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VE Logo

로그인

JoVE 비디오를 활용하시려면 도서관을 통한 기관 구독이 필요합니다. 전체 비디오를 보시려면 로그인하거나 무료 트라이얼을 시작하세요.

기사 소개

  • 요약
  • 초록
  • 서문
  • 프로토콜
  • 결과
  • 토론
  • 공개
  • 감사의 말
  • 자료
  • 참고문헌
  • 재인쇄 및 허가

요약

마우스의 실험적 자가면역 뇌척수염(EAE) 모델을 사용하여 활성화 단계 및 면역 효과 기능의 관점에서 EAE의 초기 및 재발에서 CD4 T 세포의 역할을 조사했습니다.

초록

다발성 경화증(MS)은 면역 세포의 침투와 중추신경계(CNS)의 탈수초화를 특징으로 하는 자가면역 질환입니다. 실험적 자가면역 뇌척수염(EAE)은 다발성 경화증 연구를 위한 원형 동물 모델 역할을 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활성화기와 면역반응에 초점을 맞춰 EAE의 시작과 재발에 대한 CD4 T세포의 역할을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EAE 마우스 모델을 만들기 위해 암컷 마우스는 완전한 Freund's adjuvant(CFA)로 유화된 미엘린 희소돌기아교세포 당단백질(MOG)35-55로 면역되었습니다. 임상 점수는 매일 평가되었으며, 그 결과 EAE 그룹의 마우스가 전형적인 재발-완화 패턴을 보였다는 것이 입증되었습니다. 헤마톡실린-에오신(H&E) 및 룩솔 패스트 블루(LFB) 염색 분석은 중추신경계에서 염증 세포의 상당한 침투와 EAE 마우스의 탈수초화를 밝혀냈습니다. 활성화 단계와 관련하여, CD4+CD69+ effector T (Teff) cell과 CD4+CD44+CD62L- effector memory T (Tem) cell이 EAE의 시작에 기여할 수 있지만, 재발 단계는 CD4+CD44+CD62L-Tem cell에 의해 지배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면역 기능 측면에서 보조 T(Th)1 세포는 주로 EAE를 시작하는 데 관여합니다. 그러나 Th1 세포와 Th17 세포 모두 재발 단계에 기여하며, EAE 병리학적 과정에서 조절 T(Treg) 세포의 면역억제 기능이 억제되었습니다.

서문

다발성 경화증(MS)은 중추신경계(CNS)에 면역 세포가 침투하고 탈수초화가 발생하는 것이 특징인 자가면역 질환입니다 1,2. 최근 연구에 따르면 소아마비는 젊은이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가장 흔한 장애성 질환으로 밝혀졌으며 전 세계적으로 발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3. 실험적 자가면역 뇌척수염(EAE)은 인간 MS4의 염증 단계의 여러 측면을 시뮬레이션하는 다발성 경화증의 원형 동물 모델입니다. 면역 기능의 관점에서 아직 항원을 만나지 않은 초기 CD4 T 세포를 helper T(Th) 0 세포라고 합니다. 이 세포는 다양한 기능을 나타내기 위해 성숙 및 활성화 과정을 거칩니다. CD4 T 세포는 Th1, Th2, 조절 T(Treg), 여포 도우미 T(Tfh), Th17, Th9 및 Th22 세포를 포함하는 특정 기능에 따라 여러 하위 집합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5. Th1 및 Th17 세포 아형이 EAE6의 중요한 발병 인자라는 것은 일반적인 합의입니다. Th1 세포는 인터페론 γ(IFN-γ)을 분비할 수 있고, Th17 세포는 인터루킨(IL)-17 및 기타 염증 인자를 분비하여 미세아교세포 및 성상세포와 같은 다른 면역 세포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이 세포는 IL-18, IL-12, IL-23 및 IL-1β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7을 생성하여 Th1/Th17 세포의 면역 반응을 추가로 유도하여 진행성 탈수초 및 축삭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활성화 단계 관점에서 볼 때, CD4 T 세포는 naive, effector, memory T cell8을 포함하여 별개의 세포 하위 집합과 분화된 상태로 발달할 수 있는 미리 결정된 운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초기 CD4 T 세포는 증식하고 서로 다른 환경에서 다른 기능을 가진 다양한 effector subset으로 분화합니다9. 대부분의 effector cell은 수명이 짧으며, 소수의 T 세포 집단이 동일한 항원을 다시 만날 때 빠른 effector 기능을 나타내는 기억 T 세포로 발전하여 숙주에게 매우 강력하고 장기적인 보호를 제공합니다10,11.

현재의 연구는 CD4 T 세포가 EAE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하지만, 활성화 단계와 면역 효과 기능에 따라 분류된 다양한 CD4 T 세포 하위 집합이 EAE의 시작과 재발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는 여전히 불분명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C57BL6/J 마우스에서 미엘린 희소돌기아교세포당단백질(MOG)35-55 펩타이드를 면역화하여 EAE 모델을 확립하고, CD4 T 세포의 활성화기 및 면역 기능에 초점을 맞춰 EAE의 시작과 재발을 조사하였다.

프로토콜

본 연구를 위해 6주에서 8주 사이의 총 18마리의 암컷 C57BL/6J 마우스를 대조군(n=6)과 EAE 그룹(n=12)으로 무작위로 나누었다. 쥐는 Ningxia Medical University의 실험 동물 센터에서 구입했습니다. 생쥐는 12시간의 명암 주기로 온도와 습도가 조절되는 방에 수용되었으며 담수와 음식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었습니다. 연구가 시작되기 전에 닝샤 의과대학의 실험동물 윤리위원회(Experimental Animal Ethics Committee)로부터 윤리 승인을 받았다.

1. C57BL/6 마우스의 재발성 송금 EAE 개발

  1. 시약 용해
    1. 5.4mg MOG35-55(재료 표)를 1.8mL의 인산염 완충 식염수(PBS) 용액에 용해시킵니다. 12.6mg의 Mycobacterium tuberculosis H37RA(재료 목록)를 칭량하고 완전한 Freund's adjuvant(CFA) 용액 1.8mL(재료 목록)에 추가합니다. 360μL의 백일해 독소(PTX; 재료 표) 피펫을 사용하여 7.2mL의 PBS에 넣습니다(Table of Materials).
  2. MOG35-55 및 CFA의 에멀젼 제조
    1. 1.1단계에서 준비한 2개의 5 mL 주사기를 사용하여 MOG35-55 용액과 CFA 용액을 피펫으로 분리하고 티 밸브에 연결합니다. 유백색의 유중수 에멀젼이 얻어질 때까지 얼음에서 1시간 동안 계속 혼합합니다.
      참고: 에멀젼은 물에 떨어뜨린 후 분산되지 않고 물 표면에 떠 있을 때 성공적으로 준비됩니다.
  3. 마우스 마취
    1. 마취기 증발기의 앞쪽 끝에 있는 충전 밀봉 캡의 나사를 풉니다. 중앙의 밀봉 나사를 따라 이소플루란 20mL를 천천히 붓고 충전 밀봉 캡을 잠급니다. 마취 기계 증발기의 공기 흐름이 마취 유도 상자(재료 표)와 전달되도록 티 밸브 스위치를 전환하십시오.
    2. 공기 펌프 전원 공급 장치를 연결하고 공기 펌프 스위치를 켠 다음 출력 가스 흐름이 400mL/min이 되도록 산소 유량계 전면에 있는 공기 소스 밸브를 회전 및 조정합니다. 증발기를 열고 유도 농도를 3%로 조정하고 마취제가 유도 상자를 채울 때까지 기다립니다.
    3. 약 1분 후 마우스를 인덕션 박스에 넣고 인덕션 박스를 닫고 마우스가 깊은 수면, 근육 이완 및 안정적인 호흡에 빠질 때까지 기다립니다. 그런 다음, 마우스는 이상적인 마취 상태로 결정될 수 있습니다(Table of Materials).
      알림: 마우스가 완전히 마취될 때까지 마취기 증발기의 공기 흐름이 마취 마스크와 전달되도록 티 밸브 스위치를 전환하십시오.
  4. 마우스 면역
    1. EAE 그룹 마우스에서 겨드랑이와 사타구니 평면12 의 척추 양쪽에서 약 0.5cm, 바늘과 함께 1.2단계에서 준비한 200μL의 에멀젼 200μL를 바늘과 함께 1.2단계에서 제조한 에멀젼 200μL를 피하주사합니다. 각 부위에 50μL의 에멀젼을 사용합니다(재료 표).
  5. PTX 주입
    1. 꼬리를 잡아 케이지에서 쥐를 꺼내 케이지 와이어에 놓습니다. 4번째와 5번째 손가락으로 쥐의 꼬리를 잡고 몸과 팔다리가 앞으로 나아가는 추세를 유지하기 위해 부드럽게 위로 당깁니다. 쥐의 머리를 잡고 중지와 약지를 사용하여 쥐 뒷면의 피부를 잡습니다.
    2. 1.4단계에서 면역 접종 후 0시간 및 48시간에 바늘이 있는 1mL 주사기를 사용하여 1-2cm의 침투 깊이로 복부 중간선 양쪽을 따라 0.5cm 위치에 PTX 200μL를 복강내로 주입합니다(재료 목록).
      참고: MOG35-55 면역 후 48시간에 PTX를 주입하기 전에 1.3단계에 설명된 절차에 따라 마우스를 마취해야 합니다. 쥐는 흉골 누운 자세를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의식을 회복할 때까지 돌보아야 합니다.
    3. 대조군의 마우스의 경우 동일한 방법으로 식염수로 치료하고 매일 임상 점수를 평가합니다.
      참고: 마우스는 다음 척도13에 따라 EAE의 징후를 평가했습니다: 0 = 질병 증상 없음, 1 = 꼬리의 완전한 마비, 2 = 부분적인 뒷다리 마비/쇠약, 3 = 완전한 뒷다리 마비, 4 = 앞다리 및 뒷다리 마비, 5 = 빈사 상태.

2. 조직학적 염색 분석

  1. 뇌 수집
    1. 1.3 단계에 따라 마우스를 마취합니다. 경추 탈구로 생쥐를 안락사시키고 가슴을 열어 심장을 완전히 드러냅니다. 귓바퀴를 잘라내고 간이 회색과 흰색이 될 때까지 좌심실에 바늘이 달린 20mL 주사기를 사용하여 미리 냉각된 식염수로 천천히 관관합니다.
    2. 꼬리 끝이 위로 올라갈 때까지 4% 파라포름알데히드를 천천히 관류하면 몸이 뻣뻣해지고 간이 단단해집니다. 머리의 목을 베고, 두개골을 자르고, 핀셋을 사용하여 뇌를 채취하고, 4% 파라포름알데히드 용액에 24시간 동안 고정합니다(재료 표).
  2. 파라핀 절편의 준비
    1. 그라디언트 탈수: 2.1단계의 뇌 조직을 70% 에탄올에 1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담그고, 80% 에탄올을 1시간 동안 에탄올, 1시간 동안 95% 에탄올, 1시간 동안 무수 에탄올에 연속적으로 담그고, 새로운 무수 에탄올로 교체하고, 1시간 동안 계속 담그십시오(재료 표).
    2. 투명도: 2.2.1단계의 뇌 조직을 자일렌에 30분 동안 담그고 새 자일렌으로 교체한 다음 조직이 투명해질 때까지 계속 담그십시오(재료 표).
    3. 임베딩 : 파라핀에 2.2.2 단계의 뇌 조직을 1 시간 동안 삽입하고, 새로운 파라핀으로 교체하고, 1 시간 동안 매립을 계속하고, 곰팡이 방출 후 6 μm 조각으로 자르고, 슬라이드를 뜨거운 물에 넣고 37 °C에서 건조시키고 실온에서 보관합니다 (재료 표).
    4. 탈왁싱: 2.2.3단계의 뇌 조직을 자일렌에 20분 동안 담그고, 신선한 자일렌으로 교체하고, 20분 동안 계속 담그고, 무수 에탄올에 5분 동안 넣고, 신선한 무수 에탄올로 교체하고, 5분 동안 담그고, 75% 에탄올을 5분 동안 담그고, 수돗물로 헹굽니다(재료 표).
    5. 헤마톡실린-에오신 (H&E) 염색: 2.2.4단계의 조직을 헤마톡실린 용액으로 3-5분 동안 염색한 후 수돗물로 헹굽니다. 조직을 헤마톡실린 분화 용액으로 간단히 처리하고 수돗물로 철저히 헹굽니다. hematoxylin Scott 수돗물 블루잉 용액으로 조직을 처리하고 수돗물로 헹굽니다. 85% 에탄올에 5분, 95% 에탄올에 5분 동안 담그고 에오신 염료로 5분 동안 염색 단계를 수행합니다(재료 표).
    6. 탈수: 2.2.5단계의 조직을 무수 에탄올에 5분 동안 연속적으로 담그고, 신선한 무수 에탄올로 교체하고, 5분 동안 계속 담그고, 신선한 무수 에탄올로 교체하고, 5분 동안 담그고, 크실렌을 5분 동안 담그고, 신선한 자일렌으로 교체하고, 5분 동안 담그고, 중성 검으로 밀봉합니다(재료 표).
    7. 현미경을 사용하여 뇌 조직을 관찰하고 이미지 획득 및 분석을 수행합니다(재료 표).

3. LFB 염색 분석

  1. 미엘린 칼집 수집: 머리 말단에서 꼬리 말단까지 쥐의 척추를 2마디 아래로 자르고, 꼬리 말단까지 척수를 불어내고, 척수를 4% 파라포름알데히드 용액에 24시간 동안 고정합니다.
    참고: 미엘린 수초는 2.1단계에서 동일한 마우스에서 채취했으며, 심장 관류 단계는 2.1과 동일합니다.
  2. 파라핀 절편 탈파라핀 화 및 재수화: 3.1단계의 슬라이드를 20분 동안 크실렌에 연속적으로 넣고 신선한 자일렌으로 교체하고 20분 동안 계속 담그고 5분 동안 무수 에탄올을 계속 담그고 5분 동안 무수 에탄올로 교체하고 5분 동안 75% 알코올을 담그고 수돗물로 씻습니다.
  3. 빠른 파란색 염색: luxol 빠른 파란색 염색 용액 A를 60°C 오븐에 넣고 30분 동안 예열합니다. 용액 A에 3.2단계의 슬라이드를 넣고 조각이 마르지 않도록 1시간 동안 플라스틱 멤브레인으로 덮은 다음 슬라이드를 꺼내 수돗물로 빠르게 씻습니다.
  4. 배경 분화: 3.3단계의 슬라이드를 luxol fast blue 염색 용액 B에 2초 동안(염료가 뜨거울 때) 넣고 luxol fast blue 염색 용액 C에 직접 담궈 15초 동안 분화하고 수초가 파란색이 되고 배경이 거의 무색이 될 때까지 물로 씻습니다.
  5. 에오신 카운터 염색: 3.4단계의 슬라이드를 65°C의 오븐에 넣어 건조시킵니다. 완료되면 오븐에서 꺼내 식히십시오. 슬라이드를 95% 에탄올과 에오신 카운터스테인에 넣고 1분 동안 대조합니다.
  6. 탈수 및 밀봉 : 3.5 단계의 슬라이드를 무수 에탄올에 5 분 연속적으로 넣고 신선한 무수 에탄올로 교체하고 5 분 동안 계속 담그고 5 분 동안 계속 담그고 다시 새로운 무수 에탄올로 교체하고 5 분 동안 계속 담그고 크실렌 5 분 동안 담그고 신선한 자일렌으로 교체하고 5 분 동안 담그십시오. 샘플을 세척 및 건조시키고 중성 검으로 밀봉하십시오.
  7. 현미경 검사: 정립 광학 현미경(Table of Materials)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수집하고 분석합니다.

4. 유세포 분석

  1. 생쥐의 복강을 엽니 다. 핀셋을 사용하여 비장을 추출하고 가위를 사용하여 얼음 위의 PBS에서 1.5-2.5cm의 작은 조각으로 다집니다. 2.5mL 주사기 피스톤을 사용하여 2% 소 태아 혈청(FBS)이 포함된 RPMI-1640 10mL에서 비장을 분쇄하고 70μm 세포 스트레이너를 통해 밀어 넣어 단일 세포 현탁액을 얻습니다(재료 표).
    참고: 비장은 2.1단계에서 동일한 마우스에서 수확했습니다.
  2. 단계 4.1에서 얻은 현탁액을 15mL 튜브에 옮기고 5mL의 적혈구 용해 완충액을 사용하여 얼음에서 10분 동안 용해합니다. 2% FBS가 함유된 RPMI-1640으로 세척하고, 350 x g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버리고, 2% FBS가 함유된 RPMI-1640으로 세포를 재현탁합니다.
  3. 자동 세포 계수기(Table of Materials)로 세포를 계수하고 농도를 1 x 106 cells/mL로 조정합니다.
  4. 100μL의 세포 현탁액을 1.5mL 튜브에 피펫팅하고 1μL의 안티 마우스 CD16/32 항체14 (0.5mg/mL)를 30분 동안 배양하여 비특이적 염색을 차단합니다. RPMI-1640으로 세척하고 350 x g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기를 사용하고 상층액을 버립니다. 2% FBS를 함유한 100μL의 RPMI-1640에 세포를 재현탁합니다.
  5. Teff 세포15 의 경우 CD45(Alexa Fluor 700), CD3(FITC), CD4(APC) 및 CD69(BV674)에 특이적인 항체가 있는 염색체를 30분 동안 복용, 각 항체당 2μL. Tem 세포16 에 대해 CD45(Alexa Fluor 700), CD3(FITC), CD4(APC), CD44(BV421) 및 CD62L(PE)에 특이적인 항체가 있는 염색을 30분 동안 각 항체에 대해 2μL. RPMI-1640으로 세척하고 350 x g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버리고 350μL의 PBS에 세포를 재현탁합니다. 유세포분석기 및 관련 소프트웨어(Table of Materials)를 사용하여 세포 비율을 분석합니다.

5. cytometric bead array에 의한 cytokines 분석

  1. 세포 분석 비드 어레이(Table of Materials)를 사용하여 마우스 뇌에서 IL-2, IL-4, IL-6, IL-10, IL-17A, 종양 괴사 인자(TNF)-α 및 IFN-γ를 측정합니다.
  2. 2.1단계에서 설명한 대로 마우스 뇌를 수집합니다.
  3. 총 단백질 추출: 뇌 조직 50mg을 자르고 무게를 잰다(대조군은 뇌 3개, 최고조에 달한 EAE 그룹, RR 단계). 1.5mL 튜브에 뇌를 넣고 PMSF, 프로테아제 억제제 및 인산가수분해효소 억제제가 포함된 500μL의 용해 완충액을 추가합니다.
  4. 뇌를 약 1mm3 개의 작은 조각으로 자르고, 400 W, 5 초 ON 및 5 초 OFF에서 초음파 균질기로 추출합니다. 5회 반복합니다. 튜브를 얼음 위에 10분 동안 놓고 12000 x g 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한 다음 상층액을 수집합니다(재료 표).
  5. 아래와 같이 마우스 Th1/Th2/Th17 사이토카인 표준물질을 준비합니다.
    1. 동결건조된 마우스 Th1/Th2/Th17 표준물질의 바이알을 엽니다. 표준물질을 15mL 원추형 폴리프로필렌 튜브로 옮깁니다. 튜브 상단에 표준으로 레이블을 지정합니다.
    2. 2.0mL의 분석 희석제에서 표준물질을 재구성합니다. 재구성된 표준물질이 실온에서 15분 동안 평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합니다. 재구성된 단백질을 피펫팅으로 부드럽게 혼합합니다.
    3. 12mm x 75mm 튜브에 라벨을 붙이고 1:2, 1:4, 1:8, 1:16, 1:32, 1:64, 1:128, 1:256 순으로 희석합니다. 라벨링된 각 튜브에 300μL의 분석 희석액을 피펫으로 넣습니다.
    4. 연속 희석 수행: 최고 표준물질 300 μL를 1:2 희석 튜브에 옮기고 피펫팅으로 철저히 혼합합니다. 300:2 튜브에서 1:4 튜브로 300μL를 1:256 튜브까지 전송하여 연속 희석을 계속합니다. 0pg/mL 음성 대조군 역할을 하는 분석 희석액만 포함된 12mm x 75mm 튜브를 준비합니다.
      참고: 피펫팅으로 철저히 혼합하십시오. 마이크로비즈의 항체 커플링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와류를 일으키지 마십시오.
    5. 마우스 Th1/Th2/Th17 사이토카인 포획 비드를 혼합하려면 실험을 위해 각 그룹(대조군, 피크 단계의 EAE 그룹 및 RR 단계)에 3개의 샘플이 있는 표준물질을 포함하여 19개의 튜브를 준비합니다. 포획 구슬 현탁액을 섞기 전에 5초 동안 격렬하게 소용돌이치십시오. 각 capture bead 190 μL를 단일 tube에 추가하고 mixed capture beads로 라벨링합니다. 비드 혼합물을 철저히 소용돌이치십시오.
      참고: 항체 접합 비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현탁액에서 침전됩니다. 비드 현탁액 부분 표본을 복용하기 전에 바이알을 와류(vortex)해야 합니다.
    6.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혼합물 포획 비드를 와류로 만듭니다. 모든 분석 튜브에 50μL의 비드를 추가합니다. 표 1과 같이 50μL의 마우스 Th1/Th2/Th17 사이토카인 표준 희석액을 대조 튜브에 추가합니다.
    7. 모든 분석 튜브에 마우스 Th1/Th2/Th17 PE 검출 시약 50μL를 추가합니다.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분석 튜브를 배양하고 빛으로부터 보호합니다. 각 분석 튜브에 세척 완충액 1mL를 추가하고 200 x g 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합니다. 각 분석 튜브에서 상등액을 조심스럽게 흡인하고 폐기합니다.
    8. 각 분석 튜브에 300μL의 세척 버퍼를 추가하여 비드 펠릿을 재현탁합니다. FCAP Array 소프트웨어(Table of Materials)를 사용하여 마우스 Th1/Th2/Th17 사이토카인 데이터를 분석합니다.

  

결과

임상 점수 평가
그림 1에서 볼 수 있듯이 대조군의 마우스는 어떠한 임상 증상도 나타내지 않았습니다. MOG35-55를 투여한 EAE 그룹의 마우스는 면역 접종 후 약 12일 후에 꼬리 마비를 보였다. 16일째가 되자 증상은 완전한 뒷다리 마비(정점 단계, 정점으로 정의됨)에 도달했습니다. 그 후, 증상은 점차 완화되었습니다. 생쥐의 임상 증상은...

토론

다발성경화증은 중추신경계의 가장 흔한 자가면역 탈수초 질환으로, 전 세계 수백만 명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칩니다17. EAE는 MS18의 임상적 병리학적 특징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전형적인 동물 모델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다발성경화증이 있는 개인은 중추신경계의 축삭돌기와 뉴런의 퇴화로 인해 인지 장애 및 기타 장애를 경험하는...

공개

저자는 공개할 내용이 없습니다.

감사의 말

이 연구는 닝샤 자연과학재단(2022AAC03601 및 2023AAC02087)과 닝샤 의과대학 연구재단(XM2019052)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Ningxia Medical University 의료 과학 기술 연구 센터의 지원에 감사드립니다.

자료

NameCompanyCatalog NumberComments
Anesthesia machine evaporatorNorvap20-17368
 IsofluraneSigma-Aldrich (Shanghai) Trading Co.Ltd.792632
70 μm cell strainerXIYAN Co.,Ltd.15-1070
Alexa Fluor 700 anti-mouse CD45 AntibodyBiolegend103128
APC anti-mouse CD4 AntibodyBiolegend100616
Automatic cell counterJiangsu JIMBIO technology Co., LTDJIMBIO iCyta S2
BD* Cytometric Bead Array (CBA) Mouse Th1/Th2/Th17 CBA KitBD Biosciences560485
Biotin anti-mouse CD16/32 AntibodyBiolegend101303
Brilliant Violet 510 anti-mouse CD69 AntibodyBiolegend104532
BV786 Rat Anti-Mouse CD62L(MEL-14)BD Pharmingen563109
Column Tissue&Cell Protein Extraction KitShanghai Epizyme Biomedical Technology Co., LtdPC201Plus
Complete Freund's AdjuvantSigma-Aldrich (Shanghai) Trading Co.Ltd. SLCH4887
DehydratorDIAPATHDonatello
Disposable sterilized syringe (1 mL)Yikang Group210820
Disposable sterilized syringe (2.5 mL)Yikang Group210820
Disposable sterilized syringe (5 mL)Yikang Group210820
Dyeing machineDIAPATHGiotto
Embedding machineWuhan Junjie Electronics Co., LtdJB-P5
EthanolSCRC100092683
Fetal Bovine SerumProcell Life Science&Technology Co.,Ltd.FSP500
FITC Hamster Anti-Mouse CD3e(145-2C11)BD Pharmingen553062
Flow cytometerBecton,Dickinson and CompanyFACSCelesta
Flow cytometerBecton,Dickinson and CompanyAccuri C6
Flow Jo softwareBD Biosciences10.8.1
Frozen platformWuhan Junjie Electronics Co., Ltd JB-L5
Glass slideServicebioG6004
HE dye solution setServicebioG1003
Hematoxylin-Eosin solutionServicebioG1002
High speed refrigerated centrifugeThermo Fisher ScientificMogafugo8R
Imaging systemNikonNIKON DS-U3
Luxol fast blue staining kitServicebioG1030
Ms CD44 BV421 IM7BD Pharmingen564970
Mycobacterium tuberculosis H37RABD Pharmingen231141
Myelin oligodendrocyte glycoprotein (MOG35-55)AnaSpecAS-60130-1
Neutral gumSCRC10004160
OrganizerKEDEEKD-P
OvenLaboteryGFL-230
Pathology slicerLeicaRM2016
Pertussis Toxin from Bordetella pertussisSigma-Aldrich (Shanghai) Trading Co.Ltd.P7208
Phosphate buffered salineServicebioG4202
Pipette 0.5-10 μLDLAB Scientific7010101004
Pipette 100-1000 μLDLAB Scientific7010101014
Pipette 20-200 μLDLAB Scientific7010101009
RPMI-1640Procell Life Science&Technology Co.,Ltd.PM150110
Tee valveGuangdong Kanghua Medical Co., LTDA06
Tissue spreaderZhejiang Kehua Instrument Co.,LtdKD-P
Upright optical microscopeNikonNIKON ECLIPSE E100
XyleneSCRC10023418

참고문헌

  1. Swanberg, K., et al. Multiple sclerosis diagnosis and phenotype identification by multivariate classification of in vivo frontal cortex metabolite profiles. Sci Rep. 12 (1), 13888 (2022).
  2. Zahoor, I., et al. An emerging potential of metabolomics in multiple sclerosis: a comprehensive overview. Cell Mol Life Sci. 78 (7), 3181-3203 (2021).
  3. Vitturi, B., et al.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the prevalence of unemployment and early retirement in people with multiple sclerosis: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PloS one. 17 (7), 0272156 (2022).
  4. Brambilla, R. The contribution of astrocytes to the neuroinflammatory response in multiple sclerosis and 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Acta neuropathologica. 137 (5), 757-783 (2019).
  5. Niedźwiedzka-Rystwej, P., Tokarz-Deptuła, B., Deptuła, W. Characteristics of T lymphocyte subpopulations. Postepy Hig Med Dosw. 67, 371-379 (2013).
  6. Loos, J., et al.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1, Th17, and ex-Th17 cells in EAE revealed by intravital two-photon microscopy. J neuroinflammation. 17 (1), 357 (2020).
  7. Prajeeth, C., et al. Effectors of Th1 and Th17 cells act on astrocytes and augment their neuroinflammatory properties. J neuroinflammation. 14 (1), 204 (2017).
  8. Nielsen Birgitte, R., et al. Characterization of naïve, memory and effector T cells in progressive multiple sclerosis. J Neuroimmunol. 310, 17-25 (2017).
  9. Xie, L., et al. The role of CD4+ T cells in tumor and chronic viral immune responses. Med Comm. 4 (5), e390 (2023).
  10. Sun, L., et al. T cells in health and disease. Signal Transduct Target Ther. 8 (1), 235 (2023).
  11. Kawabe, T., et al. Memory-phenotype CD4+ T cells spontaneously generated under steady-state conditions exert innate TH1-like effector function. Sci Immunol. 2 (12), (2017).
  12. Moon, J., et al. A study of 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in dogs as a disease model for canine necrotizing encephalitis. J Vet Sci. 16 (2), 203-211 (2015).
  13. Pérez-Nievas, B., et al. Chronic immobilisation stress ameliorates clinical score and neuroinflammation in a MOG-induced EAE in Dark Agouti rats: mechanisms implicated. J neuroinflammation. 7, 60 (2010).
  14. Zheng, J., et al. Prostaglandin D2 signaling in dendritic cells is critical for the development of EAE. J Autoimmun. 114, 102508 (2020).
  15. Adamczyk, M., et al. The expression of activation markers CD25 and CD69 increases during biologic treatment of Psoriasis. J Clin Med. 12 (20), 6573 (2023).
  16. Meng, R., et al. Echinococcus multilocularisIndoleamine 2,3-dioxygenase 1 signaling orchestrates immune tolerance in -infected mice. Front Immunol. 13, 1032280 (2022).
  17. Sheinin, M., et al. Suppression of 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in mice by β-Hydroxy β-Methylbutyrate, a body-building supplement in humans. J Immunol. 211 (2), 187-198 (2023).
  18. Ghareghani, M., et al. Hormones in 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EAE) animal models. Transl Neurosci. 12 (1), 164-189 (2021).
  19. Pérez-Miralles, F., et al. Clinical impact of early brain atrophy in clinically isolated syndromes. Mult Scler. 19 (14), 1878-1886 (2013).
  20. Nygaard, G., et al. Cortical thickness and surface area relate to specific symptoms in early relapsing-remitting multiple sclerosis. Mult Scler. 21 (4), 402-414 (2015).
  21. Biberacher, V., et al. Atrophy and structural variability of the upper cervical cord in early multiple sclerosis. Mult Scler. 21 (7), 875-884 (2015).
  22. Ma, Y., et al. Epsilon toxin-producing Clostridium perfringens colonize the multiple sclerosis gut microbiome overcoming CNS immune privilege. J Clin Invest. 133 (9), e163239 (2023).
  23. Cibrián, D., Sánchez, M. CD69: from activation marker to metabolic gatekeeper. Eur J Immunol. 47 (6), 946-953 (2017).
  24. Clarkson Benjamin, D., et al. Preservation of antigen-specific responses in cryopreserved CD4 and CD8 T cells expanded with IL-2 and IL-7. J Transl Autoimmun. 5, 100173 (2022).
  25. Raeber Miro, E., et al. The role of cytokines in T-cell memory in health and disease. Immunol Rev. 283 (1), 176-193 (2018).
  26. Ville, S., et al. Co-stimulatory blockade of the CD28/CD80-86/CTLA-4 balance in transplantation: Impact on memory T cells. Front Immunol. 6, 411 (2015).
  27. Natalini, A., et al. OMIP-079: Cell cycle of CD4+ and CD8+ naïve/memory T cell subsets, and of Treg cells from mouse spleen. Cytometry A. 99 (12), 1171-1175 (2021).
  28. Joffre, O., et al. Cross-presentation by dendritic cells. Nat Rev Immunol. 12 (8), 557-569 (2012).
  29. Montes, M., et al. Oligoclonal myelin-reactive T-cell infiltrates derived from multiple sclerosis lesions are enriched in Th17 cells. Clin Immunol. 130 (2), 133-144 (2009).
  30. Feruglio, S., Kvale, D., Dyrhol, R. T. Cell responses and regulation and the impact of in vitro IL-10 and TGF-β modulation during treatment of active tuberculosis. Scand J Immunol. 85 (2), 138-146 (2017).

재인쇄 및 허가

JoVE'article의 텍스트 или 그림을 다시 사용하시려면 허가 살펴보기

허가 살펴보기

더 많은 기사 탐색

CD4 TMOG35 55TTTTh1Th17T

This article has been published

Video Coming Soon

JoVE Logo

개인 정보 보호

이용 약관

정책

연구

교육

JoVE 소개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