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VE Logo

로그인

JoVE 비디오를 활용하시려면 도서관을 통한 기관 구독이 필요합니다. 전체 비디오를 보시려면 로그인하거나 무료 트라이얼을 시작하세요.

기사 소개

  • 요약
  • 초록
  • 서문
  • 프로토콜
  • 결과
  • 토론
  • 공개
  • 감사의 말
  • 자료
  • 참고문헌
  • 재인쇄 및 허가

요약

이 프로토콜은 망막의 시냅스 회로 및 단백질 국소화를 탐색하는 데 중점을 두고 면역전자 현미경을 사전 삽입하는 세부 단계를 간략하게 설명합니다.

초록

망막은 다양한 신경 회로를 형성하는 수많은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시각 경로의 첫 번째 단계를 구성합니다. 각 회로는 고유한 특징과 뚜렷한 신경 전달 물질로 특징지어지며 그 역할과 기능적 중요성을 결정합니다. 망막의 구조 내에 있는 복잡한 세포 유형을 감안할 때, 망막에 있는 신경 회로의 복잡성은 연구에 대한 도전을 제기합니다. 원뿔과 간상 경로 사이의 연결과 같은 망막 회로 및 누화, 마우스 망막에 있는 물질 P와 같은 면역 반응성의 존재와 같은 정확한 분자 국소화(신경 전달 물질 또는 신경 펩티드)를 더 잘 조사하기 위해 우리는 시냅스 연결 및 조직을 탐구하기 위해 사전 내장 면역 전자 현미경(immuno-EM)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이 접근 방식을 통해 특정 세포 간 시냅스 연결과 정확한 분자 국소화를 정확히 찾아낼 수 있으며 그 기능을 탐구하는 데 안내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프로토콜, 사용된 시약 및 (1) 망막 고정 준비, (2) 사전 삽입 면역염색, (3) 수정 후 및 삽입을 포함한 자세한 단계에 대해 설명합니다.

서문

망막에 있는 신경 회로의 복잡성은 구조 내의 다양한 세포 유형을 고려할 때 연구에 대한 도전을 제시합니다 1,2. 초기 단계에는 서로 다른 세포 간의 시냅스 연결을 식별하고 특정 신경 전달 물질 또는 신경 펩티드의 세포 국소화를 결정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분자 생물학이 발전함에 따라 새로운 단백질이 도입됨에 따라 단백질의 기능을 이해하고 망막 회로와 시냅스 연결을 분석하는 데 단백질의 정확한 위치 파악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3,4,5.

광학 현미경의 제한된 해상도로 인해 전자 현미경(EM)은 일반적으로 신경 세포의 세포 내 구조를 감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EM은 세포 초미구조 6,7,8,9를 관찰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존의 투과 전자 현미경(TEM)과 함께 다양한 분류가 있습니다. EM의 공간 해상도와 단백질10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화학적 식별 능력을 결합한 면역 전자 현미경(immuno-EM)은 망막11,12에서 시냅스 연결 및 세포 내 단백질 국소화를 조사하기 위한 최적의 독점적인 방법으로 두드러집니다.

Immuno-EM 기법은 embedding과 antibody incubation의 순서에 따라 pre-embedding과 post-embedding 방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post-embedding 방법과 비교하여, pre-embedding 접근법은 대규모 및 장거리 식별이 가능하여(13,14,15), 축삭돌기 및 수상돌기와 같은 세포 돌기를 연구하기 위한 최적의 접근법을 제공합니다. 또한 이 기술은 강력한 신호와 넓은 시야를 제공하므로 세포질의 단백질 발현 및 분자 국소화에 대한 포괄적인 조사에 유리합니다. 이 방법은 전체 세포질, 세포 또는 망막에서 볼 수 있는 화학적으로 식별된 구조를 보장하는 데 특히 유용한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

그러나, 포스트-임베딩 방법은 프리-임베딩 방법에 비해 침투 또는 확산이 낮지만, 민감하지 않다16,17. 간단히 말해서, 세포질 또는 시냅스 말단에서 특정 신경전달물질의 국소화를 탐색하는 것이 목표인 경우, pre-embedding immuno-EM이 선호되는 방법입니다. 반대로, 막 수용체의 국소화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post-embedding immunogold EM을 활용하는 것이 더 권장됩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우리는 원뿔과 간상 경로 간의 상호 작용을 포함한 망막 회로와 마우스 망막에서 물질 P-유사 면역 반응(SP-IR)의 분포 및 시냅스 조직과 같은 분자 국소화를 탐구하기 위해 사전 임베딩 면역-EM 방법을 선택합니다.

프로토콜

동물의 보살핌과 취급은 ARVO 지침에 따라 Wenzhou Medical University의 윤리위원회 규정에 의해 승인되었습니다. 이 연구에는 성체 마우스(C57BL/6J, 수컷 및 암컷, 8주에서 12주령)가 활용되었습니다. 연구에 필요한 장비 및 시약은 재료 표에 나열되어 있습니다.

1. 망막 고정을 위한 준비

  1. 다음 재료와 도구를 조립하십시오: 해부 현미경, 끝이 매우 가는 두 개의 집게, 가위, 1mL 주사기 바늘(바늘 크기: G26) 및 여과지.
  2. 체중의 0.25mg/g에서 2,2,2-트리브로모에탄올을 복강내 주사하여 마우스를 깊게 마취합니다. 그 후, 쥐의 목을 베고 머리를 자른다16.
  3. 팔꿈치 가위로 눈을 적출하고 0.1M 인산염 완충액(PB, pH 7.4)에 4% 파라포름알데히드-0.2% 피크르산이 함유된 유리 접시에 넣습니다.
  4. 해부 현미경으로 1mL 주사 바늘을 사용하여 각막 변두리에 구멍을 뚫고 구멍을 따라 가위로 앞쪽 부분을 잘라냅니다. 그런 다음 집게로 안쪽 망막 표면에서 수정체를 제거합니다.
  5. 두 개의 겸자를 사용하여 망막이 아이컵에서 완전히 분리될 때까지 공막을 조심스럽게 벗겨냅니다(맥락막에서 완전히 분리된 큐피 망막 조직). 그런 다음 망막을 네 조각으로 자릅니다.
  6. 이 부분을 실온(RT)에서 2시간 동안 0.1M PB(pH 7.4)의 4% 파라포름알데히드-0.2% 피크린산에 고정한 다음 조직을 4°C에서 밤새 0.1M PB(pH 10.4)의 4% 파라포름알데히드로 옮깁니다.

2. 사전 임베딩 면역염색

  1. 0.01 M PBS (pH 7.4)에서 각각 10 분 동안 6 회 세척 한 후, 망막 조직을 1 % 수소화 붕소 (NaBH4)에 0.01 M PBS (pH 7.4)에서 30 분 동안 배양합니다.
  2. 망막 절편을 0.01M PBS(pH 7.4)로 최소 6회 세척합니다. 한편, 여과지로 유리체를 제거한 다음 양날 면도날을 사용하여 망막을 100-300μm 사이의 작은 조각으로 자릅니다.
  3. RT에서 0.1M PB(pH 7.4)의 5% 정상 염소 혈청(NGS)으로 1시간 동안 차단한 후 망막 절편을 1차 항체(Anti-rabbit PKCα, 1:80; Anti-Rabbit SP, 1:100)과 함께 0.01M PBS(pH 7.4)의 2% NGS와 함께 셰이커에서 RT에서 2시간 동안 투여합니다. 그 후, 쉐이커에서 4 °C에서 96 시간 (5 일) 동안 배양합니다.
  4. 0.01 M PBS(pH 7.4)에서 각각 10분 동안 6회 세척한 후, 1:200에서 염소 항-토끼 IgG와 같은 2차 항체와 0.01 M PBS(pH 7.4)의 2% NGS와 함께 셰이커에서 RT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합니다. 다음으로, 쉐이커에서 4 °C에서 48 시간 (2 일) 동안 배양합니다.
    참고: 2차 항체는 대조군 실험에서 단독으로 적용되었습니다.
  5. 망막 줄무늬를 0.01M PBS(pH 7.4)에서 각각 10분 동안 6회 세척한 후 ABC 키트의 시약 A와 시약 B로 1:100에 0.01M PBS(pH 7.4)에서 4°C에서 2일 동안 배양합니다. (시약 A와 시약 B 모두를 0.01M PBS로 희석하였다. 예: 용액: 6 μl; B 용액 : 6 μl; 0.01M PBS: 588μl, 총 600μl).
  6. 망막 줄무늬를 0.05M Tris buffer(pH 7.2)로 각각 10분 동안 세 번 세척합니다. 그런 다음 DAB 키트의 5% 시약 1 및 5% 시약 3을 증류수에 넣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망막 줄무늬를 사전 배양합니다. (비율: 예: 시약 1: 50 μl; 시약 3: 50 μl; 증류수: 900 μl, 총 1000 μl).
  7. DAB로 망막 줄무늬를 염색합니다. DAB 키트의 3개 튜브에서 동일한 부피의 용액을 순서대로 추가합니다(시약 1-시약 2-시약 3). 해부 현미경을 사용하여 염색 상태를 관찰합니다. 세포가 갈색이 될 때 염색을 중지하십시오. 이 프로세스는 10-20분 정도 걸립니다.
  8. 망막 줄무늬를 0.05M Tris buffer(pH 7.2)로 각각 10분 동안 3회 세척한 다음 0.01M PBS에서 10분 동안 6회 세척합니다.

3. 포스트 정착 및 임베딩

  1. 실온(RT)에서 1-2시간 동안 2% 글루타르알데히드에 망막 줄무늬를 고정한 다음 0.01M PBS(pH 7.4)에서 각각 10분 동안 6회 세척합니다.
  2. RT에서 1시간 동안 0.1M PB에 1% 오스뮴 테트라옥사이드(OsO4)로 망막 줄무늬를 배양하고 어두운 곳에 보관합니다.
  3. 증류수(ddH2O)에서 각각 10분 동안 6회 세척한 후 RT에서 1시간 동안 우라닐 아세테이트로 망막 조직을 배양하고 이 조직을 염색하기 위해 어두운 곳에 보관합니다.
  4. 망막 조직을 아세톤 용액(50%, 70%, 80%, 90%)에 각각 10분 동안 넣은 다음 100%를 10분 동안 두 번 넣습니다.
  5. 망막 조직을 같은 부피의 우라닐 아세테이트와 에폭시 수지가 포함된 혼합물에 37°C 건조 오븐에서 1시간 동안 담근 다음 우라닐 아세테이트와 수지(1:4)가 포함된 혼합물을 37°C 건조 오븐에서 밤새 담근다.
  6. 건조 오븐에서 45°C에서 1시간 동안 이쑤시개를 사용하여 망막 조직을 새 레진에 부드럽게 옮긴 다음 방향의 망막 줄무늬가 레진과 함께 임베딩 플레이트에 삽입됩니다.
  7. 샘플을 45°C 건조 오븐에 3시간 동안 넣고 65°C 건조 오븐에 48시간 동안 넣습니다.
  8. 임베딩 블록을 사다리꼴로 성형하고 초박편절기로 블록을 1μm 두께의 절편으로 자르고, 이 절대를 톨루이딘 블루로 염색한 다음 광학 현미경으로 관심 영역을 사전 스크리닝합니다.
  9. 구리 그리드에서 초박형 섹션(70-90nm)을 수집하고 전자 현미경으로 볼 수 있습니다.

결과

그림 1 은 면역 반응(IR)이 발견되지 않은 단백질 키나아제 C 알파(PKCα) 또는 SP에 대한 1차 항체를 배양하지 않은 대조군 실험의 예를 보여줍니다.

그림 2 는 마우스 망막의 PKCα-IR을 보여줍니다. PKCα는 망막의 모든 간상간상간이중극성세포(rod bipolar cell, RBC)에 대한 마커 역할을 한다(18). 전?...

토론

이 논문에서는 시냅스 회로와 단백질 국소화의 성공적인 관찰을 위한 세 가지 중요한 단계, 즉 (1) 빠르고 약한 고정, (2) 사전 임베딩 면역염색, (3) 사후 고정 및 임베딩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우리는 고정이 성공적인 pre-embedding immuno-EM 접근법을 위한 핵심 단계라고 제안합니다. 따라서 여기에서 새로운 고정제와 빠른 고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 원?...

공개

저자는 공개하지 않습니다.

감사의 말

이 연구는 중국 국가 핵심 연구 개발 프로그램(2022YFA1105503), 국가 신경과학 중점 연구소(SKLN-202103), 중국 저장성 자연과학 재단(Y21H120019)의 보조금으로 부분적으로 지원되었습니다.

자료

NameCompanyCatalog NumberComments
1 mL syringe needlekangdelai
1% OsO4Electron Microscopy Science19100
2,2,2-TribromoethanolSigma-AldrichT48402
8% GlutaraldehydeElectron Microscopy Science16020
8% ParaformaldehydeElectron Microscopy Science157-8
AcetoneElectron Microscopy Science10000
Anti-rabbit PKCSigma-AldrichP4334
Anti-Rabbit SPAbcamab67006
DAB Substrate kitMXB BiotechnologiesKIT-9701/9702/9703
Elbow scissorsSuzhou66 vision company54010
Electron microscopePhillipsCM120
Epon resinElectron Microscopy Science14910
forcepSuzhou66 vision companyS101A
Millipore filter paperMerck Millipore PR05538
Na2HPO4· 12H2OSigma71650A component of phosphate buffer
NaH2PO4· H2OSigma71507A component of phosphate buffer
Picric acidElectron Microscopy Science19550
Sodium borohydride (NaBH4) Sigma215511
TrisSolarbio917R071
UltramicrotomeLeica
Uranyl acetateElectron Microscopy Science22400
VACTASTAIN ABC kit, Peroxidase (Rabbit IgG)Vector LaboratoriesPK-4001

참고문헌

  1. Chua, N. J., et al. A complete reconstruction of the early visual system of an adult insect. Curr Biol. 33 (21), 4611-4623.e4614 (2023).
  2. Ravi Chander, P., Hanson, L., Chundekkad, L., Awatramani, G. B. Neural circuits underlying multi-feature extraction in the retina. J Neurosci. , (2023).
  3. Sirivisoot, S., et al.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mouse anti-canine PD-L1 monoclonal antibodies and their expression in canine tumors by immunohistochemistry in vitro. Vet Q. 43 (1), 1-9 (2023).
  4. Raeisi, H., et al.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phage display-derived anti-toxin antibodies neutralizing TcdA and TcdB of Clostridioides difficile. Microbiol Spectr. 11 (5), e0531022 (2023).
  5. Ryschich, A., Dong, Y., Schäfer, M., Ryschich, E., Karakhanova, S. DWH24: A new antibody for fluorescence-based cell death analysis. Methods Appl Fluoresc. 11 (4), (2023).
  6. Jastrzebska, B., et al.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rhodopsin monomers and dimers in detergents. J Biol Chem. 279 (52), 54663-54675 (2004).
  7. Huang, P., et al. Mechanism of Shenfu injection in suppressing inflammation and preventing sepsis-induced apoptosis in murine cardiomyocytes based on network pharmacology and experimental validation. J Ethnopharmacol. 322, 117599 (2024).
  8. Maheshwari, U., et al. Inorganic phosphate exporter heterozygosity in mice leads to brain vascular calcification, microangiopathy, and microgliosis. Brain Pathol. 33 (6), e13189 (2023).
  9. Mackiewicz, J., et al. Effect of gravity in long-term vitreous tamponade: In vivo investigation using perfluorocarbon liquids and semi-fluorinated alkanes.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45 (5), 665-675 (2007).
  10. Luján, R., Rubio, M. E. Editorial: Immunoelectron microscopy: Placing molecular functions within a neuronal context. Front Neuroanat. 16, 1043371 (2022).
  11. Xu, S., et al. Synaptic changes and the response of microglia in a light-induced photoreceptor degeneration model. Mol Vis. 27, 206-220 (2021).
  12. Chadha, A., Volland, S., Baliaouri, N. V., Tran, E. M., Williams, D. S. The route of the visual receptor rhodopsin along the cilium. J Cell Sci. 132 (10), jcs.229526 (2019).
  13. Huang, H. J., et al. Multiple nucleocapsid structural forms of shrimp white spot syndrome virus suggests a novel viral morphogenetic pathway. Int J Mol Sci. 24 (8), 7525 (2023).
  14. Tissarinen, P., et al. Elevated human placental heat shock protein 5 is associated with spontaneous preterm birth. Pediatr Res. 94 (2), 520-529 (2023).
  15. Huang, Z., et al. A neural tract tracing study on synaptic connections for cortical glutamatergic terminals and cervical spinal calretinin neurons in rats. Front Neural Circuits. 17, 1086873 (2023).
  16. Zhang, J., Petralia, R. S., Wang, Y. X., Diamond, J. S. High-resolution quantitative immunogold analysis of membrane receptors at retinal ribbon synapses. J Vis Exp. 108, e53547 (2016).
  17. Ottersen, O. P., Landsend, A. S. Organization of glutamate receptors at the synapse. Eur J Neurosci. 9 (11), 2219-2224 (1997).
  18. Greferath, U., Grünert, U., Wässle, H. Rod bipolar cells in the mammalian retina show protein kinase C-like immunoreactivity. J Comp Neurol. 301 (3), 433-442 (1990).
  19. Wang, F., et al. Distribution and synaptic organization of substance P-like immunoreactive neurons in the mouse retina. Brain Struct Funct. 228 (7), 1703-1724 (2023).
  20. van Opbergen, C. J. M., et al. 34;Orphan" Connexin43 in Plakophilin-2 deficient hearts revealed by volume electron microscopy. Front Cell Dev Biol. 10, 843687 (2022).
  21. Li, S., et al. Safe and efficient oral allergy immunotherapy using one-pot-prepared mannan-coated allergen nanoparticles. Biomaterials. 303, 122381 (2023).
  22. Yamashita, K., Kusakabe, M., Sano, M. A simple and rapid method of dissociating hepatocytes from fixed liver of the mouse. Stain Technol. 56 (1), 29-33 (1981).
  23. Tanabe, T., Shin, M., Fujiwara, K. Immunoelectron microscopy study of polyamines using a newly prepared monoclonal antibody against spermidine: use of a mixture of glutaraldehyde and paraformaldehyde as a cross-linking agent in the preparation of the antigen. J Biochem. 135 (4), 501-507 (2004).
  24. Xiao, J., et al. Rod bipolar cells receive cone photoreceptor inputs through both invaginating synapses and flat contacts in the mouse and guinea pig retinas. J Comp Neurol. 531 (11), 1184-1197 (2023).
  25. Yang, Q., et al. Expression of α-Synuclein in the mouse retina is confined to inhibitory presynaptic elements. J Comp Neurol. 531 (10), 1057-1079 (2023).
  26. Yazulla, S., Studholme, K. M., Zucker, C. L. Synaptic organization of substance P-like immunoreactive amacrine cells in goldfish retina. J Comp Neurol. 231 (2), 232-238 (1985).
  27. Sassoè-Pognetto, M., Wässle, H., Grünert, U. Glycinergic synapses in the rod pathway of the rat retina: cone bipolar cells express the alpha 1 subunit of the glycine receptor. J Neurosci. 14 (8), 5131-5146 (1994).
  28. Hartveit, E., et al. Localization and developmental expression of the NMDA receptor subunit NR2A in the mammalian retina. J Comp Neurol. 348 (4), 570-582 (1994).
  29. Perkins, G. A. The use of miniSOG in the localization of mitochondrial proteins. Methods Enzymol. 547, 165-179 (2014).
  30. Shu, X., et al. A genetically encoded tag for correlated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of intact cells, tissues, and organisms. PLoS Biol. 9 (4), e1001041 (2011).
  31. Kar, D., et al. Volume electron microscopy reveals human retinal mitochondria that align with reflective bands 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nvited]. Biomed Opt Express. 14 (10), 5512-5527 (2023).
  32. Johnson, J. E., et al. Spatiotemporal regulation of ATP and Ca2+ dynamics in vertebrate rod and cone ribbon synapses. Mol Vis. 13, 887-919 (2007).

재인쇄 및 허가

JoVE'article의 텍스트 или 그림을 다시 사용하시려면 허가 살펴보기

허가 살펴보기

더 많은 기사 탐색

JoVE209P

This article has been published

Video Coming Soon

JoVE Logo

개인 정보 보호

이용 약관

정책

연구

교육

JoVE 소개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