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JoVE 비디오를 활용하시려면 도서관을 통한 기관 구독이 필요합니다. 전체 비디오를 보시려면 로그인하거나 무료 트라이얼을 시작하세요.

기사 소개

  • 요약
  • 초록
  • 서문
  • 프로토콜
  • 결과
  • 토론
  • 공개
  • 감사의 말
  • 자료
  • 참고문헌
  • 재인쇄 및 허가

요약

간질의 예기치 않은 돌연사(SUDEP)의 메커니즘은 이해가 부족하고 현재 모델에서 해석하기 어렵습니다. 형질전환 토끼는 이러한 메커니즘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사건을 평가하기 위해 형질전환 토끼 키트에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뇌파 및 심전도 기록 방법을 설명합니다.

초록

이온 채널 유전자의 병원성 변이체는 간질의 높은 돌연사(SUDEP)와 관련이 있습니다. SUDEP의 기전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발작 외에도 자율신경 기능 장애 및 심장 부정맥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일부 이온 채널 유전자는 뇌와 심장 모두에서 발현되어 간질 및 심장 부정맥과 관련된 이온 채널 병증이 있는 환자에서 SUDEP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간질 변이체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토끼는 SUDEP의 복잡한 생리학을 연구하기 위한 전체 유기체를 제공합니다. 중요한 것은 토끼가 쥐 모델보다 인간의 심장 생리학을 더 밀접하게 복제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토끼 모델은 침습적 모니터링 절차를 거칠 때 추가적인 건강 및 마취 고려 사항이 있습니다. 당사는 신생아 토끼 키트에 장기 동시 뇌파(EEG) 및 심전도(ECG) 모니터링을 위한 원격 측정 장치를 외과적으로 이식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습니다. 여기에서는 P14(체중 범위 175-250g) 키트에 원격 측정 장치를 이식하는 수술 방법을 시연하고 수술 접근 방식, 적절한 마취 및 모니터링, 수술 후 관리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합병증 발생률을 낮추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유전적 또는 후천성 간질의 토끼 모델에서 심장 부정맥, 발작 및 잠재적 SUDEP의 발병의 중요한 시점 동안 신경 및 심장 전기 생리학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서문

간질로 인한 예기치 않은 돌연사(SUDEP)는 간질 환자의 주요 사망 원인입니다. SUDEP의 기전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발작 외에도 자율신경 기능 장애, 무호흡증, 심장 부정맥 등이 있을 수 있다 1,2,3,4,5,6,7. 채널병증 관련 유전성 간질이 있는 환자는 SUDEP 발병률이 가장 높습니다. 예를 들어, SUDEP는 생후 1년에 발병하는 유전적 간질인 드라벳 증후군(Dravet syndrome)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인 전위의존성 나트륨 채널 유전자 SCN1A8의 변이를 가진 환자의 최대 20%에서 발생합니다. 많은 간질 관련 이온 채널 유전자가 뇌와 심장 모두에서 발현되며, 실험실 및 임상 데이터에 따르면 채널병증 관련 유전 간질환자에서 심장 부정맥이 존재할 수 있으며, 7, 9,10,11,12 발작으로 인한 치명적인 심장 부정맥 또는 발작 및 부정맥의 동시 발생으로 인해 SUDEP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실험실 환경에서 SUDEP를 평가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심장의 관점에서 볼 때, 생쥐의 심장 활동 전위는 인간과 매우 다르며13 인간 iPSC-심장 근세포 모델14은 전체 유기체의 복잡성을 복제할 수 없습니다. 유전적 간질의 형질전환 토끼 모델은 토끼 심장 생리학이 인간의 심장 생리학을 더 밀접하게 복제하기 때문에 SUDEP를 연구하기 위한 이상적인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13,15 동시에 복잡한 병태 생리학을 연구하기 위한 전체 유기체를 제공합니다. SUDEP는 첫 번째 발작이 일어날수록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발작과 심장 부정맥의 발병을 이해하는 것은 초기부터 이러한 동물 모델을 평가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신생아 기간 동안의 비디오 녹화는 토끼 새끼가 아직 둥지에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어렵습니다. 키트가 댐에 있는 동안에는 기존 유선 시스템을 사용한 연속 뇌파(EEG) 또는 심전도(ECG) 기록이 불가능합니다. 간헐적 기록은 SUDEP와 관련된 드문 터미널 이벤트를 캡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토끼 키트에서 장기적이고 연속적인 동시 EEG 및 ECG 기록을 제공하기 위해 무선 이식형 원격 측정 모니터링으로 전환했습니다.

이 프로토콜의 성공 열쇠는 이러한 취약한 동물에 대한 적절한 마취 및 수술 후 지원입니다. 토끼는 독특한 해부학적, 생리학적 특성으로 인해 개와 고양이(0.17%-0.24%)에 비해 마취로 인한 사망 위험(1.39%-4.8%)이 훨씬 높다16,17. 이러한 마취 위험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는 차선의 기도 관리와 급성 수술 후 합병증이 있습니다. 토끼의 삽관이 어려운 데는 혀가 넓고 길고 좁은 입, 입과 후두 사이의 예각, 후두개의 등쪽 변위, 후두 외상에 대한 감수성 증가, 후두 경련 경향 증가 등 여러 요인이 있습니다 18,19,20. 즉각적인 마취 에피소드 후 토끼는 생명을 위협하는 위장 정체 증후군에 걸릴 위험이 있습니다. 이것은 복잡하고 복합적인 문제이며, 마취는 어떤 이유로든 (완화되지 않는 통증, 메스꺼움 등) 시술 후 위 운동을 억제하는 직접적인 약물 효과 및/또는 이차성 거식증을 통해 기여하는 것으로 가정됩니다.21.

토끼 신생아와 유아의 독특한 생리학은 마취 및 수술과 관련된 문제를 복잡하게 만듭니다. 토끼는 생리적 항상성과 특별한 해부학적 고려 사항에 대한 덜 발달된 메커니즘을 가지고 태어났습니다. 대부분의 상용 제품은 네덜란드 벨트 및 뉴질랜드 화이트 크로스 토끼 키트의 작은 혈관 크기, 높은 안정시 심박수 및 색소 피부에 최적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정맥 주사 및 모니터링이 어렵습니다. 신생아에서 심박출량은 본질적으로 심박수에 의존하며22 일반적으로 신장 또는 간 경로를 통한 약물 제거가 성인에 비해 감소하기 때문에23 적절한 약물 선택 및 복용량에 대한 고려가 중요합니다. 토끼의 마취 사망의 주요 원인은 호흡 억제와 무호흡증에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모든 토끼에서 이미 논의된 기도 관리 문제 외에도, 신생아는 저산소혈증과 고탄산증에 직면하여 호흡 욕구가 저하되어 이미 어려운 마취 측면을 더욱 위험하게 만듭니다24.

이 프로토콜에서는 수술 및 마취 생존율이 높은 간질의 신생아 토끼 모델에서 EEG 및 ECG 원격 측정 임플란트(그림 1)에 대한 성공적인 방법을 설명합니다. 이 정보를 통해 다른 연구자들은 간질, 심장 부정맥 및 관련 신경 발달 장애에 대한 연구를 진전시키기 위해 까다로운 신생아 토끼 모델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프로토콜

설명된 모든 작업은 승인된 동물 사용 프로토콜의 일부로 University of Michigan 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에서 검토 및 승인했으며 USDA 동물 복지법 및 NIH 공중 보건 서비스 정책을 포함한 관련 연방법 및 지침을 준수합니다. University of Michigan은 AAALACi 인증 기관입니다.

1. 동물 준비

  1. 수술 1-2일 전에 거친 면도 키트(연령 P14-P19, 체중 >175g)를 사용하여 수술 당일 마취 시간을 최소화합니다.
  2. 시술을 준비하기 위해 모든 수술 도구와 재료(가능한 경우)를 오토클레이브 또는 가스 멸균합니다.
  3. 케타민(10mg/kg IM), 부프레노르핀 HCl(0.01mg/kg IM) 0.03mg/mL로 희석한 0.3mg/mL, 비재호흡 회로를 사용하여 마스크 마취를 통한 세보플루란 및 산소로 마취를 유도합니다.
  4. 26G 3/4" 정맥(IV) 카테터를 귓바퀴 정맥(선호) 또는 두부 정맥에 놓고 헤파린 처리된 식염수 10단위/mL로 플러시합니다.
  5. #40 또는 #50 면도날을 사용하여 복부, 가슴, 등, 목, 머리를 가능한 한 피부에 가깝게 면도합니다.
  6. 각막 궤양을 예방하기 위해 비약용 윤활 안과 연고를 바르십시오.
  7. 진통제(카프로펜 4mg/kg SQ - 25mg/mL로 희석) 및 수술 전후 항생제(세파졸린 20mg/kg IV를 50mg/mL로 희석)를 투여합니다. 수술 시간 90-180분마다 항생제를 재투여합니다.

2. 수술 준비(그림 2)

  1. 마취된 키트를 수술대에 옮기고 직장 온도계를 통해 제어되는 적외선 발열 패드에 앙와위 위에 놓습니다.
  2. 비재호흡 Jackson-Rees 회로(0.5L 백)에 회전 커넥터로 연결된 맞춤형 3D 프린팅 안면 마스크에 코와 입을 놓고 2L/min의 산소 흐름으로 세보플루란 마취(1.5%-7% 효과)를 유지합니다.
  3. 세보플루란(sevoflurane)으로 마취를 유지하고 귀나 발에 맥박 산소 측정기를 사용하거나 대퇴 동맥 또는 심장에 직접 도플러를 사용하여 마취 깊이를 모니터링합니다.
  4. 시술 전반에 걸쳐 마취를 조정하여 심박수(HR)를 180-260, 산소 포화도>85%, 분당 10-50회 호흡)을 유지합니다(이탈 또는 재호흡 백의 움직임을 직접 시각화).
    참고: 응급 약물(글리코피롤레이트, 에피네프린, 독사프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5. 앞다리를 마스크에 부드럽게 테이프로 붙여 키트를 안면 마스크에 고정합니다.
  6. 왼쪽 뒷다리를 수술대에 느슨하게 고정하여 키트를 약간 오른쪽 측면 위치에 배치합니다.
  7. 베타딘과 멸균 식염수를 번갈아 가며 따뜻하게 데운 수술용 스크럽으로 복부 전체를 준비합니다.
    참고: 원하는 경우 추가 수술 솔루션을 사용하여 스크럽을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외과의는 전용 스크럽, 헤어 보닛 및 신발 커버를 착용하고 무균 상태로 스크럽하고 멸균 가운과 장갑을 착용하여 멸균 상태에서 시술을 수행합니다.
  8. 키트의 양쪽에 접착식 수술용 수건을 놓고 큰 수술용 드레이프로 덮습니다. 복부와 가슴이 보이도록 적당한 크기의 구멍을 자릅니다.
  9. 임플란트를 수술 부위에 열고 각 임플란트 앵커 구멍에 비흡수성 앵커 봉합사를 놓습니다. 봉합사를 5-6cm 꼬리로 부착한 상태로 둡니다(그림 3A). 보형물을 데워진 멸균 식염수 그릇에 넣습니다.

3. 복부에 임플란트 배치

  1. 적절한 마취를 확인한 후 메스로 리네아 알바를 따라 피부를 3cm 절개합니다.
  2. 근육을 조심스럽게 절개하여 복막강을 엽니다.
  3. 복강의 두개골 부분에 임플란트를 삽입하고 절개 부위의 왼쪽에 배치합니다.
  4. 투관침을 사용하여 음극 ECG 와이어를 복막강과 절개 부위 오른쪽으로 약 2cm 떨어진 피부에서 터널을 뚫습니다. 나머지 3개의 와이어를 절개 부위 왼쪽으로 3-4cm 떨어진 곳에 터널을 뚫어 임플란트가 복막강 내에 편안하게 안착할 수 있도록 합니다.
  5. 앵커 봉합사가 있는 임플란트를 복막강의 복벽(ventral wall)에 고정하여 장이 갇히지 않도록 합니다(그림 3B).
  6. 흡수성 봉합사로 복벽을 연속적인 패턴으로 닫습니다.
  7. 중단된 패턴으로 흡수되지 않는 봉합사로 절개 부위를 닫습니다.

4. ECG 리드의 배치

  1. 음성 ECG 리드를 첫 번째 갈비뼈 높이의 오른쪽 가슴 위쪽으로 피하로 터널을 뚫습니다.
  2. 피하 주머니를 둔탁하게 절개하여 약 10cm의 와이어를 느슨하게 감습니다.
    알림: 피부 아래의 단단한 코일은 피부 부식 및 전선 노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여분의 전선을 자르고 비흡수성 봉합사로 절연 전선에 끝을 묶어 노출된 전선과 고리를 만듭니다.
  4. 2개의 비흡수성 봉합사로 루프를 근육에 고정합니다.
  5. 와이어 주위의 오른쪽에 있는 복막 근육을 1-2개의 흡수성 봉합사로 중단 패턴으로 닫습니다.
  6. 2-3개의 비흡수성 봉합사로 오른쪽 가슴 위쪽과 오른쪽 복부의 피부를 중단 패턴으로 닫습니다.
  7. 양성 ECG 리드를 왼쪽 아래 갈비뼈로 터널을 뚫고 위의 단계를 반복하여 근육에 고정하고 절개 부위를 닫습니다.
  8. 터널 EEG는 수술 부위에서 가능한 한 왼쪽 측면으로 피하 리드합니다.
  9. 떠오르는 와이어 주위의 왼쪽 복막 근육에 흡수성 봉합사 1개를 추가합니다. 중단된 패턴으로 흡수되지 않는 봉합사로 피부를 닫습니다.
  10. 노출된 EEG 와이어를 멸균 알루미늄 호일로 감쌉니다.

5. 등쪽 표면의 준비

  1. 그런 다음 비멸균 보조원이 멸균 드레이프와 다리 넥타이를 제거합니다.
  2. 키트를 엎드린 자세(그림 2B)로 돌리면서 안면 마스크와 회로 사이의 회전 커넥터를 사용하여 회전하여 안면 마스크가 제자리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합니다. 지속적인 마취 모니터링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펄스 옥스 및/또는 도플러 모니터를 조정합니다.
  3. 베타딘 스크럽으로 머리, 목, 등 전체를 포함한 수술 부위를 준비하고, 왼쪽의 출구 와이어 부위를 조심스럽게 문지릅니다.
  4. 그런 다음 외과의는 멸균 접착 타월을 왼쪽 아래에 놓고 알루미늄 호일 와이어 패킷은 비멸균 보조원이 잡습니다.
  5. 알루미늄 패킷에서 전선을 멸균하고 부드럽게 제거하고 멸균 필드에 놓습니다. 멸균 수건으로 드레이핑을 마무리합니다.
  6. 멸균 드레이프로 덮고 전체 멸균 영역이 노출될 만큼 충분히 큰 창을 자릅니다.

6. EEG 리드의 배치

  1. 두피 정중선을 3cm 절개하여 두개골을 드러냅니다.
  2. 투관침을 사용하여 왼쪽에서 두개골까지 EEG 리드를 피하 터널을 뚫습니다.
  3. 메스를 사용하여 노출된 두정골에서 골막을 청소하고 긁어냅니다.
  4. 멸균 초음파 덮개에 휴대용 드릴을 삽입합니다. 드릴에 1.0mm 드릴 버를 삽입합니다.
  5. 양측 버 구멍을 두정골에 람다 앞쪽 약 0.5cm, 시상 봉합사 옆으로 0.5cm 정도 뚫습니다.
    참고: 등쪽 두개골에 가해지는 압력의 양은 복부 기도를 막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므로 절차의 이 시점에서 호흡 모니터링이 중요합니다. 심박수가 꾸준히 또는 현저히 떨어지면 호흡 폐색(무호흡증에 이차적으로 생기는 서맥)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즉각적인 평가와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6. 가는 집게를 사용하여 버 구멍에 나사를 끼웁니다.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대략 절반 정도 삽입합니다(그림 3C).
  7. 목 뒤쪽을 따라 피하 주머니를 무뚝뚝하게 절개하여 약 10cm의 와이어를 느슨하게 감습니다.
  8. 여분의 와이어를 자릅니다. 팁에서 절연체를 벗겨내고 와이어를 늘립니다.
  9. 작은 고리를 유지하면서 매듭을 묶어 노출된 전선 끝에 고리를 만듭니다. 나사를 나사 위에 놓고 나사를 두개골에 조여 와이어가 나사에 닿도록 합니다. 접지선은 왼쪽에, 기록선은 오른쪽에 놓습니다.
  10. 모든 와이어가 제자리에 배치되면 분석 소프트웨어의 원격 측정 신호의 충실도를 평가합니다. EEG 신호는 키트가 진정되는 동안 낮은 진폭으로 나타납니다.
  11. 나사와 전선을 치과용 아크릴로 두개골에 고정하고 완전히 굳어지도록 합니다.
  12. 머리와 왼쪽 옆구리에 흡수되지 않는 봉합사로 피부를 닫습니다.
  13. 절개 부위마다 부피바카인(최대 용량 2mg/kg, 5mg/mL, 2.5mg/mL로 희석)을 피하주사합니다. 투베르큘린 주사기를 사용하여 투여된 소량의 피부 접착제로 각 절개 부위를 덮습니다.

7. 마취 회복

  1. 세보플루란 마취를 끄고 최소 5분 동안 산소만 공급하면서 남아 있는 테이프, 드레이핑 및 마취 모니터링을 제거합니다.
  2. 혈당계를 사용하여 혈당 수치를 확인하고 체중(kg)의 10%로 가열된 피하액을 투여합니다.
  3. 동물이 고통스러운 자극(발가락 꼬집음)에 반응하면 37-38 °C로 설정된 회복 인큐베이터로 이동합니다.
    알림: 종종 이 전송 중에 키트의 온도가 크게 떨어집니다. 키트를 바이오피드백 적외선 발열 패드에 다시 넣거나 추가 보온을 제공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4. 시각적으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10-15분마다 직장 온도, 맥박 산소 측정기 판독값, 심박수 및 호흡수를 기록합니다.
  5. 동물이 지속적으로 보행 가능하고 의식이 깨어 있으면 정맥 내 카테터를 제거하고 출혈이 멈출 때까지 해당 부위에 압력을 가합니다.

8. 수술 후 관리 및 모니터링

  1. 키트를 댐에 돌려주고 동료를 깔짚으로 만듭니다. 체온 조절과 회복을 돕기 위해 중첩 재료와 보충 영양(Table of Materials)을 케이지에서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2. 수술 후 7-10일 동안 매일 키트를 확인하고, 매일 체중을 측정하고, 케이지에서 보충 영양을 공급합니다.
  3. 회복 후 첫 2일(D1 및 D2) 동안 24시간마다(카프로펜 4mg/kg SQ - 5mg/mL로 희석) 및 피하액(5-7mL)을 추가로 투여합니다.
  4. 회복 후 처음 3일(D1, D2, D3) 동안은 하루에 두 번 키트를 점검하여 통증, 보행, 절개 부위 및 수분 공급의 증거를 평가합니다. 이 기간 동안 하루에 한 번 키트의 온도를 측정하여 감염의 증거가 없는지 확인하고 적절한 체온 조절을 하십시오.
  5. 절개 부위가 7-10일 후에 적절하게 치유되면 봉합사를 제거하십시오.

결과

이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결과를 위해서는 임플란트 절차 및 기록 프로토콜에서 여러 매개변수를 개발해야 했습니다. 16마리의 토끼 키트에 대해 임플란트 수술이 시도되거나 시행되었으며 14마리가 성공적으로 생존했습니다. 그 중 12명은 실험 종점까지 생존했습니다. 수술 중 또는 수술 후 사망의 원인은 실험 종점을 달성하는 데 향후 성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절차 수정과...

토론

마취 유도, 모니터링 및 지원에 대해 설명된 프로토콜은 외과적 접근 방식 및 용이성에 대한 연구 요구 사항과 수의학 치료의 황금 표준의 균형을 맞춥니다. 실험실에서 설명된 프로토콜을 표준 절차로 채택하기 전에 등쪽 피하 임플란트 배치, 기관내 튜브 또는 후두 마스크 기도 사용, 심박수 모니터링을 위한 식도 청진기 부착물 사용을 포함하여 몇 가지 다른 잠재적인 ...

공개

저자는 공개할 내용이 없습니다.

감사의 말

저자들은 NIH R61NS130070가 LLI에 자금을 지원한 것에 대해 감사하고 있습니다.

자료

NameCompanyCatalog NumberComments
1 inch elastic wrap - Coban or Vetwrap3Mhttps://www.3m.com/3M/en_US/p/d/b00003186/
4-0 PDS monofilament sutureEthiconhttps://www.jnjmedtech.com/en-US/company/ethicon/all-products
5-0 Ethilon nylon sutureEthiconhttps://www.jnjmedtech.com/en-US/company/ethicon/all-products
Acquisition computerDellhttps://www.dell.com/en-us
Adhesive surgical towelsN/AN/A
Anesthesia circuit - Jackson-Reevs with 0.5 L rebreathing bagJorVetJ0248GA
Betadine scrubN/AN/A
Bupivicaine (0.5%)N/AN/ADiluted to 2.5 mg/mL prior to administration
Buprenorphine (0.3 mg/mL)N/AN/ADiluted to 0.03 mg/mL prior to administration 
Burr - 1.00 mmCell Point Scientific60-1000to drill skull
Cafazolin (1 g lypholized)N/AN/ADiluted to 50 mg/mL
Carprofen (50 mg/mL)MWI VeterinaryDiluted to 25 mg/mL prior to administration
Cotton tipped applicatorsN/AN/A
Custom 3-D printed face maskN/Ahttps://www.thingiverse.com/thing:923725
Dental acrylicN/AN/A
Diet Gel CriticareClear H2O72-05-5042Nutritional support 
Dopper Gel - AquasonicPatterson 07-890-5542
Doppler - Vet-Dop2Patterson07-888-8986
Doxapram (20 mg/mL)MWI VeterinaryN/AEmergency only
Dumont #5 Fine ForcepsFine Science Tools11254-20For holding screws
Duraprep3M8630Final skin prep
ecgAuto data analysis softwareemka technologiesN/A
Epinephrine (1:1000)MWI VeterinaryN/AEmergency only
GauzeN/AN/A
Glucometer ipet ProMWI Veterinary63867Monitor if poor recovery
Glycopyrrolate (0.2 mg/mL)MWI VeterinaryN/AEmergency only
Gram scaleN/AN/A
HemostatsFine Science Tools13008-12Hold wire loops while tying the loop in place
Ideal Micro-drillCell Point Scientific67-1204To drill skull
IncubatorDRE-veterinary (Infantia - NB1)N/A
Induction boxVetEquip941444
Infared heating pad - RightTemp JrKent Scientific CorporationRT-0502
IOX2 data acquisition softwareemka technologiesN/A
IV Catheter - Covidein Monoject 26 G, 3/4 inch PTFE Patterson 07-836-8494
ketamine (100 mg/mL)MWI VeterinaryN/A
Medical tapeN/AN/A
Narrow Pattern Forceps - Straight/12 cmFine Science Tools11002-12
Neonatal stethescopeUltrascopeN/A
Olsen-Hegar Needle holder with scissors - 12 cmFine Science Tools12002-12For suturing
Ophthalmic ointment PuralubeMWI VeterinaryN/AAdministered to both eyes during anesthesia
Opthalmic Lubricant - Paralube VetPatterson 07-888-2572
Pulse oximeter (AccuWave Portable )Patterson07-892-9128For prep and recovery; reads HR up to 400
Pulse oximeter (SDI - Vet/Ox plus 4700)HeskaN/AIntra-operative; no longer producted
Receiveremka technologiesN/A1 receiver for every 4 telemetry implants
Rectal thermometerN/AN/A
ScalpelFine Science Tools10003-12
ScissorsFine Science Tools14002-12To cut drape
Screw driver - 1.0 mmN/AN/AFrom mini-screwdriver set for electronics
Screws 00-96 x 3/32 (2.4 mm)Protech International8L0X3905202F
SevofluraneMWI VeterinaryMaintenance anesthesia
Sevoflurane vaporizer and anesthesia machineN/AN/A
Skin glue, GlutureMWI Veterinary34207Apply sparingly with syringe
Small scissorsFine Science Tools14084-08
Sterile aluminum foilN/AN/ATo wrap wires prior to rotating animal 
Sterile paint brushN/AN/ATo apply dental acrylic 
Sterile SalineN/AN/A
Sterile surgical glovesN/AN/A
Sterile ultrasound coverN/AN/ATo cover the drill
Sterile WaterN/AN/AFor cefazolin reconstitution
Surgical blade no. 15N/AN/A
Surgical drapeN/AN/A
Surgical gownN/AN/A
Swivel connector - Jorgensen LabsPatterson 07-802-2349To connect anesthesia circuit to face mask
Telemetry implantemka technologies easyTEL+_M1_EETA_B_35
TrocarSAITRO-10-6To tunnel wires

참고문헌

  1. Bagnall, R. D., Crompton, D. E., Semsarian, C. Genetic Basis of Sudden Unexpected Death in Epilepsy. Front Neurol. 8, 348 (2017).
  2. Surges, R., et al. Pathologic cardiac repolarization in pharmacoresistant epilepsy and its potential role in sudden unexpected death in epilepsy: a case-control study. Epilepsia. 51 (2), 233-242 (2010).
  3. Surges, R., Thijs, R. D., Tan, H. L., Sander, J. W. Sudden unexpected death in epilepsy: risk factors and potential pathomechanisms. Nat Rev Neurol. 5 (9), 492-504 (2009).
  4. Shorvon, S., Tomson, T. Sudden unexpected death in epilepsy. Lancet. 378 (9808), 2028-2038 (2011).
  5. Schuele, S. U., et al. Video-electrographic and clinical features in patients with ictal asystole. Neurology. 69 (5), 434-441 (2007).
  6. Massey, C. A., Sowers, L. P., Dlouhy, B. J., Richerson, G. B. Mechanisms of sudden unexpected death in epilepsy: the pathway to prevention. Nat Rev Neurol. 10 (5), 271-282 (2014).
  7. Sahly, A. N., Shevell, M., Sadleir, L. G., Myers, K. A. SUDEP risk and autonomic dysfunction in genetic epilepsies. Auton Neurosci. 237, 102907 (2022).
  8. Cooper, M. S., et al. Mortality in Dravet syndrome. Epilepsy Res. 128, 43-47 (2016).
  9. Negishi, Y., et al. SCN8A-related developmental and epileptic encephalopathy with ictal asystole requiring cardiac pacemaker implantation. Brain Dev. 43 (7), 804-808 (2021).
  10. Meisler, M. H., et al. SCN8A encephalopathy: Research progress and prospects. Epilepsia. 57 (7), 1027-1035 (2016).
  11. Watanabe, H., et al. Sodium channel β1 subunit mutations associated with Brugada syndrome and cardiac conduction disease in humans. J Clin Invest. 118 (6), 2260-2268 (2008).
  12. Goldman, A. M., Glasscock, E., Yoo, J., Chen, T. T., Klassen, T. L., Noebels, J. L. Arrhythmia in heart and brain: KCNQ1 mutations link epilepsy and sudden unexplained death. Sci Transl Med. 1 (2), 2ra6 (2009).
  13. Nerbonne, J. M. Mouse models of arrhythmogenic cardiovascular diseas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Curr Opin Pharmacol. 15, 107-114 (2014).
  14. Frasier, C. R., et al. Channelopathy as a SUDEP Biomarker in Dravet Syndrome patient-derived cardiac myocytes. Stem Cell Rep. 11 (3), 626-634 (2018).
  15. Camacho, P., Fan, H., Liu, Z., He, J. -. Q. Small mammalian animal models of heart disease. Am J Cardiovasc. 6 (3), 70-80 (2016).
  16. Brodbelt, D. Perioperative mortality in small animal anaesthesia. Vet J. 182 (2), 152-161 (2009).
  17. Lee, H. W., Machin, H., Adami, C. Peri-anaesthetic mortality and nonfatal gastrointestinal complications in pet rabbits: a retrospective study on 210 cases. Vet Anaes Anal. 45 (4), 520-528 (2018).
  18. Comolli, J., et al. Comparison of endoscopic endotracheal intubation and the v-gel supraglottic airway device for spontaneously ventilating New Zealand white rabbits undergoing ovariohysterectomy. Vet Rec. 187 (10), e84-e84 (2020).
  19. Grint, N. J., Sayers, I. R., Cecchi, R., Harley, R., Day, M. J. Postanaesthetic tracheal strictures in three rabbits. Lab Anim. 40 (3), 301-308 (2006).
  20. Phaneuf, L. R., Barker, S., Groleau, M. A., Turner, P. V. Tracheal injury after endotracheal intubation and anesthesia in rabbits. J Am Assoc Lab Anim Sci. 45 (6), 67-72 (2006).
  21. Quesenberry, K. E., Orcutt, C. J., Mans, C., Carpenter, J. W. Gastrointestinal Diseases of Rabbits. Ferrets, Rabbits, and Rodents. , (2020).
  22. Desai, A., Macrae, D. . Cardiovascular Physiology in Infants, Children, and Adolescents. Pediatric and Congenital Cardiology, Cardiac Surgery and Intensive Care. , (2020).
  23. Bansal, N., Momin, S., Bansal, R., Venkata, S. K. R. G., Ruser, L., Yusuf, K. Pharmacokinetics of drugs: newborn perspective. Pediatr Med. 7, 19 (2024).
  24. Trachsel, D., Erb, T. O., Hammer, J., von Ungern-Sternberg, B. S. Developmental respiratory physiology. Paediat Anaesth. 32 (2), 108-117 (2022).
  25. Benito, S., Hadley, S., Camprubí-Camprubí, M., Sanchez-de-Toledo, J. Blind endotracheal intubation in neonatal rabbits. J Vis Exp. 168, e61874 (2021).
  26. Okamoto, S., Matsuura, N., Ichinohe, T. Effects of volatile anesthetics on oral tissue blood flow in rabbits: A comparison among isoflurane, sevoflurane, and desflurane. J Oral Maxillofac Surg. 73 (9), 1714.e1-1714.e8 (2015).
  27. Elshalakany, N. A., Salah, A. M. Comparative study: evaluation of the effect of sevoflurane versus isoflurane in general anesthesia for pediatric patients undergoing cardiac catheterization. Egypt J Anaesth. 38 (1), 409-414 (2022).
  28. Anjana, R. R., Parikh, P. V., Mahla, J. K., Kelawala, D. N., Patel, K. P., Ashwath, S. N. Comparative evaluation of isoflurane and sevoflurane in avian patients. Vet World. 14 (5), 1067-1073 (2021).
  29. Johnson, R. A., Striler, E., Sawyer, D. C., Brunson, D. B. Comparison of isoflurane with sevoflurane for anesthesia induction and recovery in adult dogs. Am J Vet Res. 59 (4), 478-481 (1998).
  30. Campbell, C., Nahrwold, M. L., Miller, D. D. Clinical comparison of sevoflurane and isoflurane when administered with nitrous oxide for surgical procedures of intermediate duration. Can J Anaesth. 42 (10), 884-890 (1995).
  31. TerRiet, M. F., et al. Which is most pungent: isoflurane, sevoflurane, or desflurane. Br J Anaesth. 85 (2), 305-307 (2000).
  32. Khanna, V. K., Pleuvry, B. J. A study of naloxone and doxapram as agents for the reversal of neuroleptanalgesic respiratory depression in the conscious rabbit. Br J Anaesth. 50 (9), 905-912 (1978).
  33. Flecknell, P. A., Liles, J. H., Wootton, R. Reversal of fentanyl/fluanisone neuroleptanalgesia in the rabbit using mixed agonist/antagonist opioids. Lab Anim. 23 (2), 147-155 (1989).
  34. Shafford, H. L., Schadt, J. C. Respiratory and cardiovascular effects of buprenorphine in conscious rabbits. Vet Anaesth Analg. 35 (4), 326-332 (2008).
  35. Feldman, E. R., Singh, B., Mishkin, N. G., Lachenauer, E. R., Martin-Flores, M., Daugherity, E. K. Effects of cisapride, buprenorphine, and their combination on gastrointestinal transit in New Zealand white rabbits. J Am Assoc Lab Anim Sci. 60 (2), 221-228 (2021).
  36. Harcourt-Brown, F. M., Harcourt-Brown, S. F. Clinical value of blood glucose measurement in pet rabbits. Vet Rec. 170 (26), 674-674 (2012).
  37. Rivera, D. A., Buglione, A. E., Ray, S. E., Schaffer, C. B. MousePZT: A simple, reliable, low-cost device for vital sign monitoring and respiratory gating in mice under anesthesia. PLoS One. 19 (3), e0299047 (2024).
  38. Nicou, C. M., Passaglia, C. L. Characterization of intraocular pressure variability in conscious rats. Exp Eye Res. 239, 109757 (2024).
  39. Sadko, K. J., Leishman, D. J., Bailie, M. B., Lauver, D. A. A simple accurate method for concentration-QTc analysis in preclinical animal models. J Pharmacol Toxicol Methods. 128, 107528 (2024).
  40. Vuong, J. S., Garrett, J. J., Connolly, M. J., York, A. R., Gross, R. E., Devergnas, A. Head mounted telemetry system for seizures monitoring and sleep scoring on non-human primate. J Neurosci Methods. 346, 108915 (2020).
  41. Bosinski, C., Wagner, K., Zhou, X., Liu, L., Auerbach, D. S. Multi-system monitoring for identification of seizures, arrhythmias and apnea in conscious restrained rabbits. J Vis Exp. (169), e62256 (2021).

재인쇄 및 허가

JoVE'article의 텍스트 или 그림을 다시 사용하시려면 허가 살펴보기

허가 살펴보기

더 많은 기사 탐색

SUDEP

This article has been published

Video Coming Soon

JoVE Logo

개인 정보 보호

이용 약관

정책

연구

교육

JoVE 소개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