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JoVE 비디오를 활용하시려면 도서관을 통한 기관 구독이 필요합니다. 전체 비디오를 보시려면 로그인하거나 무료 트라이얼을 시작하세요.

기사 소개

  • 요약
  • 초록
  • 서문
  • 프로토콜
  • 결과
  • 토론
  • 공개
  • 감사의 말
  • 자료
  • 참고문헌
  • 재인쇄 및 허가

요약

여기에서는 대퇴사두근 두께를 측정하기 위해 현장 진료 초음파를 사용하여 수술 전후 환경에서 노쇠를 평가하는 프로토콜을 제시합니다. 이 방법은 기존 평가 방법에 대한 실용적이고 비침습적인 대안을 제공하며, 허약한 환자를 신속하게 식별하여 수술 전후 치료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초록

노쇠는 기계 환기 시간 증가, 장기 입원, 계획되지 않은 재입원, 뇌졸중, 섬망 및 사망을 포함하여 수술 환자의 다양한 부작용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수입니다. 그러나 임상 환경에서 스크리닝을 위한 접근 가능한 도구는 제한적입니다. 요근의 컴퓨터 단층 촬영은 노쇠를 측정하기 위한 현재 표준 영상 장치이지만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고 환자를 전리 방사선에 노출시킵니다. 최근에는 현장 진료 초음파(POCUS)의 사용이 노쇠의 유무를 판단하는 잠재적인 도구로 부상했으며 노쇠 및 수술 후 결과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기사에서는 대퇴사두근의 이미지 획득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사용하여 노쇠를 결정하고 수술 후 부작용을 예측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프로브 선택, 환자 위치 지정 및 문제 해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시연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POCUS 기법과 예시 결과를 제시합니다. 이 기사는 의학적 의사 결정에서 이러한 이미지의 사용과 잠재적인 한계에 대한 논의로 절정에 달할 것입니다.

서문

전 세계적으로 평균 기대 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65세 이상의 환자에 대한 수술 건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1. 노쇠는 젊은 환자에 비해 이러한 환자에서 더 흔하며 수술을 포함한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생리적 취약성 상태를 나타냅니다 2,3,4. 수술 전 환경에서의 노쇠는 많은 외과 하위 전문 분야5,6,7,8,9,10,11,12,13에서 수술 후 부작용의 더 높은 위험과 관련이 있으며, 여기에는 장기 입원 기간10,14, 독립성 상실15,16 등이 포함된다 , 재입원율17,18, 비용 증가14, 사망률 10,18,19,20. 따라서 수술 전후 의료진은 수술 전 의사 결정 시 환자의 허약을 고려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노쇠를 진단하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피로, 쇠약(악력으로 측정), 느린 보행 속도, 체중 감소, 낮은 신체 활동 수준 등의 5가지 요인으로 구성된 Fried frailty 표현형입니다21. 그러나 이 척도는 주로 외래 환자 서비스를 위해 설계되었으며 수술 전후 환경에서 너무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또한 환자의 협조가 필요하며 정신 상태가 변화된 환자에게는 실용적이지 않습니다. 또한 CT 스캔은 근감소증 진단을 위한 근육량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이는 노쇠 평가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CT 스캔은 효과적이기는 하지만 자원 할당에 실질적인 문제가 있으며 특히 수술 전후 기간에 환자를 전리 방사선에 노출시킵니다. 22 그러므로, 근육량이 감소된 수술 전 환자를 빠르고 정확하게 식별하여 수술 위험이 높은 환자를 표시할 수 있는 병상 검사가 필요합니다.

최근 Canales et al.은 현장 진료 초음파를 사용하여 수술 전 환경에서 노쇠를 선별하는 방법에 대해 보고했습니다23. 그들은 대퇴사두근 두께가 노쇠를 정확하게 예측하고 수술 후 전문 요양 시설로의 퇴원 및 섬망에 대한 독립적인 예측 변수라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대퇴사두근은 허벅지 앞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퇴직근(rectus femoris), 내측근(vastus medialis), 광대 라테랄리스(vastus lateralis), 광대근(vastus intermedius24)의 4개의 근육 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수술 전 환경에서 노쇠 검사를 위해 현장 진료 초음파를 사용하면 Fried 노쇠 평가 및 CT 영상에 비해 이점이 있습니다. 현장 진료 초음파는 근육량 및 질과 같은 생리학적 매개변수에 대한 객관적인 측정을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즉각적이고 비침습적인 평가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 접근법은 보다 실용적이고 효율적이며, 전통적인 평가를 받을 수 없는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으며, 수술 전후 위험 계층화를 강화하고 결과를 개선한다23.

이 백서에서는 대퇴사두근의 현장 진료 초음파 측정(프로브 선택, 환자 위치 지정 및 문제 해결 포함)을 얻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고 수술 전후 환경에서 이 측정의 의미에 대해 논의합니다.

프로토콜

인간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수행된 모든 절차는 기관 및/또는 국가 연구 위원회의 윤리 기준과 1964년 헬싱키 선언 및 그 이후의 개정안 또는 이에 준하는 윤리 기준에 따랐다.

참고: 검사는 환자의 신체 습관, 프로브 가용성 및 제공자 선호도에 따라 저주파 곡선(2-5MHz) 또는 중-고주파 선형 프로브(6-12MHz)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그림과 스캔을 위해 곡선형 프로브(C35xp, SonoSite M-Turbo)가 사용되었습니다.

1. 대퇴사두근 스캐닝 기술

  1. 대퇴사두근 깊이 측정
    1. 환자 자세 지정: 다리를 쭉 뻗은 상태에서 환자를 앙와위 자세(침대 머리를 30도로 올림)에 놓습니다.
    2. 프로브 선택: 저주파 곡선 또는 중-고주파 선형 프로브를 선택합니다.
    3. 모드 선택: 스캐너의 사전 설정(즉, 검사 유형)을 근골격계(MSK) 설정으로 설정합니다.
    4. 프로브 배치:
      1. 전방 상장골 척추(ASIS)에서 슬개골 상부 경계까지의 길이의 약 60%에 있는 전방 허벅지에 프로브를 가로로 놓습니다(그림 1).
      2. 프로브가 근육의 긴 축에 수직인 경우 대퇴사두근은 피하 조직에 깊숙이 보이고 대퇴골에 표면적으로 나타납니다.
      3. 기저에 있는 연조직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추가 접촉 젤을 사용하십시오.
    5. 이미지 최적화:
      1. 표재성 부종으로 인한 근육 두께의 과대 평가를 방지하기 위해 통증을 유발하지 않고 초음파 프로브에 강한 압력을 가하십시오25.
      2. 대퇴직근을 식별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 환자에게 허벅지 근육을 수축시키거나 무릎을 펴도록 요청하십시오. 대퇴직근은 표재성이며 고관절을 가로지르기 때문에 더 깊은 광근과 비교하여 다른 운동 패턴을 보일 것입니다(보충 비디오 1).
    6. 대퇴사두근 두께 측정
      1. 초음파 기계에서 Measure를 눌러 초음파 기계의 Caliper 기능을 활성화합니다.
      2. 커서를 사용하여 (1) 대퇴골 피질의 표면적인 vastus intermedius의 깊은 경계와 (2) 대퇴직근의 가장 표재적인 근막 사이의 전방에서 후방까지의 거리를 측정합니다(그림 2).
        참고: 1.1.6.2에 언급된 구조를 식별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 캘리퍼 기능을 활성화하기 전에 비디오 1 보충 자료에 언급된 단계를 반복할 수 있습니다. 대퇴사두근 두께는 대퇴직근(rectus femoris)과 광대근(vastus intermedius)의 근육 두께의 합입니다(그림 3).
    7. 이미지 획득: Acquire 를 클릭하여 이 초음파 보기의 비디오 클립을 저장합니다.
    8. 측정(1.1.6-1.1.7단계)을 세 번 반복하고 평균값을 사용하여 변동성을 최소화합니다.

2. 대퇴직근 스캐닝 기법

  1. 대퇴직근 단면적(CSA) 측정
    1. 환자 포지셔닝: 1.1.1단계를 따릅니다.
    2. 프로브 선택: 1.1.2단계를 따릅니다.
    3. 모드 선택: 1.1.3단계를 따릅니다.
    4. 프로브 배치: 1.1.4단계를 따릅니다.
    5. 이미지 최적화:
      1. 표시된 스캔의 오른쪽에 있는 세로 눈금자를 사용하여 깊이를 조정합니다. 터치 컨트롤 패널 하단의 수평 슬라이드 바를 사용하여 게인을 조정하여 대퇴직근이 초음파 프레임의 중앙에 오도록 하고 경계와 아래에 있는 대퇴골을 명확하게 시각화합니다.
      2. 대퇴직근(rectus femoris muscle)을 허벅지 앞쪽 구획 내의 저에코 구조로 식별하며, 중앙 에코제닉 라인은 근육 내 힘줄을 나타냅니다.
      3. 초음파 기계에서 캘리퍼 기능을 활성화하고 대퇴직근 주변부를 주의 깊게 추적하여 단면적을 정의합니다. 초음파 기계는 추적을 기반으로 CSA를 계산하고 표시합니다.
    6. 이미지 획득: 1.1.6단계를 따릅니다.
    7. 측정을 세 번 반복하고 평균값을 사용하여 변동성을 최소화합니다.
  2. Rectus Femoris 둘레 측정
    1. 환자 포지셔닝: 1.1.1단계를 따릅니다.
    2. 프로브 선택: 1.1.2단계를 따릅니다.
    3. 모드 선택: 1.1.3단계를 따릅니다.
    4. 프로브 배치: 1.1.4단계를 따릅니다.
    5. 이미지 최적화:
      1. 표시된 스캔의 오른쪽에 있는 세로 눈금자를 사용하여 깊이를 조정합니다. 터치 컨트롤 패널 하단의 수평 슬라이드 바를 사용하여 게인을 조정하여 대퇴직근이 초음파 프레임의 중앙에 오도록 하고 경계와 아래에 있는 대퇴골을 명확하게 시각화합니다.
      2. 대퇴직근(rectus femoris muscle)을 허벅지 앞쪽 구획 내의 저에코 구조로 식별하며, 중앙 에코제닉 라인은 근육 내 힘줄을 나타냅니다.
      3. 초음파 기계에서 캘리퍼 기능을 활성화하고 대퇴직근 주변부를 주의 깊게 추적하여 단면적을 정의합니다. 초음파 기계는 추적을 기반으로 둘레를 계산하고 표시합니다(그림 4).
    6. 이미지 획득: 1.1.6단계를 따릅니다.
    7. 측정을 세 번 반복하고 평균값을 사용하여 변동성을 최소화합니다.

결과

실시간 초음파를 사용하여 대퇴사두근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이 프로토콜을 구현하면 노쇠 지표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 프로토콜에 설명된 단계에 따라 환자를 배치하고 대퇴사두근의 최적 시각화를 위해 적절한 초음파 프로브를 선택했습니다.

이 기법에서 성공하기 위한 핵심은 ASIS에서 슬개골의 상부 경계까지의 길이의 약 60%에서 프로브를 근육(...

토론

이전 연구에 따르면 POCUS는 CT 스캔 26,27,28에 필적하는 정확도로 대퇴사두근을 포함한 근육 두께를 추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퇴사두근 두께의 초음파 측정은 노쇠와 상관관계가 있으며 특정 수술 후 결과를 예측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23. 또한 이 방법은 수술 전 환경이나 환자나 제공자가 긴 검?...

공개

저자 중 누구도 공개해야 할 이해 상충이 없습니다.

감사의 말

없음. 이 프로젝트에 대한 자금이 접수되지 않았습니다.

자료

NameCompanyCatalog NumberComments
High Frequency Ultrasound Probe (HFL38xp)SonoSite (FujiFilm)P16038
Low Frequency Ultrasound Probe (C35xp)SonoSite (FujiFilm)P19617
SonoSite X-porte UltrasoundSonoSite (FujiFilm)P19220
Ultrasound GelAquaSonicPLI 01-08

참고문헌

  1. Etzioni, D. A., Liu, J. H., O'Connell, J. B., Maggard, M. A., Ko, C. Y. Elderly patients in surgical workloads: A population-based analysis. Am Surg. 69 (11), 961-965 (2003).
  2. Rohrmann, S. Epidemiology of frailty in older people. Adv Exp Med Biol. 1216, 21-27 (2020).
  3. Clegg, A., Young, J., Iliffe, S., Rikkert, M. O., Rockwood, K. Frailty in elderly people. Lancet. 381 (9868), 752-762 (2013).
  4. Torpy, J. M., Lynm, C., Glass, R. M. Frailty in older adults. JAMA. 296 (18), 2280 (2006).
  5. Arya, S., et al. Frailty increases the risk of 30-day mortality, morbidity, and failure to rescue after elective abdominal aortic aneurysm repair independent of age and comorbidities. J Vasc Surg. 61 (2), 324-331 (2015).
  6. Engelhardt, K. E., et al. Frailty screening and a frailty pathway decrease length of stay, loss of independence, and 30-day readmission rates in frail geriatric trauma and emergency general surgery patients. J Trauma Acute Care Surg. 85 (1), 167-173 (2018).
  7. Gans, E. A., et al. Frailty and treatment decisions in older patients with vulvar cancer: A single-center cohort study. J Geriatr Oncol. 14 (2), 101442 (2023).
  8. Carlstrom, L. P., Helal, A., Perry, A., Lakomkin, N., Graffeo, C. S., Clarke, M. J. Too frail is to fail: Frailty portends poor outcomes in the elderly with type II odontoid fractures independent of management strategy. J Clin Neurosci. 93, 48-53 (2021).
  9. Ho, V. P., et al. Health status, frailty, and multimorbidity in patients with emergency general surgery conditions. Surgery. 172 (1), 446-452 (2022).
  10. Modrall, J. G., Tsai, S., Ramanan, B., Rosero, E. B. Frailty as a predictor of mortality for fenestrated EVAR and open surgical repair of aortic aneurysms involving visceral vessels. Ann Vasc Surg. 80, 29-36 (2022).
  11. Lee, A. C. H., Lee, S. M., Ferguson, M. K. Frailty is associated with adverse postoperative outcomes after lung cancer resection. JTO Clin Res Rep. 3 (11), 100414 (2022).
  12. Mah, S. J., et al. The five-factor modified frailty index predicts adverse postoperative and chemotherapy outcomes in gynecologic oncology. Gynecol Oncol. 166 (1), 154-161 (2022).
  13. Ogawa, M., et al. Impact of frailty on postoperative dysphagia in patients undergoing elective cardiovascular surgery. JACC Asia. 2 (1), 104-113 (2022).
  14. Huq, S., et al. Frailty in patients undergoing surgery for brain tumor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World Neurosurg. 166, 268-278 (2022).
  15. Owodunni, O. P., Mostales, J. C., Qin, C. X., Gabre-Kidan, A., Magnuson, T., Gearhart, S. L. Preoperative frailty assessment, operative severity score, and early postoperative loss of independence in surgical patients age 65 years or older. J Am Coll Surg. 232 (4), 387-395 (2021).
  16. DeAngelo, M. M., et al. Impact of frailty on risk of long-term functional decline following vascular surgery. J Vasc Surg. 77 (2), 515-522 (2023).
  17. Rothenberg, K. A., et al. Association of frailty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ith unplanned readmissions after elective outpatient surgery. JAMA Netw Open. 2 (5), e194330 (2019).
  18. Sastry, R. A., Pertsch, N. J., Tang, O., Shao, B., Toms, S. A., Weil, R. J. Frailty and outcomes after craniotomy for brain tumor. J Clin Neurosci. 81, 95-100 (2020).
  19. Shinall, M. C., et al. Association of preoperative patient frailty and operative stress with postoperative mortality. JAMA Surg. 155 (1), e194620 (2020).
  20. Kennedy, C. A., Shipway, D., Barry, K. Frailty and emergency abdominal surger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urgeon. 20 (6), e307-e314 (2022).
  21. Fried, L. P., et al. Frailty in older adults: Evidence for a phenotype.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56 (3), M146-M157 (2001).
  22. Knoedler, S., et al. Impact of sarcopenia on outcomes in surgical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t J Surg. 109 (12), 4238-4262 (2023).
  23. Canales, C., et al. Preoperative point-of-care ultrasound to identify frailty and predict postoperative outcomes: A diagnostic accuracy study. Anesthesiology. 136 (2), 268-278 (2022).
  24. Pasta, G., Nanni, G., Molini, L., Bianchi, S. Sonography of the quadriceps muscle: Examination technique, normal anatomy, and traumatic lesions. J Ultrasound. 13 (2), 76-84 (2010).
  25. Pardo, E., El Behi, H., Boizeau, P., Verdonk, F., Alberti, C., Lescot, T. Reliability of ultrasound measurements of quadriceps muscle thickness in critically ill patients. BMC Anesthesiol. 18 (1), 205 (2018).
  26. Nijholt, W., Scafoglieri, A., Jager-Wittenaar, H., Hobbelen, J. S. M., Van Der Schans, C. P.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ultrasound to quantify muscles in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J Cachexia Sarcopenia Muscle. 8 (5), 702-712 (2017).
  27. Hogenbirk, R. N. M., et al. Thickness of biceps and quadriceps femoris muscle measured using point-of-care ultrasound as a representation of total skeletal muscle mass. J Clin Med. 11 (22), 6606 (2022).
  28. Lambell, K. J., et al. Comparison of ultrasound-derived muscle thickness with computed tomography muscle cross-sectional area on admission to the intensive care unit: A pilot cross-sectional study. JPEN J Parenter Enteral Nutr. 45 (1), 136-145 (2021).
  29. Zhao, R., et al. Evaluation of appendicular muscle mass in sarcopenia in older adults using ultrasonograph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Gerontology. 68 (10), 1174-1198 (2022).
  30. Ghaffarian, A. A., et al. Prognostic implications of diagnosing frailty and sarcopenia in vascular surgery practice. J Vasc Surg. 70 (3), 892-900 (2019).
  31. Martin, F. C., Ranhoff, A. H. Frailty and Sarcopenia. Orthogeriatrics: The Management of Older Patients with Fragility Fractures. , (2021).
  32. Davies, B., et al. Differential association of frailty and sarcopenia with mortality and disability: Insight supporting clinical subtypes of frailty. J Am Med Dir Assoc. 23 (10), 1712-1716 (2022).
  33. Ben-Menachem, E., Ashes, C. Point-of-care ultrasound frailty assessments. Comment. Anesthesiology. 137 (3), 373-374 (2022).
  34. Ijaz, N., et al. Interventions for frailty among older adul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J Am Collo Cardiol. 79 (5), 482-503 (2022).
  35. Thompson, C., Dodds, R. M. The ageing syndromes of sarcopenia and frailty. Medicine. 49 (1), 6-9 (2021).

재인쇄 및 허가

JoVE'article의 텍스트 или 그림을 다시 사용하시려면 허가 살펴보기

허가 살펴보기

더 많은 기사 탐색

209

This article has been published

Video Coming Soon

JoVE Logo

개인 정보 보호

이용 약관

정책

연구

교육

JoVE 소개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