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VE 비디오를 활용하시려면 도서관을 통한 기관 구독이 필요합니다. 전체 비디오를 보시려면 로그인하거나 무료 트라이얼을 시작하세요.

기사 소개

  • 요약
  • 초록
  • 서문
  • 프로토콜
  • 결과
  • 토론
  • 공개
  • 감사의 말
  • 자료
  • 참고문헌
  • 재인쇄 및 허가

요약

이 기사에서는 골반 염증성 질환의 후유증으로 인한 만성 골반 통증에 대한 경혈 캣굿 삽입 요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초록

염증성 골반 질환의 후유증으로 인한 만성 골반 통증은 여성 골반 통증의 흔한 임상 질환입니다. 현재 치료의 주요 과제는 통증 완화의 효과가 제한적이고 증상이 자주 재발하여 환자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고 상당한 심리적 부담을 준다는 것입니다. 이 질환은 임상적으로 어려운 질병입니다. 수년간의 치료 경험을 요약한 후, 저자의 팀은 경혈 캣굿 임베딩이 골반 염증성 질환 후유증으로 인한 만성 골반 통증 관리에서 주목할 만한 임상적 효능을 입증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기존 서양의학의 치료방법에 비해 경혈 캣굿 임베딩은 진통 효과가 좋고, 재발률이 낮으며, 경제적 이점이 있으며, 시술이 비교적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 기사는 골반 염증성 질환의 후유증으로 인한 여성의 만성 골반 통증을 치료하기 위해 환자의 경혈에 흡수성 고양이 내장을 삽입하는 방법에 대한 포괄적인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서문

만성 골반통(CPP)은 6개월 이상 지속되고 비주기적이며 비마약성 진통제에 반응하지 않는 골반통을 말합니다. 최신 연구에 따르면 CPP의 전 세계 발병률은 ~5%-26%1입니다. 순차성 골반 염증성 질환(SPID)은 CPP를 유발하는 주요 질환 중 하나로, 여성의 모든 만성 골반 통증 사례의 23%-30%를 차지합니다2. 이러한 통증을 완화하는 데 기존 진통제의 효능이 제한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CPP 환자의 50% 이상이 비약물적 치료를 받을 수 있다3. 현재 주요 비약물적 치료법으로는 골반저근물리치료, 심리치료, 신경조절치료, 당뇨병치료가 있습니다. 그러나 차선의 통증 완화 및 장기적인 통제의 어려움과 같은 한계도 있습니다. CPP를 앓고 있는 대부분의 SPID 여성은 불안, 우울증 및 반복적인 통증으로 인한 삶의 질 저하를 경험한다4. 따라서 환자의 통증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을 찾는 것이 임상적으로 시급한 관심사가 되었습니다.

침술과 뜸은 중국 전통 의학의 주요 외부 치료 방법 중 두 가지로, 통증 관련 질환을 치료하는 데 우수한 효능을 보였으며 임상 실습, 특히 만성 통증 완화에 널리 사용되어 CPP에 대한 다른 비약물적 치료를 능가하는 효과를 보였습니다 5,6. 한의학을 이용한 양압기 치료에 대한 단면 연구에서 만성 통증 환자의 7.63%가 침 및 뜸 치료를 받도록 선택되었으며, 그 결과 우수한 치료 결과가 나타났다7. 이 글에서 소개하는 경혈 캣굿 임베딩은 침술과 뜸의 확장이자 발전이다. 그것은 특별히 고안된 일회용 의료 기기를 사용하여 흡수성 고양이 창자를 해당 경혈에 이식하고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경혈 자극을 제공하여 진통 효과를 얻는 중국 전통 의학 외부 치료 기술을 말합니다. 저자의 팀은 이 기술을 사용하여 SPID로 인한 여성의 재발성 및 불치성 골반 통증을 치료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습니다. 이는 단독 치료법으로 활용될 수도 있고, 종합적인 한의학 치료 계획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활용될 수도 있으며, 중국 전통 의학과 서양 의학의 조합으로 활용될 수도 있습니다. 이 기사에서는 SPID가 있는 가장 흔한 한의학 증후군(습윤, 열 정체 유형) 환자를 예로 들어 경혈 캣거트 삽입 절차에 대한 자세한 시연을 제공합니다.

프로토콜

이 연구의 모든 절차는 임상시험 등록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청두 중의과대학 부속병원 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았습니다(출원 번호 2021KL-004). 이 연구에 참여한 모든 환자는 임상시험 기간 동안 연구자의 데이터, 이미지 및 관련 비디오 촬영 사용에 대해 정보에 입각한 동의를 제공했습니다.

1. 수술 전 준비 사항

  1. 포함 기준을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서양 의학에서 골반 염증성 질환 8,9 및 중국 전통 의학에서 축축한 열 정체 증후군 유형에 대한 진단 기준을 충족하는 환자10, 20-25세 환자를 포함합니다.
  2. 다음 제외 기준을 설정하십시오 : 골반 통증 또는 하복부 통증의 다른 원인; 임신, 수유 또는 지난 6개월 이내에 임신을 준비하고 있는 경우; 치료를 견딜 수 없게 만드는 심장, 간, 신장 및 조혈계에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상태; 협력할 능력이 없거나 협력할 의사가 없음; 알레르기 또는 켈로이드 형성이 발생하기 쉬운 개인; 지난 달에 유사한 약물 또는 물리적 치료의 병력.
  3. 멸균 장갑, 일회용 캣거트 매립 바늘, 일회용 실 매매 키트(치료 트레이, 멸균 거즈, 멸균 면봉, 요오드포 면봉, 핀셋, "0" 캣거트, 의료용 패치; 그림 1).
  4. 환자에게 등을 대고 누워서 긴장을 풀고 복부와 하지를 완전히 노출시키도록 요청합니다.
  5. 대상 경혈 위치의 피부 상태를 확인하고 이상이 없으면 시술을 진행합니다.
    알림: 경혈 피부에 감염, 궤양 또는 흉터가 있는 환자는 매삽입을 받아서는 안 됩니다. 환자가 극도로 배고프거나 피곤하거나 상당한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경우 즉시 시술을 받아서는 안 됩니다. 월경 중인 환자에게 시술을 하지 마십시오.
  6. 의사가 정기적인 손 소독을 수행하고 멸균 장갑을 착용하도록 하십시오.
  7. 일회용 실 매립 바늘의 코어와 바늘 튜브가 매끄럽게 일치하는지 확인하십시오(그림 2A).
  8. 오른손에 핀셋을 잡고 캣거트를 바늘 튜브에 넣습니다(그림 2B).
    알림: 캣거트는 니들 튜브에 완전히 삽입되어야 합니다.

2. 운영 단계

  1. 다음 경혈(국제 코드)을 선택하십시오: Zhongji(RN3), Guanyuan(RN4), Qihai(RN6), Guilai(ST29), Zigong(EX-CA1), Xueha(SP10), Zusanl(ST36), Yinlingquan(SP9) 및 Sanyinjiao(SP6; 그림 3).
  2. 바늘 삽입
    1. 왼손으로 바늘 삽입 부위의 피부를 조이고 오른손의 엄지, 검지, 중지로 바늘 튜브를 끼웁니다.
    2. 바늘을 피부에 대해 90° 각도로 아래쪽으로 빠르게 삽입합니다(그림 2C,D).
    3. 환자가 통증, 무감각, 복부 팽만감과 같은 기(바늘 감각)를 경험하면 바늘 삽입을 중지하고 바늘 코어를 밀어 바늘 튜브를 빼내어 고양이 창자가 기를 받는 영역에 남겨 둡니다.
  3. 바늘 추출 : 왼손으로 경혈의 피부를 누르고 오른손으로 바늘 코어와 배럴을 빼냅니다.
    알림: 캣거트 실은 완전히 피내 상태여야 하며 피하 상태로 두거나 피하 주사 외부로 노출되어서는 안 됩니다.
  4. 멸균된 마른 면봉으로 바늘 구멍을 30초 동안 압박하고 바늘 구멍에 2일 동안 의료용 도포를 합니다.

3. 캣거트 삽입 후 주의사항

  1. 임베디드 사이트가 처음 48시간 이내에 물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십시오.
  2. 시술 후 7일 동안 환자에게 격렬한 신체 활동, 특히 실이 박힌 부위 주변을 피하도록 조언하십시오.

4. 부작용 및 관리

  1. 환자의 불편함
    1. 통증이 있습니다
      1. 통증은 흔한 부작용이며11 통증은 5-7일 후에 대부분 사라진다고 환자에게 조언한다.
      2. 시술 중에는 가는 실이 박힌 바늘과 캣거트 본체를 사용하십시오.
      3. 통증에 민감하고 알려진 금기 사항이 없는 환자를 위해 수술 전 경구용 진통제를 고려한다11; 필요한 경우 캣굿을 삽입하기 전에 리도카인으로 국소 마취를 투여합니다12.
    2. 바늘 관련 실신
      알림: 이것은 경혈 캣굿 삽입 치료 중 현기증, 시야 흐림, 심계항진, 메스꺼움, 심지어 실신이 갑자기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1. 환자가 기절하면 즉시 캣거트 매립을 중단하고 환자의 활력 징후를 관찰하십시오. 경미한 경우에는 환자에게 잠시 누워 있으면서 따뜻한 물이나 설탕이 든 음료를 마시게 한다. 증상이 완화되지 않는 경우에는 현대적인 응급 처치 방법을 사용하십시오.
    3. 출혈 또는 국소 혈종
      1. 매복 부위에 수술 후 출혈이 발생한 경우에는 국소 부위에 마른 면봉으로 부드러운 압력을 가하여 출혈을 멈춥니다.
      2. 혈종이 형성되면 24시간 이내에 냉찜질을 하고 24시간 후에 온찜질을 하여 혈종 흡수를 촉진합니다.
        참고: 출혈이 지속되거나 상당한 경우 혈관 손상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외과적 개입이 필요합니다.
  2. Catgut 신체 거부 반응
    1. 발열
      참고: 모든 열은 일반적으로 1주일 이내에 사라집니다.
      1. 환자에게 물을 많이 마시도록 지시하십시오. 지속적인 열은 신체 냉각 또는 경구용 해열제로 치료하십시오.
      2. 장기간 고열이 발생하면 외과 전문의가 즉시 냉각하고 내장된 고양이 창자를 제거하도록 하십시오.
    2. 알레르기 반응
      1. 국소 발적, 발진 및 가려움증과 같은 알레르기 증상을 찾으십시오. 알레르기 관리를 위해 항히스타민제(예: 클로르페니라민 말레산염, 세티리진, 로라타딘) 또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예: 덱사메타손)를 제공하고 필요한 경우 몸에 박힌 고양이 창자를 제거합니다.
    3. 결절 또는 종괴
      1. 작은 결절은 일반적으로 저절로 해결됩니다. 국소적으로 단단한 덩어리의 경우, 뜸과 경혈 주사와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13.
    4. 스레드 오버플로
      1. 돌출된 catgut를 자르거나 추출한 다음 다시 포함하여 스레드 오버플로를 관리합니다.
    5. 감염
      1. 캣굿 삽입 후 처음 5일 동안은 국소 부위에 다양한 정도의 염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매립 부위에 과도한 분비물이 나오거나 화농성 변화의 징후가 있는 경우에는 감염 관리를 위해 항생제로 치료합니다. 필요한 경우 외과적 개입을 받으십시오.

5. 관찰 지표

  1. 임상적 유효성 평가14
    1. 회복을 골반 통증과 같은 모든 관련 증상 및 징후의 개선으로 정의하며 점수는 ≥95% 감소합니다.
    2. 유의한 효과를 70% ≤ 점수 감소 < 95%로 정의합니다.
    3. 점수 감소< 30%≤ 70%인 경우 치료가 효과적이라고 생각합니다.
    4. 점수 감소가 <30%인 경우 처리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합니다.
  2. 단순화된 McGill Pain Scale(SF-MPQ)15 을 사용하여 치료 전후의 통증 감정과 중증도를 평가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통증이 더 심함을 나타냅니다.
  3.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Damp Heat Stasis Syndrome Scale을 사용하여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Syndrome16을 점수화합니다. 점수가 높을수록 증상이 더 심각합니다.
  4. 골반 신체 징후 척도17을 사용하여 치료 전후에 복부 압통 또는 반동 통증, 자궁 압통, 목 상승 및 스윙 통증, 부속 압통을 평가합니다. 점수가 높을수록 골반 통증이 더 심합니다.
  5. 세계보건기구(WHOQOL) - BREF 척도18 을 사용하여 환자의 생존의 질을 평가하고 도메인 점수를 긍정적으로 계산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좋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6. 통계 분석

  1. 정규 분포를 따르는 측정 데이터를 평균 ± 표준 편차(SD)로 표현합니다.
  2. 그룹 비교에는 독립 표본 t-검정을 사용하고 처리 전과 후의 비교에는 쌍체 표본 t-검정을 사용합니다.
  3. 정규 분포를 따르지 않는 데이터를 M(25%,75%)으로 표현합니다.
  4. rank-sum test를 사용하여 그룹 비교를 수행하고 쌍체 rank-sum test를 사용하여 치료 전과 후를 비교합니다.
  5. 개수 또는 순서 데이터를 구성 요소 비율로 표현합니다.
  6. Fisher의 정확 확률 방법 또는 카이제곱 검정을 사용하여 그룹 비교를 수행합니다.
  7. 사전 및 사후 관리를 위해 대응 설계 t-검정을 사용합니다. α= 0.05로 양측 가설 검정을 수행합니다. P < 0.05가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가정합니다.

결과

이 임상 연구에서는 총 88명의 참가자가 처음에 등록되었으며 8명의 사례가 중도탈락했습니다(치료군에서 4명, 다른 치료군에서 4명). 나머지 80명의 참가자는 난수 표를 사용하여 치료군과 대조군으로 나뉘었고 각 그룹에는 40명의 참가자가 있었습니다. 치료 과정에는 10일에 한 번씩 캣거트 삽입을 포함하고, 월경 기간을 피하고, 3개월 동안 연속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포함되었습니다. 치료군의 환...

토론

고대 한의학서에는 만성 골반통에 대한 기록이 없으며, 증상 특성에 따라 '복통', '여성의 복통', '생리 복통'과 같은 질병과 상호 언급 할 수 있습니다. 한의학 이론에 따르면 혈관이 열려 있을 때 부적절한 관리는 습기와 악열과 같은 병원성 요인의 침입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자궁과 자궁 통로에 정체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병원성 요인과 건강한 에너지 사이의 투쟁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

공개

저자는 이해 상충이 없다고 선언합니다.

감사의 말

저자는 웬 이(Wen Yi) 박사와 청두 중국 전통 의학 대학(Chengdu Universit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병원 산부인과 의료진에게 도움을 준 것에 대해 감사를 표한다.

자료

NameCompanyCatalog NumberComments
disposable catgut embedding needlesYangzhou Junbang Technology Development Co., Ltd20212200112
disposable thread embedding kitShangdong Weigao Ruixin Medical Technology Co.,Ltd.20182140148
SPSS26.0 statistical analysis software 
sterile glovesFitone Latex Products Co.,Ltd Guangdong.20172140158

참고문헌

  1. Lamvu, G., Carrillo, J., Ouyang, C., Rapkin, A. Chronic pelvic pain in women: a review. JAMA. 325 (23), 2381-2391 (2021).
  2. Li, W. J., et al. Analysis of the causes and incidence of CPP [J]. China Medical Herald. 9 (35), 142 (2012).
  3. Chao, M. T., et al. Prevalence and use of complementary health approaches among women with chronic pelvic pain in a prospective cohort study. Pain Med. 16 (2), 328-340 (2015).
  4. Magariños, L. M., et al. Psychological profile in women with chronic pelvic pain. J Clin Med. 11 (21), 6345 (2022).
  5. Chen, T., Zhang, W. W., Chu, Y. X., Wang, Y. Q. Acupuncture for pain management: molecular mechanisms of action. Am J Chin Med. 48 (4), 793-811 (2020).
  6. Zhao, Z. Q., et al. Neural mechanism underlying acupuncture analgesia. Prog Neurobiol. 85 (4), 355-375 (2008).
  7. Arentz, S., Smith, C., Redmond, R., Abbott, J., Armour, M. A cross-sectional stud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practitioner's knowledge, treatment strategies and integration of practice of chronic pelvic pain in women. BMC Complement Med Ther. 21 (1), 174 (2021).
  8. Campos, O. D. 2021 CDC guidelines on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J Fam Pract. 70 (10), 506-509 (2021).
  9. Xie, X., Kong, B. H., Duan, T. . Obstetrics and Gynecology [M]. , (2018).
  10. Luo, S. P.,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pelvic inflammatory disease with Chinese medicine alone/combined with antibiotics[C]//2017 19th Annual Meeting of the Chinese Association for Science and Technology. Chinese Association for Science and Technology. , (2017).
  11. Xu, M., et al. Adverse effects associated with acupuncture therapies: An evidence mapping from 535 systematic reviews. Chin Med. 18 (1), 38 (2023).
  12. Yang, C. D., Yu, L. Z. The role of appropriate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echniques from rapid recovery surgery to rapid recovery medicine, suturing and acupuncture in ERAD. Chinese Modern Distance Educatio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15 (12), 116-119 (2017).
  13. Liu, J., et al. Adverse reactions and treatment of buried thread therapy [J]. Zhongguo Zhen Jiu. 36 (11), 1166-1168 (2016).
  14. Zheng, X. Y. . Guiding principles for clinical research of new traditional Chinese medicines [M]. , (2002).
  15. Li, H. T., Huang, Y. Use the simplified McGill scale to evaluate the effect of Bo's abdominal acupuncture on pain in the head, body and limbs[J]. Chinese General Medicine. (18), 1540-1541 (2005).
  16. Ying, H. Q., et al. Clinical study on the treatment of chronic pelvic inflammatory disease of damp-heat and blood stasis type by external applicatio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ake and paraffin mud combined with heat-clearing and blood-activating enema and retention enema[J]. New Chinese Medicine. 53 (10), 139-142 (2021).
  17. Luo, M., He, X., Wei, Y. Investigation on the etiology, diagnosis and treatment status of sequelae of pelvic inflammatory disease in Chongqing [J]. Chongqing Medicine. 41 (3), 281-282 (2012).
  18. Skevington, S. M., Lotfy, M., O'Connell, K. A. WHOQOL Group.The World Health Organization's WHOQOL-BREF quality of life assessment: psychometric properties and results of the international field trial. A report from the WHOQOL group. Qual Life Res. 13 (2), 299-310 (2004).
  19. Park, H. J., et al. A comparison between directional and proportional methods in locating acupuncture points using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in Korean women. American Journal of Chinese Medicine. 34 (5), 749-757 (2006).
  20. ACOG. Chronic Pelvic Pain: ACOG Practice Bulletin, Number 218. Obstet Gynecol. 135 (3), e98-e109 (2020).
  21. Lin, K. Y., et al. Analgesic efficacy of acupuncture on chronic pelvic pain: a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study. Healthcare (Basel). 11 (6), 830 (2023).
  22. Wang, X., et al. Evidence for the role of mast cells in cystitis-associated lower urinary tract dysfunction: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the study of chronic pelvic pain research network animal model study [J]). PLoS One. 11 (12), e0168772 (2016).
  23. Supajatura, V., et al. Differential responses of mast cell Toll-like receptors 2 and 4 in allergy and innate immunity [J]. J Clin Invest. 109 (10), 1351-1359 (2002).
  24. Zhang, M., et al. Single-cell multi-omics analysis presents the landscape of peripheral blood T-cell subsets in human chronic prostatitis/chronic pelvic pain syndrome [J]. J Cell Mol Med. 24 (23), 14099-14109 (2020).
  25. Vickers, A. J. Acupuncture for chronic pain: update of an individual patient data meta-analysis. J Pain. 19 (5), 455-474 (2018).
  26. Hu, J., Li, J. B., Sheng, Y., Xu, B. Professor SHENG Can-ruo's experience of acupuncture for chronic pelvic pain of sequelae of pelvic inflammatory diseases. Zhongguo Zhen Jiu. 42 (10), 1155-1158 (2022).
  27. Lee, I. S., Cheon, S., Park, J. Y. Central and peripheral mechanism of acupuncture analgesia on visceral pain: a systematic review.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9, 1304152 (2019).
  28. Du, K., Wang, X., Chi, L., Li, W. Role of sigma-1 receptor/p38 MAPK inhibition in acupoint catgut embedding-mediated analgesic effects in complete Freund's adjuvant-induced inflammatory pain. Anesth Analg. 125 (2), 662-669 (2017).
  29. Yang, F. X., et al. The efficacy of acupuncture at Bahui point in the treatment of chronic fatigue syndrome and its impact on the immune function of patients [J]. Chinese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8 (09), 1904-1905 (2010).
  30. Wang, Q. C., Chen, Y. M., Jia, M. J., Zhai, H. L. Efficacy observation of chronic pelvic inflammation of different differentiated patterns/syndromes treated with acupoint embedding therapy. Zhongguo Zhen Jiu. 32 (12), 1081-1083 (2012).
  31. Huang, G.,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the cost of chronic pelvic pain in women. J Obstet Gynaecol Can. 44 (3), 286-293 (2022).
  32. Wang, X. L., et al. Analysis of adverse reactions of acupoint catgut embedding therapy. Zhongguo Zhen Jiu. 40 (2), 193-196 (2020).
  33. Xue, H. Q., Ma, L., Zhang, Y. Q., Shi, X. H. Analysis of the selection pattern of acupuncture points for chronic pelvic pain in the sequelae of pelvic inflammatory diseases [J]. Guangming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38 (15), 2950-2953 (2023).
  34. Wu, X. L., et al.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on pain threshold and expression of pain-related factors cyclooxygenase-2, prostaglandin E2 and β-endorphin in rats with chronic pelvic pain syndrome. Zhen Ci Yan Jiu. 47 (6), 531-536 (2022).
  35. Liu, Y. H., et al. Acupuncture combined with western medication on chronic pelvic pain after pelvic inflammatory disease: a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Zhongguo Zhen Jiu. 41 (1), 31-35 (2021).
  36. Xiang, D. F., Sun, Q. Z., Liang, X. F. Effect of abdominal acupuncture on pain of pelvic cavity in patients with endometriosis. Zhongguo Zhen Jiu. 31 (2), 113-116 (2011).

재인쇄 및 허가

JoVE'article의 텍스트 или 그림을 다시 사용하시려면 허가 살펴보기

허가 살펴보기

더 많은 기사 탐색

This article has been published

Video Coming Soon

JoVE Logo

개인 정보 보호

이용 약관

정책

연구

교육

JoVE 소개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