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VE 비디오를 활용하시려면 도서관을 통한 기관 구독이 필요합니다. 전체 비디오를 보시려면 로그인하거나 무료 트라이얼을 시작하세요.

기사 소개

  • 요약
  • 초록
  • 서문
  • 프로토콜
  • 결과
  • 토론
  • 공개
  • 감사의 말
  • 자료
  • 참고문헌
  • 재인쇄 및 허가

요약

경식도 초음파(EUS-B)는 식도와 위에서 초음파내시경(EBUS)을 사용하는 안전하고 실현 가능한 절차입니다. 6개의 해부학적 랜드마크를 식별한 후 추가 구조를 식별하고 생검할 수 있으므로 후속 진단 세션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EUS-B는 폐암 및 기타 질병을 진단하는 데 있어 기관지 내시경 검사와 EBUS의 이상적인 연속입니다.

초록

EUS-B는 식도와 위의 초음파내시경을 사용하는 시술입니다. 이 절차는 호흡기 전문의가 식도와 위에 인접한 구조를 시각화하고 생검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최소 침습적이고 안전하며 실현 가능한 접근 방식입니다. EUS-B는 EBUS(종격동 림프절, 폐 또는 흉막 종양, 심낭액)를 통해서도 도달할 수 있는 많은 구조에 접근할 수 있는 반면, 후복막 림프절, 복수 및 간, 췌장 또는 좌측 부신의 병변과 같은 다른 구조에는 접근할 수 없습니다. 이 시술은 호흡기 전문의가 이미 숙달한 얇은 EBUS 내시경을 사용하여 위장병 전문의의 EUS의 호흡기 전문의 및 환자 친화적인 버전입니다. 따라서 EUS-B 교육은 쉽고 EBUS의 자연스러운 연속이어야 합니다. 환자가 의식적인 진정 치료를 받고 누운 자세에서 초음파내시경은 콧구멍이나 입을 통해 구인두로 도입됩니다. 그런 다음 내시경이 천천히 뒤쪽으로 구부러져 식도와 위로 들어가는 동안 환자는 삼키도록 권장됩니다. 초음파 이미지를 사용하여 작업자는 EUS-B 및 EUS로 좌측 간엽, 복부 대동맥(셀리악 트렁크 및 상장간막 동맥 포함), 좌측 부신 및 종격동 림프절 스테이션 7, 4L 및 4R의 6가지 랜드마크를 식별합니다. EBUS-TBNA와 함께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기술을 사용하여 실시간 초음파 유도 - 미세 바늘 흡인(EUS-B-FNA) 하에 의심되는 병변에서 생검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의인성 병기를 피하기 위해 생검 순서는 M1b-M1a-N3-N2-N1-T(M = 전이, N = 림프절, T = 종양)입니다. 시술 전후 관찰은 기관지 내시경 검사와 유사합니다. EUS-B는 경험이 풍부한 중재적 호흡기 전문의가 안전하고 실현 가능하며 폐암의 안전하고 빠르며 철저한 진단 및 병기 결정을 제공하는 데 있어 진단 가능성을 크게 확장합니다.

서문

내시경 초음파는 폐암의 진단 및 병기 결정에서 중요한 절차이며 종격동 또는 구강 림프절에서 안전한 샘플링을 가능하게 합니다 1,2. 내시경 초음파는 기관지(EBUS)와 경식도 초음파(EUS)로 구성되며, 상호 보완적인 절차로 간주된다2.

중재적 호흡기 전문의는 EBUS 내시경에 대한 교육을 받았지만 더 큰 EUS 내시경(그림 1)에 대해서는 거의 익숙하지 않아 올바르게 다루기 위해 특별한 교육이 필요합니다3. EBUS와 EUS는 종종 서로 다른 부서에서 별도의 세션/요일에 수행된다4. 그러나 EBUS 기술에 경험이 있는 숙련된 호흡기 전문의는 더 작은 EBUS 내시경을 식도에 삽입하고 종격동 림프절 및 식도 및 위에 인접한 기타 병변에서 안전한 검사 및 생검 샘플링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EUS-B5라고 하는 기술). 이로 인해 폐6, 흉막7, 심낭 삼출8, 종격동 림프절 1,5, 좌측 간엽 및 후복막 림프절9, 췌장10 및 좌측 부신11,12와 같은 다양한 해부학적 부위의 병변을 안전하고 결정적으로 샘플링할 수 있는 호흡기 전문의의 능력이 확장되었습니다(그림 2).

EUS-B 절차는 호흡기 전문의가 이미 숙달한 내시경을 사용하는 위장병 전문의의 EUS의 호흡기 전문의 친화적인 버전입니다. EUS 시술은 EBUS 내시경보다 크고 무거운 위내시경으로 수행되며, 손잡이가 다르고(바퀴가 있음, 그림 1 참조) 좌측 욕창 환자와 함께 수행하는 EBUS와 다릅니다. 호흡기 전문의로서 EUS를 배우는 것은 도전적이며 많은 훈련과 감독이 필요합니다2.

EUS-B와 EUS는 지금까지 폐학 5,13,14,15 분야에서 수행될 때 진단 수율과 관련하여 매우 유사합니다. EUS-B는 내시경이 EUS보다 훨씬 얇기 때문에 인두와 식도에 덜 불쾌감을 주기 때문에 환자 친화적입니다. EBUS와 달리, EUS-B는 직접적인 기도 자극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종격동 종양 종괴로 인해 심각한 호흡 장애를 초래하는 암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사용해도 안전하다16.

폐암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EBUS와 EUS-B의 병용요법이 단독으로 시행하는 것보다 선호되지만, EBUS로는 도달할 수 없지만 경식도 초음파로는 검사 범위 내에 있는 의심 병변이 있는 환자에서 EUS-B를 특히 고려해야 합니다(그림 2). 폐암 정밀 검사에서 EBUS에 EUS-B를 추가하면 중재적 호흡기 전문의가 한 명의 시술 전문의가 동일한 내시경을 사용하여 단일 세션 동안 진단 정밀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확장되어 환자에게 더 편리하여 시간과 비용을 모두 절약할 수 있습니다.

EUS-B의 합병증 위험은 극히 낮으며, 우리가 아는 한 감염성 합병증에만 국한되어 있다17,18. EUS-B 교육은 쉽고 EBUS의 자연스러운 연속이어야 하며, 다음 프로토콜은 외래 환자 임상 환경에서 가벼운 진정제로 EUS-B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프로토콜

우리 기관(Zealand University Hospital)에서 개발한 다음 프로토콜은 인간 연구 윤리에 대한 덴마크 국가 지침을 따릅니다. 인간 피험자로부터 서면 및 정보에 입각한 동의를 얻었습니다.

1. EUS-B 준비

참고: 이 절차에는 기관지 내시경/EBUS 수행 경험이 필요하므로 다음 지침에는 기관지 내시경, EBUS 및 EUS-B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진정, 모니터링 등과 같은 기본 단계에 대한 세부 정보가 포함되지 않습니다.

  1. EUS-B가 도달할 수 있는 대상 병변을 찾기 위해 사용 가능한 컴퓨터 단층 촬영(CT) 또는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ET)-CT 스캔을 평가합니다( 그림 2 참조). 항혈전제 요법이 지침에 따라 일시 중지되었는지 확인하십시오. 환자의 정보에 입각한 동의를 얻습니다.
  2. 천공 위험이 높은 환자(예: 최근 장 수술, 장 폐색, 식도 협착증), 응고 장애, 혈소판 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는 제외합니다.
  3. 환자를 누운 자세로 눕히고 기관 표준에 따라 기관지 내시경 또는 EBUS와 유사한 모니터링을 적용합니다. 많은 사이트에서 3-리드 원격 측정, 산소 포화도, 맥박 및 간헐적 혈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합니다.
  4. IV midazolam 2.5mg(진정용) 및 IV Fentanyl 25μg(기침 및 통증용)과 같은 기관 표준에 따라 기관지 내시경 검사 또는 EBUS와 유사한 의식 진정을 시작합니다.

2. EUS-B 수행

  1. 일반적으로 길이가 60cm(EUS는 125cm)이고 일반 내시경의 평균 직경이 6-7mm(EUS는 12-14mm)인 EBUS 초음파내시경을 사용하여 EUS-B를 수행합니다.
  2. 누운 자세에 있는 환자의 머리 뒤에 섭니다. 왼손으로 내시경의 손잡이를 잡고 엄지 손가락으로 레버를 잡고 오른손으로 내시경의 말단부를 잡습니다.
  3. 내시경 검사 1-2분 전에 점막에 국소 마취 젤(비강 경로) 또는 스프레이(구강 경로)를 적용합니다.
  4. 내시경 끝에 국소 마취 젤을 바른 후 구강 또는 콧구멍을 통해 내시경을 구인두에 도입합니다.
  5. 후두개가 내시경 앞에 있는 동안 후두인두로 들어가 기관지 시야를 사용하여 성대를 시각화합니다.
    1. 스코프를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돌려 스코프가 arytenoids를 향하도록 합니다. 환자에게 침을 삼키고 내시경을 천천히 뒤쪽으로 구부려 식도로 넣도록 요청합니다. 절대로 힘을 가하지 말고 식도 내강이 넓어지는 환자의 자발적인 삼킴 움직임의 아래쪽 방향을 따르십시오. 환자와 작업자의 협력이 매우 중요합니다.
    2. 내시경이 식도에 성공적으로 도입되지 않은 경우 구인두에 국소 리도카인 2mL를 분무합니다.
  6. 초음파 이미지로 이동하여 내시경을 위장에 도입하고19 이하에 설명된 대로 단계적이고 시간순으로 6개의 EUS 랜드마크를 식별하기 시작합니다(그림 3).
    1. 왼쪽 간엽 - 내시경을 약간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립니다(랜드마크 1).
    2. 복부 대동맥과 셀리악 줄기 및 상장간막 동맥 - 내시경을 시계 방향으로 돌립니다(랜드마크 2).
    3. 왼쪽 부신 - 스코프를 시계 방향으로 더 돌립니다(랜드마크 3).
    4. 종격동 림프절 스테이션 7 - 내시경을 종격동 쪽으로 후퇴시킵니다. 이것은 좌심방과 우측 폐동맥 가까이에 위치합니다(랜드마크 4).
    5. 종격동 림프절 스테이션 4L - 내시경을 몇 센티미터 집어넣고 기관에서 반사되는 것을 확인합니다. 그런 다음 내시경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려 대동맥궁과 좌 폐동맥 사이에 4L(미키 마우스 기호; 랜드마크 5).
    6. 종격동 림프절 스테이션 4R - 내시경을 시계 방향으로 돌려 기관을 통과하고 azygos 정맥을 찾습니다(내시경을 집어넣어 확인하고 정맥이 상대정맥으로 사라져야 함). 4R은 azygos vein (랜드 마크 6) 근처에 있습니다.

3. 조직 검체 채취

  1. FNA 바늘을 사용하여 실시간 초음파 검사 안내에 따라 의심되는 병변에서 조직 샘플을 채취합니다. 시중에 나와 있는 바늘은 약간 다르지만 사용 원리는 동일합니다.
    1. 내시경에 칼집을 삽입하고 팁이 내시경 바깥쪽 1mm가 되도록 길이를 조정하고 잠급니다.
    2. 탐침이 있는 바늘을 앞으로 움직이고 탐침을 몇 밀리미터(끝이 둥근 경우) 집어넣어 바늘을 날카롭게 만듭니다. 스타일릿이 날카로워진 경우에는 이 단계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3. 목표물을 맞추고 탐침을 집어넣고 바늘에 흡입을 가합니다.
    4. 바늘을 앞뒤로 움직입니다. 그런 다음 흡입을 제거하고 바늘을 위쪽 위치에 잠근 다음 내시경에서 장비를 제거합니다.
  2. 의인성 상향 검사를 피하기 위해 생검 순서가 M1b-M1a-N3-N2-N1-T(M = 전이, N = 림프절, T = 종양)인지 확인하십시오.

결과

설명된 기술을 통해 EBUS 숙련된 호흡기 전문의는 EBUS 초음파내시경을 사용하여 식도와 위에 인접한 병변(횡격막 위 또는 아래)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샘플링할 수 있습니다(그림 1 그림 2). 표 1 은 위치에 따라 진단 적중률이 다르며, 흉곽내 병변의 진단 성공률이 약간 더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토론

EUS-B는 중재적 폐병학 2,5,6,13 분야를 크게 변화시켰습니다. EUS-B를 사용하면 호흡기 전문의가 EBUS 내시경을 새로운 방식으로 사용하여 EBUS로 도달할 수 없는 병변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중심 폐종양, 종격동 림프절 비대증 및 비정상적인 좌측 부신이 있는 환자는 한 번의 중재...

공개

없음.

감사의 말

없음.

자료

NameCompanyCatalog NumberComments
22 Gauge FNA needle systemOlympus Medical SystemsVizishot
EBUS echoendoscopeOlympus Medical SystemsBF-UC190F
EVIS Exera II endoscopy tower with EVIS X1 video processorOlympus Medical SystemsCV-1500 
Lidocaine gelMultiple (e.g. Aspen Pharma)Xylocain 2%
Lidocaine sprayMultiple (e.g. Aspen Pharma)Xylocaine Pump Spray

참고문헌

  1. Crombag, L. M. M., et al. Ebus Versus Eus-B for diagnosing sarcoidosis: The International Sarcoidosis Assessment (ISA) randomized clinical trial. Respirology. 27 (2), 152-160 (2022).
  2. Vilmann, P., et al. Combined endobronchial and esophageal endosonography for the diagnosis and staging of lung cancer: Europ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ESGE) Guideline, in cooperation with the European Respiratory Society (ERS) and the European Society of Thoracic Surgeons (ESTS). Endoscopy. 47 (6), 545-559 (2015).
  3. Pais, F. M., et al. Transesophageal approach to lung, adrenal biopsy and fiducial placement using endoscopic ultrasonography (EUS): An interventional pulmonology experience. Initial experience of the UCSF-FRETOC (fresno tracheobronchial & oesophageal center) study group. Respair Med. 141, 52-55 (2018).
  4. Bhatia, S., Puri, R. Role of endoscopic ultrasound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Int J Gastrointest Interv. 5 (3), 187-192 (2016).
  5. Clementsen, P. F., et al. Diagnosis and staging of lung cancer with the use of one single echoendoscope in both the trachea and the esophagus: A practical guide. Endosc Ultrasound. 10 (5), 325-334 (2021).
  6. Christiansen, I. S., et al. Characterization of lung tumors that the pulmonologist can biopsy from the esophagus with endosonography (EUS-B-FNA). Respiration. 100 (2), 135-144 (2021).
  7. Bibi, R., et al. Endoscopic ultrasound-guided pleural biopsy in the hands of the pulmonologist. Respirol Case Rep. 8 (2), e00517 (2020).
  8. Christiansen, I. S., et al. Aspiration of pericardial effusion performed with EUS-B-FNA in suspected lung cancer. Respiration. 99 (8), 686-689 (2020).
  9. Christiansen, I. S., et al. EUS-B-FNA for diagnosing liver and celiac metastases in lung cancer patients. Respiration. 98 (5), 428-433 (2019).
  10. Issa, M. A., Sidhu, J. S., Tehrani, S. G., Clementsen, P. F., Bodtger, U. Endoscopic ultrasound-guided pancreas biopsy in the hands of a chest physician. Respir Med Case Rep. 43, 101833 (2023).
  11. Crombag, L. M. M. J., et al. EUS-B-FNA vs conventional EUS-FNA for left adrenal gland analysis in lung cancer patients. Lung Cancer. 108, 38-44 (2017).
  12. Christiansen, I. S., et al. EUS-B for suspected left adrenal metastasis in lung cancer. J Thorac Dis. 12 (3), 258-263 (2020).
  13. Crombag, L. M. M. J., et al. EUS-B-FNA vs conventional EUS-FNA for left adrenal gland analysis in lung cancer patients. Lung Cancer. 108, 38-44 (2017).
  14. Shen, Y., Qin, S., Jiang, H. Endobronchial ultrasound-guided transbronchial needle aspiration combined with either endoscopic ultrasound-guided fine-needle aspiration or endoscopic ultrasound using the EBUS scope-guided fine-needle aspiration for diagnosing and staging mediastinal diseas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linics. 75, e1759 (2020).
  15. Giri, S. Transesophageal endoscopic ultrasound-guided tissue acquisition of lung masses: a case series with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nn Gastroenterol. 36 (2), 185-194 (2023).
  16. Christiansen, I. S., et al. Safety and feasibility of oesophageal ultrasound for the work-up of thoracic malignancy in patients with respiratory impairment. J Thor Dis. , (2023).
  17. Torii, A., et al. EUS-B-FNA enhances the diagnostic yield of EBUS bronchoscope for intrathoracic lesions. Lung. 200 (5), 643-648 (2022).
  18. Kang, N., et al. Infectious complications of EBUS-TBNA: A nested case-control study using 10-year registry data. Lung Cancer. 161, 1-8 (2021).
  19. Konge, L., Colella, S., Vilmann, P., Clementsen, P. F. How to learn and to perform endoscopic ultrasound and endobronchial ultrasound for lung cancer staging: A structured guide and review. Endosc Ultrasound. 4 (1), 4-9 (2015).
  20. Dhooria, S., Aggarwal, A. N., Gupta, D., Behera, D., Agarwal, R. Utility and safety of endoscopic ultrasound with bronchoscope-guided fine-needle aspiration in mediastinal lymph node sampling: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Respir Care. 60 (7), 1040-1050 (2015).
  21. Coté, G. A., et al. Training in EUS-guided fine needle aspiration: Safety and diagnostic yield of attending supervised, trainee-directed FNA from the onset of training. Diagn Ther Endosc. 2011, 378540 (2011).
  22. Meena, N., Hulett, C., Patolia, S., Bartter, T. Exploration under the dome: Esophageal ultrasound with the ultrasound bronchoscope is indispensible. Endosc Ultrasound. 5 (4), 254-257 (2016).
  23. Nielsen, A. O., Cold, K. M., Vamadevan, A., Konge, L., Clementsen, P. F. Systematic endobronchial ultrasound - The six landmarks approach. J Vis Exp. (198), 65551 (2023).
  24. Konge, L., et al. Simulator training for endobronchial ultrasound: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Eur Respir J. 46 (4), 1140-1149 (2015).
  25. Naur, T. M. H., Konge, L., Nayahangan, L. J., Clementsen, P. F. Training and certification in endobronchial ultrasound-guided transbronchial needle aspiration. J Thorac Dis. 9 (7), 2118-2123 (2017).
  26. Nayahangan, L. J., et al. Developing a simulation-based training curriculum in transesophageal ultrasound with the use of the endobronchial ultrasound-endoscope. Endosc Ultrasound. 11 (2), 104-111 (2022).
  27. El Hajj, I. I., et al. Prospective assessment of the performance of a new fine needle biopsy device for EUS-guided sampling of solid lesions. Clin Endosc. 51 (6), 576-583 (2018).
  28. Adler, D., et al. A multicenter evaluation of a new EUS core biopsy needle: Experience in 200 patients. Endosc Ultrasound. 8 (2), 99-104 (2019).
  29. Balwan, A., et al. Core needle biopsy with endobronchial ultrasonography: single center experience with 100 cases. J Am Soc Cytopathol. 9 (4), 249-253 (2020).
  30. Mangiavillano, B., et al. Transesophageal endoscopic ultrasound in the diagnosis of the lung masses: a multicenter experience with fine-needle aspiration and fine-needle biopsy needles. Eur J Gastroenterol Hepatol. 34 (7), 757-762 (2022).

재인쇄 및 허가

JoVE'article의 텍스트 или 그림을 다시 사용하시려면 허가 살펴보기

허가 살펴보기

더 많은 기사 탐색

EBUSEUS BFNA

This article has been published

Video Coming Soon

JoVE Logo

개인 정보 보호

이용 약관

정책

연구

교육

JoVE 소개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