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JoVE 비디오를 활용하시려면 도서관을 통한 기관 구독이 필요합니다. 전체 비디오를 보시려면 로그인하거나 무료 트라이얼을 시작하세요.

기사 소개

  • 요약
  • 초록
  • 서문
  • 프로토콜
  • 결과
  • 토론
  • 공개
  • 감사의 말
  • 자료
  • 참고문헌
  • 재인쇄 및 허가

요약

여기에 제시된 것은 300mm의 작업 길이를 가진 유연한 코-후두경을 사용한 깨어 있는 비강 삽관을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이 도구는 최소 침습적이고 조작하기 쉽기 때문에 유연한 비후두경을 사용한 깨어 삽관은 기도가 어려운 환자에게 내약성이 좋고 빠르며 안전합니다.

초록

기도 확보의 어려움이나 실패는 여전히 발생하며 영구적인 장애와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기도 접근을 막는 두경부 병리가 있는 환자는 자발적 호흡을 잃으면 기도 관리 실패의 위험이 있습니다. Awake flexible scope 삽관은 이러한 환자의 기도 제어를 위한 황금 표준으로 간주됩니다. 기도 문제가 있는 환자 25명을 대상으로 한 타당성 시험에 이어, 이 기사에서는 기존의 삽관 플렉시블 스코프보다 훨씬 짧은 플렉시블 비디오 코뿔소 후두경을 사용하여 깨어 있는 비강 삽관을 위한 단계별 프로토콜을 제시합니다. 유연한 비디오 후두경은 삽관 튜브 길이를 몇 센티미터만 초과하므로 시술 중에 튜브가 유연한 내시경을 밀접하게 따를 수 있습니다. 내시경이 인두에 도달하면 한 손으로 쉽게 조작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성문을 통해 내시경 삽관 튜브 어셈블리의 안전한 전진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이전의 결과와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이 기사에서는 수술 전에 최종 관리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최소 침습적 "퀵 룩"의 기회, 삽관 충돌 및 기도 손상의 가능성을 낮추고 왜곡된 해부학적 구조를 탐색하기 위한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도구, 빠르고 원활한 시술로 인한 환자 만족도 향상을 위한 이 기술의 잠재적 이점을 강조합니다.

서문

기도 관리는 지난 20년 동안 크게 발전했지만, 기도 고정의 어려움이나 실패는 여전히 발생하며 영구적인 장애와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1. 혀의 기저부, 하인두, 성문관 또는 개구의 알려지거나 알려지지 않은 병리가 있는 환자는 전신 마취 유도 후 안면 마스크 환기, 상부 장치 배치 및 기관 삽관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위험을 초래합니다 1,2,3.

표준 수술 전 기도 검사는 별개의 동반 임상 징후 및 증상으로 인해 이러한 병변을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3. 깨어 있는 유연한 내시경 삽관은 자발적 호흡을 허용하고, 기도 반사를 보존하며, 기도 또는 기관지 폐 흡인의 위험을 완화하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 기도를 확보하는 데 있어 황금 표준으로 간주됩니다4. 그 이점에도 불구하고, 깨어있는 삽관은 연습 부족이나 바쁜 수술실의 압력과 관련된 사용에 대한 의구심으로 인해 지시 된 경우에도 (모든 삽관의 약 1 %), 잘 사용되지 않는 기술로 남아 있습니다 2,4. 기도 조절 장치의 발달로 각성 삽관에는 이제 유연한 내시경, 경질 또는 반강성 광학 탐침 및 비디오 후두경을 사용하는 절차가 포함된다5.

비인두 유연 내시경 검사는 유연한 비인두 내시경, 유연한 비인두 내시경, 경비강 유연한 후두경 검사 또는 유연한 광섬유 비인두 내시경이라고도 하며, 비강, 구인두, 하인두 및 후두를 검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의료 기술입니다6. 이비인후과(귀, 코, 목) 진료에서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기구로, 침습이 최소화되고 다루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7. 그 사용은 악안면 수술, 마취학, 언어 및 언어 치료, 신경학을 포함한 다양한 의료 전문 분야로 확장되었습니다. 사무실이나 병원 환경에서 유연한 비후두경 검사는 기도에 대한 귀중한 평가를 제공하고 기도 관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병리학적 인두 구조의 존재를 의료 제공자에게 경고합니다.

성인 인구에 사용되는 유연한 광섬유 내시경은 한 손으로 사용하도록 설계된 견고한 부품과 유연한 광섬유 케이블을 갖추고 있습니다. 스코프의 유효 길이는 300mm에서 350mm 사이이며 유연성은 130°에서 160°입니다. 유연한 팁의 길이는 20mm이며 최신 모델의 경우 80°에서 90°의 시각화 각도를 제공합니다. 피사계 심도는 3mm에서 60mm까지 핸드피스 롤러로 쉽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삽입 튜브의 직경은 3mm에서 4.5mm 사이일 수 있으며 특정 모델에는 작동 또는 흡입 채널이 장착되어 있습니다(그림 1). 기술은 더욱 발전했으며 이 장치는 광섬유에서 새로운 칩-온-더-팁 유연한 디지털 스코프로 발전하여 고해상도 이미징 6,7을 보장합니다.

전통적으로 시술자는 작업 길이가 600mm인 광섬유 기관지경을 사용하여 깨어 있는 유연한 내시경 삽관을 수행합니다5. 이 프로토콜은 이전의 전향적 연구8를 기반으로 하며, 300mm 유연한 코-후두경을 사용하여 깨어 있는 비강 삽관 기술을 자세히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프로토콜

"Iuliu Hațieganu" 의과대학 및 약학 윤리 위원회(no. 100/12.02.2018)의 승인을 받고 ClinicalTrials.gov 식별자 NCT03546088로 등록된 이 연구는 ASA 신체 상태 I-IV8을 가진 성인 환자를 등록했습니다. 이 환자들은 후두 인두 병리로 인해 기도 해부학적 구조가 왜곡되어 전신 마취 하에 수술이 예정되어 있었습니다. 모든 참가자로부터 정보에 입각한 동의를 얻었습니다. 선정 기준은 SARI(Simplified Airway Risk Index) 점수가 4 이상이고 후두 인두 종괴로 인한 기도 왜곡, 이전 방사선 요법 또는 염증이었으며, 이비인후과 및 마취 전 평가 후 깨어 삽관이 가장 안전한 방법으로 간주되었다8. 제외 기준에는 비강 폐쇄, 출혈 장애, 국소 마취제에 대한 알레르기, 시술에 대한 이해 또는 협조 부족 또는 시술 거부 등이 포함되었으며, 이 경우 대안적인 기도 관리 접근법이 제안되었다8. 연구에 사용된 시약 및 장비의 세부 사항은 재료 표에 나열되어 있습니다.

1. 수술 전 평가

  1. 기도 관리가 복잡할 수 있는 모든 환자와 기관내관을 삽입할 때까지 자발적 환기와 고유 기도 긴장도를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는 환자에 대해 깨어 있고 유연한 스코프 삽관을 고려한다4.
  2. 이비인후과 검사, 상상 검사 및 병상 검사를 포함한 신중한 마취 전 기도 평가를 수행합니다. 완전한 환자 병력(이전 외과적 개입, 기도 병력, 자궁 경부 부위의 방사선 요법, 코골이 또는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포함)을 얻고 신중한 임상 검사를 실행합니다.
  3. SARI 점수(입 벌림, 갑상선 거리, Mallampati 점수, 목 이동성, 예후 능력, 체중 및 어려운 삽관 이력으로 구성)를 계산하고 점수가 ≥4(최대 12점)9인 경우 어려운 삽관의 위험이 있는 환자를 고려합니다.
  4. 기도 병리가 의심될 때마다 경비강 유연 비인두 인두경 검사로 수술 전 기도 평가를 마무리한다10. 환자를 똑바로 앉힙니다. 양쪽 콧구멍에 자일로메타졸린 0.1%를, 리도카인 스프레이 10%를 바릅니다.
  5. 유연한 코-후두경을 비갑개 아래의 나돌기 중 하나를 통해 비인두에 도달할 때까지 전진시킵니다. 혀 기저부나 후두개가 보이면 잠시 멈추고 하인두와 성문을 검사합니다. 환자가 킁킁거리거나, 혀를 내밀거나, 목소리를 내거나, 심호흡을 하도록 촉구하여 시각화를 개선한다 6,10 (보충 비디오 1).
    알림: 광범위한 부종이나 큰 부서지기 쉬운 종양 종괴와 같은 응급 상황에서 절차를 수행할 때는 경미한 부상이라도 기도가 완전히 막힐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십시오.
  6. 현장 진료 초음파(POCUS)를 활용하여 기도 난이도를 평가하고 관련 영상(예: 컴퓨터 단층 촬영 또는 자기 공명 영상 스캔)을 검토하여 기관내관(ETT)의 최적 경로를 예측하고 적절한 튜브 크기를 결정합니다. 갑상선막과 기관을 확인하고 표시하여 응급 목 앞쪽 접근이 필요한 경우11.
  7. 제공된 검사를 고려하여, 자발적 호흡 또는 기타 기도 기술의 손실이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깨어 있는 광섬유 삽관이 기도 관리에 가장 적합한 옵션인지 평가합니다. 깨어 있는 삽관을 위한 준비를 시작합니다.
  8. 환자에게 시술을 설명하고 정보에 입각한 동의를 얻습니다. 문제가 있는 기도 유도 환자에서 마취 유도 후 삽관의 위험과 깨어 있는 기술의 안전성 이점을 강조합니다. 환자에게 경미한 수준의 불편함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알리되 국소 마취와 가벼운 진정제가 제공될 것이라고 안심시킵니다.

2. 장비 준비 및 체크리스트

  1. 성공적인 깨어 삽관을 위해서는 신중한 계획이 필요하다는 것을 명심하십시오. 절차를 시작하기 전에 필요한 모든 인력과 인프라를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2. DAS(Difficult Airway Society)에서 권장하는 각성 삽관 체크리스트를 따라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고 필수 단계를 놓치지 않도록 하십시오5.
  3. 기도 운영자와 분리된 최소 한 명의 마취 의사와 마취 간호사가 시술 중에 도움을 주기 위해 동석하도록 하십시오. 또한 폐쇄성 기도 병리학이 있는 경우 응급 기관 절개술을 위해 이비인후과 팀을 대기시키십시오.
  4. 기도를 조작할 때 환자의 생리적 모니터가 즉시 보이도록 하십시오. 보조 산소 공급 장치와 흡입기가 작동하는지 확인하십시오.
  5. 마취 기계 또는 인공호흡기가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작동할 수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어려운 기도 키트, 비디오 후두경, 다양한 크기의 후두 마스크 기도 및 환기 마스크, 목 앞 접근 키트, 다양한 크기와 유형의 ETT(기관내관)를 포함한 여러 대체 기도 장치를 준비합니다.
  6. 관리 계획의 일부인 모든 기도 관리 도구를 확인하고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필요에 따라 모든 약물을 준비하고, 희석하고, 라벨을 붙입니다.

3. 환자 준비

  1. 0.5-1mg의 미다졸람을 정맥 주사(IV)하고 글리코피롤레이트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글리코피롤레이트 0.2mg IV 또는 0.4mg 아트로핀 IV를 투여합니다. 분무기가 있는 안면 마스크를 사용하여 10-3-8L/min8의 유속으로 10분 동안 10mL의 리도카인 2%-4%를 분무합니다. 위 함량 흡인 위험이 높은 환자에서는 위 pH를 높이고 위 용적을 줄이기 위해 예방요법을 시행합니다.
    주의: 빈맥이 발생하기 쉽거나 심실 속도가 빠른 환자에게는 아트로핀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노인, 허약한 환자 및 폐쇄성 병리학으로 인해 심각한 기도 손상이 있는 환자의 경우 진정제를 생략합니다.
  2. 기도 손상을 유발하는 조직 부종이 우려되는 경우 100-200mg의 하이드로코르티손을 정맥 투여8. 심한 폐색이 있는 환자에게 분무된 리도카인 용액에 에피네프린 500μg을 첨가하여 부종을 줄입니다.
  3. 환자를 수술실로 옮기고 앉거나 반쯤 누운 자세로 수술대에 놓습니다. 표준 ASA 모니터링 제공: 맥박 산소 측정, 호흡수, 비침습적 혈압(NIBP), ECG, 호기말 CO2 및 흡기 산소 농도.
  4. 리도카인 10%와 자일로메타졸린 0.1% 비강 스프레이를 투여하고 보조 산소 전달을 위해 비강 캐뉼라를 배치합니다.
  5. 깨어있는 삽관을 위해 준비된 동일한 도구, 직경 3-4mm의 300-350mm 유연한 비디오 코뿔소 후두경을 사용하여 기도를 평가하여 ETT8을 통과하기에 가장 적합한 콧구멍을 식별합니다.
    1. 중격 이탈, 뼈 박차 및 비갑개 비대를 확인하십시오. 인두와 성문 주위 공간(혀의 기저부, 발레큘라, 후두개, 황창구 포사), 성대, 성문 밑 영역에서 중간 기관까지의 성문 영역을 검사합니다.
    2. 종양이나 염증에 의한 기도 해부학적 구조의 왜곡, 기도 압박 또는 정중선으로부터의 이탈을 기반으로 ETT에 대한 최적의 경로를 결정합니다.
  6. 비강, 성문 및 성문 전체의 최소 단면적을 기준으로 적절한 ETT 크기(일반적으로 5.5-6.5mm 사이)를 추정합니다. 기도를 따라 전진하는 동안 충돌 및 부상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더 부드러운 팁과 함께 ETT를 사용하십시오(예: 부드러운 강화 튜브 또는 Parker 플렉스 팁). 비강 또는 성문 폐색이 있는 경우 더 작은 직경의 ETT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7. 광섬유 평가를 기반으로 최종 기도 관리 계획을 결정합니다. 기도가 심하게 좁아지거나 심한 부종이 있는 환자에서 국소 마취 하에 목 앞쪽에 외과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포함한 대체 기도 전략을 고려하십시오.
  8. 깨어 삽관을 받는 환자의 경우 midazolam 0.5-1mg IV 및 펜타닐 50-100μg IV를 투여하고 5분 간격으로 용량을 적정합니다. 관찰자의 주의력/진정 척도(OAA/S) 평가 4-5(지향적이지만 협조적이고 침착함)를 목표로 합니다. 허약한 환자 또는 기도 붕괴, 폐쇄 또는 부적절한 환기가 우려되는 환자에게는 진정제를 생략하거나 신중하게 조정된 용량을 사용하십시오8.
    참고: 진정제는 환자를 주의 깊게 관찰하는 보조 마취 의사가 높은 주의를 기울여 투여해야 합니다. 진정제가 기도 국소화(airway topicalization)를 대체해서는 안 됩니다.
  9. 양치질을 위해 2% 리도카인을 투여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그런 다음 내시경의 작동 채널 또는 광섬유 유도 하에 곡선형 구인두 카테터를 사용하여 내시경에 작동 채널이 없는 경우 성문과 성대 위로 뚝뚝 떨어지는 추가 리도카인을 국소적으로 투여합니다. 이 단계에서 환자에게 영감을 주고 목소리를 내도록 요청하십시오8.
  10. 성문에 더 많은 리도카인을 투여해도 더 이상 기침 반응을 일으키지 않을 때 마취 수준이 적절하다고 고려하십시오. 에페드린 4%가 함유된 5% 리도카인 용액을 적신 면 거즈를 선택한 콧구멍을 따라 삽입하고 2분 동안 그대로 둡니다8.
    주의: 총 9mg/kg의 리도카인(분무 및 국소 모두)을 초과하지 마십시오.

4. 개입

  1. 진정 및 국소 마취 후 5-7분 후, 삽관으로 무장한 유연한 코-후두경으로 기동을 시작합니다. 내경이 5.5-6.5mm인 강화 커프 ETT를 사용하고 2% 리도카인 젤로 윤활합니다.
  2. 파이버스코프를 ETT 내부에 놓고 튜브의 근위 끝이 파이버스코프 핸들의 과도 부분을 덮도록 합니다. 이렇게 하면 설정을 안정화하고 파이버스코프와 ETT를 동시에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8 (그림 1).
  3. ETT가 파이버스코프의 유연한 말단 팁을 막지 않는지 확인하십시오. 6.5mm 작업 길이 유연한 스코프가 있는 320mm ETT(300mm 길이)를 사용하는 경우 연결 부품을 제거하여 파이버스코프 끝이 무제한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합니다.
    알림: 관절 헤드가 ETT의 끝을 초과하는 유연한 코뿔소 후두경을 사용할 때 연결 부분을 제거할 필요가 없습니다.
  4. 선택한 콧구멍에 fiberscope-ETT 앙상블을 소개합니다. 비강 동안 ETT의 경사를 측면으로 배치한 다음 비강저와 중격을 따라 섬유경과 ETT를 가능한 한 가깝게 천천히 전진시킵니다.
  5. 비강 중에 장애물을 만나면 작은 움직임으로 튜브를 회전시킵니다. 스코프가 인두에 도달하면 필요에 따라 분비물을 흡인하고, 진행을 멈추고, 관심 있는 구조(후두개, 후두개, 성대, 성대)를 찾습니다. 시술 중 환자와 구두 접촉을 유지하십시오.
  6. 종양, 염증 또는 외인성 압박으로 인해 성문을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볼 수 없는 경우 왼쪽에서 오른쪽 또는 굴곡 신전 동작으로 환자의 머리를 재배치하거나 환자에게 더 나은 성문 노출을 위해 혀를 내밀어 달라고 촉구합니다. 주로 사용하는 손으로 섬유내시경을 조작하면서 주로 사용하지 않는 손으로 환자의 머리 위치를 조정합니다8.
    참고: 전기도의 큰 종양의 경우, 더 나은 성문 노출을 위해 중재 중에 혀를 돌출된 상태로 유지하는 보조기를 두는 것이 유용할 수 있습니다.
  7. 전진하는 동안 ETT와 성문이 너무 날카로운 각도를 형성하거나 장애물이 튜브의 통과를 방해하는 경우 ETT를 몇 센티미터 빼내고 시계 반대 방향으로 90° 회전합니다. 또는 성문 시각화가 좋지 않은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환자의 머리를 재배치한다8.
  8. 불편함을 최소화하려면 큰 합병증이 발생하거나 환자가 요청하지 않는 한 재배치를 시도할 때 ETT를 비인두 위로 빼지 마십시오. 성문 수준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fiberscope-ETT 어셈블리가 성문 구멍을 통과하는 동안 환자에게 심호흡을 지시하십시오.
  9. 튜브를 기관 중간 수준으로 전진시킵니다. fiberscope-ETT 어셈블리가 기관 내강을 통해 진행되는 동안 환자에게 심호흡을 하도록 요청합니다.
  10. 광섬유 시각화를 통해 팁이 카리나에서 2-4cm 위로 적절하게 배치되었는지 확인하고 파이버스코프를 제거합니다.
  11. 환자를 인공호흡기에 연결하여 카프노그래피 파형이 적절하고 인공호흡 백의 자발적인 움직임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6.5mm 튜브를 사용하는 경우 인공호흡기에 연결하기 전에 연결 부품을 다시 부착하십시오. 테이프로 ETT를 제자리에 고정하고 유연한 확장 골판지 튜브(카테터 마운트)를 사용하여 ETT를 호흡 회로에 연결합니다.

5. 전신 마취 및 발관

  1. 기도를 확보한 후 마취를 유도합니다. 펜타닐 2-3 μg/kg, 프로포폴 2-3 mg/kg, 아트라큐륨 0.5 mg/kg을 사용하며, 혈역학적 반응 및 동반 질환에 따라 유도 약물 및 용량을 개별 환자에 맞게 조정합니다.
  2. 마취 깊이, 환기, 카프노그래피 및 혈류역학적 매개변수를 모니터링합니다. 유지 관리를 위해 휘발성 기반 기술 또는 전체 정맥 마취(TIVA)를 사용합니다8.
  3. 시술이 끝날 때 발관 후 기도 손상의 위험을 평가합니다. 커프 누출 테스트수행 8. ETT의 커프를 수축시키고 환자를 환기시킵니다. 호기 중에 가청 공기 누출이 없는 경우 상당한 기도 부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발관 후 기도 손상의 위험이 낮은 경우 환자가 완전히 깨어 있고 반응하는지 확인하고 수술실에서 기관을 발관한 다음 호흡 곤란 또는 기도 폐쇄의 징후가 있는지 면밀히 모니터링합니다. 응급 재삽관을 위한 장비와 직원을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십시오.
  5. 이비인후과 의사에게 발관을 위한 최상의 과정을 결정하기 전에 기도 평가를 수행하도록 요청하고 기도 평가를 위한 초음파 검사를 고려하십시오. 심한 부종이나 출혈이 발생했고 발관 후 환자가 위험에 처한 경우 환자를 중환자실(ICU)로 이송합니다. 환자를 24-48시간 동안 삽관하고 진정제를 투여하십시오.
  6. 부종을 줄이고 커프 누출 검사, 초음파 및 이비인후과 검사를 반복하여 환자를 재평가하기 위해 코르티손 IV를 고려하십시오. 발관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응급 재삽관 또는 목 앞쪽 접근에 필요한 모든 장비와 약물을 준비하십시오. 이상적으로는 인체 공학이 더 좋으므로 수술실에서 절차를 수행하십시오.
  7. 분비물을 흡인하고 숙련된 마취과 의사와 이비인후과 의사를 대기시킵니다. ETT를 제거하기 전에 기도 교환 카테터를 삽입하는 것을 고려하십시오.

결과

이 기사는 300mm 유연한 코-후두경을 사용하여 깨어 있는 비강 삽관 기술을 자세히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첫 번째 연구에서는 34세에서 82세 사이의 연속 환자 32명 중 25명이 깨어 있는 기관 삽관에 적합한 것으로 간주되어 시험에 포함되었습니다(표 1)8. 각 환자의 기관은 유연한 코-후두경을 사용하여 성공적으로 삽관되었습니다. 한쪽...

토론

깨어있는 광섬유 삽관이 상대적으로 드문 관행인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배우기가 어려워 보이거나, 기술을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인 훈련이 필요하거나, 이 기술에 대한 이전의 나쁜 경험과 절차에 대한 깨어 있는 환자의 꺼림칙함이 결합되어 있습니다13,14.

600mm 섬유 내시경을 사용할 때 실무자는 섬유 ...

공개

저자는 밝힐 것이 없습니다.

감사의 말

브라질 마취학 저널(Brazilian Journal of Anesthesiology)은 표 1그림 3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했습니다.

자료

NameCompanyCatalog NumberComments
Anesthesia machinneDraeger Fabius Plus1x RS232
Cricothyrotomy KitCHINOOK MEDICAL GEAR, INC2160-36401
Ephedrine 50 mg/mLZentiva59447636327627
Epinephrine 1 mg/mLTerapia SA5944702207310
Face mask nebulizerNingbo Luke Medical devicesRT012-100
Fentanyl 0.05 mg/mLChiesiW58348002
flexible extension corrugated tube -catheter mountNingbo Yingbe Medical InstrumentsYM-A040
Irrigation cannulaCarl RothHPY 2.1blunt tip, curved, 80 mm long irrigation cannula suitable for airway topicalisation
Lidocaine 2%, 4%Zentiva5944705004046
Lidocaine gel 2%Montavit9001505008066
Lidocaine spray 10%Egis 5995327112169
Midazolam 5 mg/mLAquetantP438804058
Reinforced endotracheal tubes oral/nasalCreate Biotech L019-002-1065
TelePack X Led MonitorKarl Storz200450 20HIGH RESOLUTION MONITOR, LED LIGHT SOURCE, FULL HD CAMERA CONTROL UNIT 
Video Rhino-LaryngoscopeKarl Storz11101 VPVideo Rhino-Laryngoscope direction of view 0°, angle of view 85°, deflection up/down 140°/140°, working length 30 cm
Vital signs monitorMindrayN17- E392290
Xylometazoline 1 mg/mLBiofarma59463429

참고문헌

  1. Joffe, A. M., et al. Management of difficult tracheal intubation: A closed claims analysis. Anesthesiology. 131 (4), 818-829 (2019).
  2. Cook, T. M., Woodall, N., Major Frerk, C. complications of airway management in the UK: Results of the fourth national audit project of the Royal College of Anaesthetists and the difficult airway society. Part 1: Anaesthesia. Br J Anaesth. 106 (5), 617-631 (2011).
  3. Rosenstock, C. V., Nørskov, A. K., Wetterslev, J., Lundstrøm, L. H. Emergency surgical airway management in Denmark: A cohort study of 452461 patients registered in the Danish anesthesia database. Br J Anaesth. 117, i75-i82 (2016).
  4. Apfelbaum, J. L., et al.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practice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the difficult airway. Anesthesiology. 136 (1), 31-81 (2022).
  5. Vora, J., Leslie, D., Stacey, M. Awake tracheal intubation. BJA Educ. 22 (8), 298-305 (2022).
  6. Alvi, S., Harsha, P. Flexible Nasopharyngoscopy.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 (2024).
  7. Paul, B. C., Rafii, B., Achlatis, S., Amin, M. R., Branski, R. C. Morbidity and patient perception of flexible laryngoscopy). Ann Otol Rhinol Laryngol. 121 (11), 708-713 (2012).
  8. Marchis, I. F., et al. Awake nasotracheal intubation with a 300 mm working length fiberscope: A prospective observational feasibility trial. Braz J Anesthesiol. 73 (5), 556-562 (2023).
  9. Nørskov, A. K., Rosenstock, C. V., Wetterslev, J., Lundstrøm, L. H. Incidence of unanticipated difficult airway using an objective airway score versus a standard clinical airway assessment: The difficult trial - trial protocol for a cluster randomized clinical trial. Trials. 14, 347 (2013).
  10. Marchis, I. F., et al. Trends in preoperative airway assessment. Diagnostics. 14 (8), 610 (2024).
  11. Lin, J., et al. Point-of-care ultrasound in airway evaluation and management: A comprehensive review. Diagnostics. 13 (9), 1541 (2023).
  12. Marchis, I. F. . New methods of controlling the difficult airway in otorhinolaryngologic anesthesia—PhD Thesis. , (2022).
  13. Fiadjoe, J. E., Litman, R. S. Difficult tracheal intubation: Looking to the past to determine the future. Anesthesiology. 116 (6), 1181-1182 (2012).
  14. Joseph, T. T., et al. A retrospective study of success, failure, and time needed to perform awake intubation. Anesthesiology. 125 (1), 105-114 (2016).
  15. Asai, T., Shingu, K. Difficulty in advancing a tracheal tube over a fibreoptic bronchoscope: Incidence, causes and solutions. Br J Anaesth. 92 (6), 870-881 (2004).
  16. Ahmad, I., et al. Difficult airway society guidelines for awake tracheal intubation (ati) in adults. Anaesthesia. 75 (4), 509-528 (2020).
  17. Jones, T. M., De, M., Foran, B., Harrington, K., Mortimore, S. Laryngeal cancer: United Kingdom national multidisciplinary guidelines. J Laryngol Otol. 130, S75-S82 (2016).
  18. Rosenblatt, W., Ianus, A. I., Sukhupragarn, W., Fickenscher, A., Sasaki, C. Preoperative endoscopic airway examination (PEAE) provides superior airway information and may reduce the use of unnecessary awake intubation. Anesth Analg. 112 (3), 602-607 (2011).
  19. Tsunoda, A., et al. Emergency videoendoscopic endonasal tracheal intubation for severe upper airway stenosis. Am J Otolaryngol. 42 (2), 102779 (2021).
  20. Kramer, A., Müller, D., Pförtner, R., Mohr, C., Groeben, H. Fibreoptic vs. videolaryngoscopic (c-mac d-blade) nasal awake intubation under local anaesthesia. Anaesthesia. 70 (4), 400-406 (2015).

재인쇄 및 허가

JoVE'article의 텍스트 или 그림을 다시 사용하시려면 허가 살펴보기

허가 살펴보기

더 많은 기사 탐색

This article has been published

Video Coming Soon

JoVE Logo

개인 정보 보호

이용 약관

정책

연구

교육

JoVE 소개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