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VE 비디오를 활용하시려면 도서관을 통한 기관 구독이 필요합니다. 전체 비디오를 보시려면 로그인하거나 무료 트라이얼을 시작하세요.
이 기사에서는 혈관면역모세포 림프종에서 Sanger 염기서열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저주파 검출 방법의 적용을 소개합니다. 이 방법을 다른 질병에 적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합니다.
종양 치료 후 최소 잔류 질환(MRD)을 모니터링할 때 약물 내성 돌연변이 및 치료 중 순환 종양 세포 돌연변이를 검출할 때보다 검출 하한에 대한 요구 사항이 더 높습니다. 기존의 Sanger 염기서열분석은 5%-20%의 야생형 돌연변이 검출이 가능하므로 검출 한계가 해당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없습니다. 이를 극복하는 것으로 보고된 야생형 차단 기술에는 BDA(blocker displacement amplification), LNA(Non-extendable locked nucleic acid), HSSP(hot-spot-specific probe)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특정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서열을 사용하여 야생형을 차단하거나 야생형을 인식한 다음 이를 다른 방법과 결합하여 야생형 증폭을 방지하고 돌연변이 증폭을 증폭하여 높은 감도, 유연성 및 편의성과 같은 특성을 제공합니다. 이 프로토콜은 RHOA G17V 저주파 체세포 돌연변이의 검출을 최적화하기 위해 Sanger 염기서열분석과 결합된 야생형 차단 PCR인 BDA를 사용하며, 검출 민감도는 0.5%에 도달할 수 있으며, 이는 혈관면역모세포 T세포 림프종의 MRD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최소 잔류 질환(MRD)은 치료 후에도 체내에 여전히 존재하는 소수의 암세포입니다. 수가 적기 때문에 신체적 징후나 증상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현미경 시각화 및/또는 혈액 내 비정상적인 혈청 단백질 추적과 같은 기존 방법으로는 감지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MRD 양성 검사 결과는 잔류 질환 세포의 존재를 나타냅니다. 음성 결과는 잔류 병든 세포가 없음을 의미합니다. 암 치료 후에는 체내에 남아 있는 암세포가 활성화되어 증식하기 시작하여 질병이 재발할 수 있습니다. MRD를 검출하는 것은 치료가 완전히 효과적이지 않았거나 치료가 불완전했음을 나타냅니다. 치료 후 MRD 양성 결과가 나오는 또 다른 이유는 모든 암세포가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암세포가 사용된 약물에 내성을 갖게 되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1.
혈관면역모세포 T세포 림프종(AITL)은 T 소낭선 보조세포에서 유래한 말초 T세포 림프종(PTCL)의 아형이다2; 가장 흔한 유형의 T 세포 림프종으로 PTCL3의 약 15%-20%를 차지합니다. 림프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악성 종양의 그룹입니다. 기원 세포는 여포 T 도우미 세포입니다. 2016년 WHO는 이 질환을 혈관면역모세포 T세포 림프종4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2022년 WHO는 이를 결절 T-여포 보조 세포 림프종, 혈관면역모세포형(nTFHL-AI)으로 이름을 변경했으며, 달리 명시되지 않은 결절 T-여포 보조세포 림프종(nTFHL-NOS)과 함께 결절 여포 보조세포 림프종(nTFHL-NOS)으로 이름을 변경했으며, 통칭하여 결절성 여포 보조세포 T 세포 림프종(nTFHL)이라고 합니다. 이는 중요한 임상적 및 면역표현형 특징과 유사한 T follicular helper (TFH) 유전자 발현 시그니처 및 돌연변이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습니다. 유전적으로 nTFHL-AI는 TET2 및 DNMT3A 돌연변이를 통해 초기 조혈모세포에서 체세포 돌연변이가 점진적으로 획득되는 것이 특징이며, RHOA 및 IDH2 돌연변이는 TFH 종양 세포에도 존재한다5. 여러 연구에 따르면 RHOA G17V 돌연변이는 AITL 환자의 50%-80%에서 발생합니다 6,7,8,9. RHOA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 RHOA 단백질은 구아노신 삼인산(GTP) 결합에 의해 활성화되고 구아노신 이인산(GDP) 결합에 의해 비활성화됩니다. 활성화되면 다양한 효과기 단백질에 결합하고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생리학적으로 RHOA는 T세포 이동과 극성을 매개하고, 흉선세포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pre-T세포 수용체(pre-TCR) 신호전달의 활성화를 매개한다10. RHOA G17V 돌연변이는 림프종 발병기전을 주도하는 역할을 하는 기능 상실 돌연변이입니다11. 저주파 돌연변이의 검출은 AITL의 MRD 모니터링에 도움이 됩니다.
Sanger 염기서열분석은 알려진 돌연변이와 알려지지 않은 돌연변이의 검출을 위한 황금 표준으로 40년 이상 사용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검출 한계는 5%-20%에 불과하여 저주파 돌연변이 검출에 대한 적용을 제한합니다12,13. Sanger 염기서열분석에서는 기존 PCR을 와일드 블로킹 기술인 BDA로 대체하여 검출 민감도를 0.1%로 낮출 수 있다14. BDA 기술은 주로 기존 프라이머를 설계할 때 돌연변이형에 보완적인 미스매치 프라이머를 추가하여 야생형과 경쟁하도록 함으로써 돌연변이형을 증폭시키는 목적을 달성합니다. 프라이머 설계의 핵심은 미스매치 프라이머와 말단 수정입니다. 동시에 DNA의 구조 원리에 따라 두 프라이머의 Gibbs 자유 에너지 차이는 0.8kcal/mol과 5kcal/mol 사이입니다. 이 기술의 또 다른 중요한 단계는 야생형과 차단 프라이머14,15의 비율을 조정하여 야생형 증폭을 억제하는 것입니다.
현재 일반적인 저빈도 체세포 돌연변이 검출 기술로는 난치프라이머를 이용하여 SNP의 유전형 분석에 사용되는 PCR 기반 대립유전자 특이적 PCR(대립유전자 특이적 중합효소연쇄반응, ASPCR), 증폭불응성 돌연변이 시스템 PCR(증폭-불응성 돌연변이 시스템-PCR, ARMS-PCR) 등이 있습니다. 돌연변이 및 정상 대립유전자에 대한 프라이머를 설계하면 선택적 증폭 및 디지털 PCR(Droplet Digital PCR, ddPCR)이 가능하며, 이는 물-오일 에멀젼 액적 기술16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PCR을 수행하는 방법입니다. 샘플은 20,000개의 액적으로 분류되고 각 액적에 대해 템플릿 분자의 PCR 증폭은 1 x 10-5의 감도로 수행됩니다. 차단제 변위 증폭(BDA)은 고도로 다중화된 환경에서 0.01% VAF까지 SNV 및 indels의 정확한 검출 및 정량화에 사용되는 PCR 기반 희귀 대립유전자 농축 방법이기도 합니다. 고정 핵산 기술(Non-extendable locked nucleic acid, LNA)은 리보스 고리가 Watson-Crick 결합을 위한 이상적인 형태로 고정되어 있는 고친화성 RNA 유사체의 한 종류입니다. 핫스팟 특이적 프로브(Hot-Spot-Specific Probe, HSSP)는 타겟 프라이머 염기서열과 겹치고, 단일 돌연변이를 포함하며, qPCR14,16,17,18에 의한 증폭을 방지하기 위해 C3' 말단에서 C3 스페이서로 변형됩니다. 염기서열에 돌연변이가 존재하면 HSSP는 경쟁적으로 표적 돌연변이에 부착하고 프라이머가 표적 돌연변이 염기서열에 결합하는 것을 방지하여 염기서열 증폭을 중단합니다. NGS(차세대 염기서열분석) 기반 면역글로불린 고처리량 염기서열분석(igHTS) 심층 염기서열분석(CAAP-seq)에 의한 암 맞춤형 프로파일링은 암세포의 순환 DNA를 정량화하는 데 사용되는 차세대 염기서열분석 기반 방법입니다(민감도는 1 x 10-4). 등. 그 중 대부분의 방법은 PCR을 기반으로 하여 소수의 돌연변이 부위만 검출할 수 있으며, NGS 기반 방법은 여러 부위를 검출할 수 있지만 비용이 많이 들고 과정이 복잡합니다 14,16,17,18. qPCR을 기반으로 한 RHOA G17V 저주파 돌연변이 검출에 대한 보고가 있었지만 검출 한계는 약 2%에 불과합니다19. Sanger 염기서열분석을 기반으로 한 RHOA G17V 저주파 돌연변이 검출에 대한 보고는 없습니다. 여기에서는 RHOA G17V 저주파 체세포 돌연변이의 검출을 최적화하기 위해 Sanger 염기서열분석과 결합된 야생형 블록 PCR인 BDA에 의해 달성된 감도 증가를 보여주며 검출 민감도는 0.5%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IDH2 및 JAK1에 대한 추가 데이터도 제공됩니다.
이 기사에서는 Sanger 염기서열분석에 의한 RHOA G17V 저주파 검출 체계에 대한 자세한 프로토콜을 제공하고 Sanger 염기서열분석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더 낮은 주파수 돌연변이 검출 개발을 위한 참조를 제공합니다. 이 방법은 종양에서 가능한 약물 내성 돌연변이와 최소 잔류물을 검출하고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연구는 Yongzhou Central Hospital의 의료 윤리 검토 위원회(승인 번호: 2024022601)의 승인을 받았습니다. 참가자들은 정보에 입각한 동의를 제공했습니다.
1. 프라이머 디자인
2. 시료 전처리 및 DNA 추출
참고: 실험적 검증 샘플은 모두 인간 림프종 환자의 말초 혈액, 골수 또는 고형 종양 샘플에서 채취한 것입니다. 양성 샘플은 10개였으며 3개는 고형 종양 샘플, 4개는 골수 샘플, 3개는 말초 혈액 샘플이었습니다. 건강한 사람들로부터의 30개의 음성 샘플이 있습니다.
3. PCR 증폭
4. 정제 후 PCR 산물의 염기서열분석
테스트 샘플의 염기서열을 참조 염기서열과 비교하여 테스트 샘플의 돌연변이 상태를 얻습니다. BDA 기반 WBT-PCR 기술은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 프라이머의 증폭 간격에서 알려진 RHOA G17V 돌연변이 및 기타 저주파 돌연변이를 검출할 수 있습니다. 그림 1을 참조하십시오. 두 개의 추가 유전자, 즉 IDH2 및 JAK1도 이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
이 기사에서 설명하는 BDA 기술을 기반으로 한 WTB-PCR은 기존 프라이머를 설계할 때 돌연변이형을 보완하는 불일치 프라이머를 도입하여 야생형과 경쟁하고, 야생형을 억제하고, 돌연변이 산물을 증폭합니다. 그런 다음 돌연변이 분석을 위해 WTB-PCR 산물의 염기서열을 분석했습니다. WTB-PCR/Sanger의 유용성은 단순성과 높은 감도입니다. 이 논문에서 확립된 검출 체계에 따르?...
저자는 밝힐 것이 없습니다.
이 연구는 Kindstar Global Corporation의 재정적 지원과 분자 생물학 연구소의 리더 및 관련 동료들의 도움으로 완료되었습니다. 지원과 도움을 주신 회사, 리더 및 관련 동료들에게 감사드립니다. 이 기사는 과학 연구용으로만 사용되며 상업적 활동을 구성하지 않습니다.
Name | Company | Catalog Number | Comments |
Automatic DNA extractor | 9001301 | Qiagen | |
DNA nucleic acid detector | Q32854 | Thermo fisher | |
PCR amplification kit | P4600 | merck | |
PCR instrument | C1000 Touch | Biorad | |
proteinase K solution | D3001-2-A | zymo research | |
proteinase K storage buffer | D3001-2-C | zymo research | |
Sequencing amplification enzyme kit | P7670-FIN | Qiagen |
JoVE'article의 텍스트 или 그림을 다시 사용하시려면 허가 살펴보기
허가 살펴보기This article has been published
Video Coming Soon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