, (2016).
  35. Liang, F., Wang, H. Science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China Pres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 136-137 (2016).
  36. Zheng, W., Zhang, J., Shang, H. Ancient Chinese medicine practitioners' understanding of the contraindications of acupuncture. Chinese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6 (09), 1928-1930 (2011).
  37. Shi, X. Acupuncture and Moxibustion. Chinese Traditional Clinical Medicine Series. , (2004).
  38. National Standard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cupuncture technical practice part 1: Moxibustion. Chinese Acupuncture. 30 (06), 501-504 (2010).
  39. Zhang, M., Gao, X. The clinical application of warm acupuncture and penetration moxibustion by professor GAO Xiyan. Zhongguo Zhen Jiu. 38 (12), 1325-1328 (2018).

재인쇄 및 허가

JoVE'article의 텍스트 или 그림을 다시 사용하시려면 허가 살펴보기

허가 살펴보기

더 많은 기사 탐색

COPDCATVAS

This article has been published

Video Coming Soon

JoVE Logo

개인 정보 보호

이용 약관

정책

연구

교육

JoVE 소개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