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JoVE 비디오를 활용하시려면 도서관을 통한 기관 구독이 필요합니다. 전체 비디오를 보시려면 로그인하거나 무료 트라이얼을 시작하세요.

기사 소개

  • 요약
  • 초록
  • 서문
  • 프로토콜
  • 결과
  • 토론
  • 공개
  • 감사의 말
  • 자료
  • 참고문헌
  • 재인쇄 및 허가

요약

인대, 간염 및 배꼽 열구 정맥에 의해 유도되는 복강경 좌측 절제술은 낮은 중심 정맥압이 조절되지 않아도 수술 중 출혈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실질 박리 중 방향 상실을 방지합니다.

초록

간 수술의 주류 시술인 복강경 좌측 절제술(LLLS)은 종종 간정맥계의 출혈을 줄이기 위해 제어된 낮은 중심 정맥압(CLCVP)을 사용합니다. 그러나 마취과 의사는 중요한 장기 관류의 유지를 우선시하기 위해 심혈관 및 뇌혈관 질환이 동시에 있는 환자에게 CLCVP의 사용을 피할 수 있습니다. 이 보고서에서는 간 바깥쪽 2/3 분절에 대한 Glissonian pedicles의 절개를 위해 LTH(ligamentum teres hepatis)에 의해 안내되는 LLLS를 제시한 다음, 좌측 간정맥 뿌리에 접근하면서 falciform ligament 및 umbilical fissure vein(UFV)을 따라 간 실질 절리를 제시합니다. LTH 및 UFV에 의해 유도된 이 LLLS 절차는 CLCVP가 없는 경우에도 수술 중 출혈을 효과적으로 제어했습니다. 또한 간외 및 간내 해부학적 랜드마크에 의해 안내되는 간절제술은 간 박리 중 방향 상실을 방지하고 정확한 간 절제를 보장합니다. 이러한 특성은 잠재적인 이점이 심혈관 또는 뇌혈관 질환이 있는 환자를 넘어 광범위한 LLLS 사례에 적용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서문

복강경 기술은 간 수술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안전하고 효과적인 것으로 간주됩니다. 개복 수술과 비교했을 때, 복강경 좌측 절제술(LLLS)은 전반적인 합병증 발생률 감소, 수술 후 입원 기간 단축, 출혈 감소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1. 전통적인 LLLS 절차에서 실질은 조화로운 메스를 사용하여 상부 간 표면에서 시작하여 앞에서 뒤로 진행하여 LHV 수준까지 2-3mm 깊이의 복부 및 등쪽 층을 취한 다음 스테이플2로 왼쪽 외엽 간을 직접 절개합니다. 이 방법은 간 실질과 정맥의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출혈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제어 된 낮은 중심 정맥 압력 (CLCVP) 기술은 수술 중 출혈을 완화하기 위해 전통적인 LLLS 절차에서 종종 사용됩니다3. 그러나 심혈관 및 뇌혈관 질환이 동시에 있는 환자의 경우 마취과 전문의는 중요한 장기의 관류를 우선시하기 위해 CLCVP 기법을 사용하지 않도록 선택할 수 있습니다4. 여기에서는 CLCVP 기법에 의존하지 않고 수술 중 출혈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LLLS에 대한 표준화된 절차를 제시합니다. 절차의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1) LTH (ligamentum teres hepatis) 접근법을 사용하여 세그먼트 2/3에 대한 Glissonian pedicles를 제어합니다. (2) falciform ligament, umbilical fissure vein (UFV) 및 Arantius의 운하와 같은 해부학적 랜드마크를 기반으로 간의 transsection plane을 결정합니다. (3) UFV를 좌측 간정맥의 뿌리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간 실질 절개에 대한 가이드로 사용합니다. 이 기법의 이론적 근거는 글리소니언 척추경(Glissonian pedicle) 및 간내 정맥(예: UFV)과 같은 해부학적 랜드마크에 의해 안내되며, 출혈의 위험을 줄이면서 보다 정밀한 소엽 및 분절 절제술을 가능하게 한다5. 이 절차는 간단하고 쉽게 배포하고 배울 수 있습니다. Xie et al.6 및 Sugioka et al.7 교수는 간절제술 절차에서 LTH 접근법의 안전성, 효과, 단순성 및 해부학적 정확성을 강조했습니다. 수술 기법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LTH와 UFV가 안내하는 LLLS 절차를 도입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관련된 절차적 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대표적인 사례를 제시합니다. 74세의 한 남성 환자는 3개월 동안 지속된 만성 상복부 통증을 호소했습니다. 수술 전 자기공명영상(MRI)을 통해 좌측 간내 담관 결석과 담관의 국소적인 낭성 확장이 확인되었습니다(그림 1A, B). 또한 환자는 두 번의 뇌경색 병력이 있었습니다. 두부 MRI는 양측 뇌실 주위 영역, 기저핵, 코로나 방사선, 뇌간 및 전두엽을 포함한 다양한 뇌 영역에서 다발성 허혈성 및 경색 병변을 나타냈습니다. 특히, 좌측 기저핵과 우측 외측 심실의 인접 부분의 병변이 신경교증으로 부드러워졌습니다. 환자의 Child-Pugh 점수는 5(A등급)였으며 15분 시점의 인도시아닌 그린(ICG) 유지율은 6.5%였습니다. 방사선학적 특징에 근거하여 환자는 좌간내 담관 결석으로 진단되었습니다. 그 후, 환자는 LLLS를 받았습니다.

프로토콜

이 프로토콜은 Nanchong Central Hospital의 인간 연구 윤리 위원회의 지침을 따릅니다.

1. 수술 전 정밀 검사

  1. MRI 스캔을 수행하여 진단을 확인하고 병변, 담관 및 혈관 해부학의 범위를 평가합니다. T2 가중 이미지, 두꺼운 싱글샷, 빠른 스핀 에코/터보 스핀 에코 및 빠른 획득 이완 향상 시퀀스를 사용하여 3.0 T MRI 장치에서 자기 공명, 담관췌관 조영술, 이미징 스캔을 수행합니다().
  2. 간 기능을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ICG 보유 검사를 수행합니다.
    1. 실험 분석을 위해 간 기능 예비 분석기를 활용하십시오. 분석기의 터치 스크린에 환자의 키, 체중 및 헤모글로빈 농도를 입력합니다. 소프트웨어는 주입할 ICG의 양을 자동으로 계산합니다.
    2. 그 후, 왼쪽 정중 입방 정맥을 통해 ICG를 빠르게 주입하고 비강 프로브는 분광 광도계 스펙트럼의 파장을 자동으로 측정합니다. 분광 분석을 사용하여 ICG의 농도를 결정한 다음 10분 주입 기간8 후 머무름률을 계산합니다(재료 표).
  3. 외과, 마취과, 신경학 및 심장학 전문가를 초대하여 수술 전략, 마취 관리 계획 및 수술 전후 약물 지침을 개발하기 위한 다학제 상담을 제공합니다.

2. 마취

  1. 수술 전 항생제, 일반적으로 1.0g의 세프타지딤(재료 표)을 마취 유도 시 정맥 주사합니다.
  2. 환자의 좌측 요골 동맥에 동맥선을 삽입하고 우측 내경정맥에 중심 정맥선을 삽입합니다.
  3. 수술 중 중심 정맥압(CVP)을 5-10mmHg로 조절하여 뇌혈 관류를 보장하고 수술 중 저혈압을 방지합니다.

3. 환자 포지셔닝

  1. 환자를 다리를 쪼개 수술대에 누운 자세로 놓고, 카메라 보조원은 환자의 다리 사이에, 첫 번째 보조원은 환자의 왼쪽에, 외과의는 환자의 오른쪽에 서게 합니다.
  2. 환자를 30° 오른쪽 측면 위치로 들어 올립니다.

4. 포트 사이트 삽입 및 복강경(그림 2)

  1. 배꼽 아래 1cm를 세로로 절개하고 Veress 바늘 기술을 사용하여 폐복막을 확립합니다.
  2. 왼쪽 및 오른쪽 전방 겨드랑이 선을 따라 늑골 가장자리 아래에 5mm 및 12mm 포트를 배치합니다.
  3. 왼쪽과 오른쪽 양쪽의 쇄골 중앙선을 따라 흉곽 아래에 12mm 포트를 배치합니다.
  4. 폐복막압을 10-14mmHg로 유지합니다.
  5. 30° 고화질 복강경 장치를 사용하여 절차를 수행합니다(재료 표).

5. 운영 단계

  1. 간의 좌엽 동원
    1. 초음파 메스를 사용하여 간 원형 인대와 팔상 인대를 해부합니다 (Table of Materials).
    2. 왼쪽 간정맥의 뿌리를 노출시킵니다. 삼각인대와 관상동맥인대를 완전히 나누어 좌측 간정맥의 뿌리를 노출시킵니다.
  2. 프링글의 책략
    1. 복강경 프링글의 기동을 활용하여 체외 지혈대를 적용하고 필요한 경우 프링글의 기동으로 첫 번째 간염 차단을 시작합니다9.
    2. 면 테이프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Winslow의 구멍을 통해 간 척추경 뒤쪽에 그래스퍼를 사용합니다. 그런 다음 그래스퍼의 지도하에 5mm 포트 투관침을 통해 면 테이프의 끝을 추출합니다.
    3. 5mm 투관침을 제거할 때 면 테이프의 한쪽 끝을 흡입 튜브를 통해 끼우고 간 척추경 높이까지 복강 안으로 들어갑니다. 동시에 면 테이프의 외부 끝을 환자의 몸 밖으로 유지하십시오.
  3. Glissonian 접근법을 통한 왼쪽 측면 척추경 제어
    1. LTH의 왼쪽을 따라 초음파 메스로 표재성 복막을 절개합니다.
    2. 복부에서 등쪽까지 2/3 분절에 대한 Glissonian pedicles를 절개합니다.
    3. 클립(재료 표) 또는 스테이플러(재료 표)로 세그먼트 2/3에 대한 Glissonian 척추경을 절제합니다.
  4. 실질 절개
    1. 초음파 메스로 falciform ligament의 왼쪽을 따라 ventrally hepatic parenchyma를 절개합니다.
    2. 끝이 가는 집게를 사용하고 에너지 자극을 유도하여 초음파 메스로 간 실질을 절개합니다.
    3. 간 실질 내에서 UFV를 따라 간 실질을 절개하여 좌측 간정맥의 뿌리를 쉽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
    4. 초음파 메스로 작은 혈관을 나눕니다.
    5. 클립 사이에 큰 혈관이나 척추경 구조를 나눕니다.
  5. 왼쪽 간정맥 절개
    1. 스테이플러로 왼쪽 간정맥을 가로질렀습니다.
  6. 출혈 조절
    1. 필요한 경우 Pringle의 동작으로 첫 번째 porta hepatis 차단을 수행합니다.
    2. 간내 혈관의 꼼꼼한 해부와 식별을 수행합니다.
    3. hilum과 hepatic venules를 클립이나 스테이플러로 나눕니다.
    4. 혈관 봉합사를 사용하여 혈관에서 출혈을 확보합니다.
    5. 출혈점을 응고시키기 위해 양극성 전기 응고 겸자를 사용하십시오.

6. 표본 회수

  1. 검체를 비닐 봉지에 넣고 배꼽하 절개를 통해 채취합니다.

결과

대표적인 사례에서 수술 시간은 120분이었고 예상 출혈량은 50mL였으며 수술 후 합병증은 없었다. 수술 후 입원 기간은 7일이었습니다. 표 1 은 수술 중 및 수술 후 데이터를 요약한 것입니다. 수술 후 5일째에 실시한 컴퓨터 단층촬영(CT)에서 간 부분에 혈액이나 체액이 축적된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그림 3). 환자는 수술 후 무사히 ?...

토론

수술 중 출혈 관리는 복강경 간절제술에서 여전히 중요한 과제입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링글(Pringle)의 조작(Pringle's maneuver)과 CLCVP 기법은 일반적으로 간 혈류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10. 그러나 모든 환자, 특히 심혈관 및 뇌혈관 질환이 동시에 있는 환자, 특히 CLCVP에 적합한 후보는 아닙니다.

이 연구에서는 CLCVP 기술이 ...

공개

저자는 상충되는 이해관계가 없음을 선언합니다.

감사의 말

이 연구는 Bureau of Science & Technology Nanchong City [22JCYJPT0007]의 자금 지원을 받았습니다.

자료

NameCompanyCatalog NumberComments
30° high-definition laparoscopic deviceKARL STORZ,Germany26606BCA/ACANew 3D Electronic Laparoscope
Bipolar electrocoagulationKANGJI, ChinaKJ-XRH05QElectrocoagulation for hemostasis
CeftazidimeZhejiang Jutai Pharmaceutical Co.,China(China) Drug Administration Code (DAC)H20033369usage: 1.0 g, intravenous drip
Computed Tomography (CT)Siemens, GermanySOMATOM ForceForce is a 96-row dual-source CT scanner that revolutionizes a series of imaging chains including the tube, high-voltage generator, detector, data acquisition system, and reconstruction system, opening up a new era of CT imaging and achieving faster, wider, thinner, more capable, and lower radiation dose.
Echelon Flex Endopath StaplerEthiconEC60AManual stapler that compresses
tissue while it simultaneously lays
down a staple line and transects the
tissue, 60 mm Stapler (Standard), Size 60 mm, Length 34 cm
Harmonic ACE+7 ShearsEthiconHARH36Curved tip, energy sealing and
dissecting, diameter 5 mm, length 36 cm
Hem-o-lok Clips LWeck Surgical Instruments, Teleflex Medical, Durham, NC544240Vascular clip 5–13 mm Size Range
Hem-o-lok Clips MLWeck Surgical Instruments, Teleflex
Medical, Durham, NC
544230Vascular clip 3–10 mm Size Range
Indocyanine Green(ICG) Dandong Medical Creation Pharmaceutical Co., Ltd.H2005588125 mg/vial, Detecting liver reserve function
Liver function reserve analyzerShanghai Optoelectronic Medical Electronic Instruments Co., LtdDDG3300KA medical instrument that detects and analyzes indocyanine green (ICG) injected into the body based on spectroscopic analysis technique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GE company,AmericanSigna Hoxt 3.0T MRI,JB00988XCprovides 360-degrees of coil coverage, RF technology, and a direct digital interface with more channels. Patient-friendly design maximizes comfort and system utility, accommodating all types of patients and sizes with feet-first imaging.

참고문헌

  1. Liu, X., et al. Laparoscopic hepatectomy produces better outcomes for hepatolithiasis than open hepatectomy: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t J Surg. 51, 151-163 (2018).
  2. Abu Hilal, M., Pearce, N. W. Laparoscopic left lateral liver sectionectomy: a safe, efficient, reproducible technique. Dig Surg. 25 (4), 305-308 (2008).
  3. Montorsi, M., et al. Perspectives and drawbacks of minimally invasive surgery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Hepatogastroenterology. 49, 56-61 (2002).
  4. Zhang, X. L., Wang, W. J., Wang, W. J., Cao, N. Effectiveness and safety of controlled venous pressure in liver surgery: a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Biomed Res Int. 2015, 290234 (2015).
  5. Ogiso, S., et al. Anatomy of the middle hepatic vein tributaries to promote safer hepatic vein-guided liver resection. J Gastrointest Surg. 26 (1), 122-127 (2022).
  6. Xie, K. L., Zeng, Y., Wu, H. Hepatic trisectionectomy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using the Glisson pedicle method combined with anterior approach. World J Surg. 38 (9), 2358-2362 (2014).
  7. Sugioka, A., Kato, Y., Tanahashi, Y. Systematic extrahepatic Glissonean pedicle isolation for anatomical liver resection based on Laennec's capsule: proposal of a novel comprehensive surgical anatomy of the liver. J Hepatobiliary Pancreat Sci. 24 (1), 17-23 (2017).
  8. Wu, P. C., et al. Noninvasive assessment of liver function reserve with fluorescent dosimetry of indocyanine green. Biomed Opt Express. 13 (4), 1995-2005 (2022).
  9. Piardi, T., Lhuaire, M., Memeo, R. Laparoscopic Pringle maneuver: how we do it. Hepatobiliary Surg Nutr. 5 (4), 345-349 (2016).
  10. Liu, T. S., et al. Application of controlled low central venous pressure during hepatectom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Clin Anesth. 75, 110467 (2021).
  11. van der Poel, M. J., et al. International multicenter propensity score matched study on laparoscopic versus open left lateral sectionectomy. HPB (Oxford). 23 (5), 707-714 (2021).
  12. Darnis, B., et al. Long-term abdominal wall benefits of the laparoscopic approach in liver left lateral sectionectomy: a multicenter comparative study. Surg Endosc. 35 (9), 5034-5042 (2021).
  13. Chong, Y., et al. International robotic and laparoscopic liver resection study group investigators. An international multicentre propensity score matched analysis comparing between robotic versus laparoscopic left lateral sectionectomy. Surg Endosc. 37 (5), 3439-3448 (2023).
  14. Zheng, K., He, D., Liao, A., Wu, H., Yang, J., Jiang, L. Laparoscopic segmentectomy IV using hepatic round ligament approach combined with fluorescent negative staining method. Ann Surg Oncol. 29 (5), 2980-2981 (2022).
  15. Wu, H., Xie, K. L., Huang, J., Pan, G. Clinical effect of fissure for ligamentum teres hepatic approach in hepatectomy. Chin J Dig Surg. 15 (1), 53-57 (2016).
  16. Idrees, M., et al. Umbilical fissure vein, anatomical variation and potential surgical application. ANZ J Surg. 91 (7-8), E479-E483 (2021).
  17. Kobayashi, K., et al. Extended segmentectomy II to left hepatic vein: Importance of preserving umbilical fissure vein to avoid congestion of segment III. J Am Coll Surg. 225 (3), e5-e11 (2017).
  18. Zheng, K., et al. Laparoscopic anatomic bi-segmentectomy (S3 and S4b) using the Glisson's pedicle-first and intrahepatic anatomic markers approach. Surg Endosc. 36 (10), 7859-7860 (2022).
  19. Hobeika, C., et al. Impact of cirrhosis in patients undergoing laparoscopic liver resection in a nationwide multicentre survey. Br J Surg. 107 (3), 268-277 (2020).

재인쇄 및 허가

JoVE'article의 텍스트 или 그림을 다시 사용하시려면 허가 살펴보기

허가 살펴보기

더 많은 기사 탐색

211

This article has been published

Video Coming Soon

JoVE Logo

개인 정보 보호

이용 약관

정책

연구

교육

JoVE 소개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